요즘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상업용이라 해도 과거처럼 디스켓이나 씨디가 담긴 패키지 박스의 형태로 배포되는 경우가 거의 없어졌다. 바이너리의 배포 자체는 인터넷으로 하며, 패키지가 있다 해도 그 안에는 시리얼 번호 쪽지 정도나 달랑 들어있다. 그 뒤, 사용자가 구매한 카피 개수만큼만 프로그램을 동시에 구동하고 있는지, 사용 기한이 경과하지 않았는지 같은 인증은 인터넷으로 진행한다.

정식 사용자가 확인되지 않은 프로그램은 일단 평가판 모드로 동작한다. 정품 인증이 안 됐고 평가판 기간도 경과했다면 그 다음부터는 기능 제한 모드로 동작한다. 문서나 데이터를 취급하는 업무용 프로그램이라면 이제 문서를 편집할 수 없고 일종의 viewer 형태로만 동작하게 된다.

과거에는 소프트웨어 개발사들이 사용자에게 자기 제품의 기능을 자랑하는 한편으로 정품 구매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셰어웨어, 평가판, 데모 같은 것을 따로 배포하곤 했다.
하지만 지금은 인터넷이 워낙 발달한 덕분에.. subset 구분 없이 전체 제품을 통째로 뿌린다. 그 뒤 제품을 구입하고 해금 비밀번호/일련번호를 받은 사용자에게만 전체 기능이 제공되도록 한다. 아래아한글, MS Office 같은 거대한 프로그램들도 이제는 다 이런 식으로 동작하고 있다.

과거에는 그런 일련번호를 수학 공식을 기반으로 생성하곤 했다. 하지만 오프라인 환경에서 소프트웨어적인 알고리즘에만 의존하는 copy-protection은 역공학을 통해 뚫릴 수 있다. 마치 주민 등록 번호 자동 생성기처럼 말이다. 어둠의 경로를 개척하는 사람들이 이만저만 똘똘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터넷이 소프트웨어의 배포와 불법 복제만 편하게 만든 건 아니며, 까놓고 말해 개발사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미주알고주알 파악하는 것도 더 용이하게 만들었다. (뭐, 서버 유지 비용은 부담해야 하지만..) 제아무리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복제하고 뿌려도 온라인 게임을 돈 안 내고 즐기는 건 불가능하며, 스타크래프트 불법 복제 립버전으로 배틀넷 접속은 할 수 없다. 또한, 주민 등록 번호는 생성하더라도 방대한 DB에 일일이 접속하는 실명 인증은 수학 공식만으로 뚫을 수 없지 않던가? 그런 식으로 창과 방패는 발전하는 것 같다.

물론 업무용 프로그램들은 온라인 게임과 달리 업데이트 체크나 인증을 할 때만 인터넷에 접속하지, 나머지 동작은 전부 어차피 오프라인에서 행해지는 게 대부분이다. 그런 부류라면 실행 파일을 분석해서 인증을 시도하는 부분만 변조하고 크랙해 버릴 수도 있다. 파일이 전부 암호화되지 않고 헤더에만 암호가 기록돼 있다면 그 부분만 건너뛰어 버리면 되듯이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의 소프트웨어 보안도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필요하다.

이렇게 소프트웨어의 정품 사용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절차가 있다. 바로 프로그램이 돌아가고 있는 기기 내지 제품의 사용자를 중복 없이 유일하게 식별하는 것이다!
매번 변하는 난수 씨앗이야 그냥 현재 시각을 기반으로 생성한다고 하지만, 한 컴퓨터에만 고유하게 적용되는 시리얼 키 같은 걸 생성하려면 전세계에서 유일하고 불변하고 전무후무한 식별 번호가 하드웨어 차원에서 부여되어 있어야 한다.

하다못해 예전에 도스용 게임 중에서도 저장 기능이 없는 대신, 각 레벨별로 암호 코드가 부여되는 게 있었다. 그 코드값을 알면 나중에 상위 레벨에서부터 게임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코드값이 컴퓨터마다 제각각으로 생성된다는 것.. 그러니 매 컴퓨터에서 게임을 새로 시작해서 상위 레벨에 직접 진입을 해야만 코드값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어떤 소프트웨어가 정품 인증을 받았다거나, 셰어웨어의 경우 등록판이 생성되었는데.. 그 인증 정보는 레지스트리나 파일 형태로 저장되곤 한다. 물론 꼼꼼하게 암호화해서 말이다.
그 인증 정보에는 당연히 특정 컴퓨터의 식별자도 들어있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그 인증 정보만 다른 컴퓨터에다가 슬쩍 복사해서 집어넣더라도 명의가 도용되지 않을 테니 말이다.
이런 식으로 컴퓨터의 고유 식별자는 프로그램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매우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자동차에는 외부에 노출된 번호판과 별개로, 자동차 껍데기 자체를 식별하는 차대 번호라는 게 있어서 엔진룸이나 도어 한구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노트북 PC는 시리얼 번호가 밑바닥에 적혀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도 기기를 식별하는 고유 번호가 있는 건 마찬가지이다. 사용자를 식별하는 USIM과는 당연히 별개로 말이다.

그런데 PC는 컴퓨터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깔끔한 단일 통합 메커니즘이 의외로 존재하지 않는다.
먼 옛날에 펜티엄 3~4 시절에는 CPU의 일련번호를 얻어 오는 명령이 있었던 듯하나.. 예제 코드가 어셈블리어여서 이식성이 전혀 없으며, 요즘 CPU에서는 통하지도 않는다고 한다.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제일 만만하게 쓰여 온 방법은 맥 어드레스(mac address)라는 48비트짜리 숫자이다. 요즘은 휴대전화 번호가 사람을 식별하는 준 주민 등록 번호나 마찬가지이지 않는가? 그것처럼 통신망에서의 주소는 기기 식별 용도로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하지만 얘를 쓰기에는 요즘 컴퓨터 네트워크는 계층과 종류가 너무 다양해졌으며, 사용자가 값을 변조도 그리 어렵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모로 약발이 다했다.

하드웨어적인 방법에만 너무 의존하면.. 사용자가 램을 더 달거나 하드디스크를 교체한 것만으로 프로그램 정품 인증이 실패하는 불상사가 벌어진다. 도대체 한 컴퓨터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본질적인 고민에 부딪히게 된다.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는 HKEY_LOCAL_MACHINE 상에 있는 Windows의 product ID라든가 Machine GUID가 있는데.. 이것은 변조하기 쉽고 운영체제를 다시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무력화될 수 있는 게 약점이다.

최근엔 본인도 이런 쪽으로 고민할 일이 좀 있었다. 그러다가 WMI(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라는 DB인지 API인지.. 정체를 알 수 없는 방대한 물건을 최근에야 난생 처음으로 접했다. 여기에 시스템 정보와 관련된 것들이 다 있었다. 하드디스크의 시리얼 번호, 마더보드의 시리얼 번호, 뭐 별별 것까지 다.. 그야말로 끝판왕이었다.

그 중 Win32_ComputerSystemProduct라는 클래스에 있는 uuid 값이.. SMBIOS, 즉 펌웨어 레벨에서 새겨져 있는 불변 유일한 컴퓨터 식별자 역할을 얼추 하겠다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 최소한 맥 어드레스보다는 더 믿을 만하지 않을까? 명령 프롬프트에서는 wmic csproduct get uuid라고 하면 얻을 수 있다.

WMI에 접근하는 건 C#에서는 꽤 간단하고 쉽게 할 수 있어 보이던데 C++에서는 COM을 초기화하고 온갖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몇 단계씩 생성해야만 가능했다. DB 아니랄까봐, COM으로도 모자라서 팔자에 없는 SQL 쿼리까지 날려야 되더라! SELECT * from Win32_ComputerSystemProduct 같은 식으로 말이다.
누가 클래스 라이브러리 하나 만들어 놓은 것조차 없는 듯... 저 GUID 하나만 달랑 얻어 오는 용도로 쓰기에는 낭비가 꽤 심해 보인다.

Windows와 달리 mac 계열은 하드웨어/소프트웨어가 워낙 딱딱 들어맞는 일체형이니 저 정도의 복잡한 고민은 필요 없을 듯하다. 시스템 정보를 보면 나오는 시리얼 번호와 하드웨어 UUID만으로 식별과 관련된 모든 고민이 끝이지 않을까?
게다가 gethostuuid라는 함수 한 방으로 그 값을 바로 구할 수 있었다.

이미 유비쿼터스니 사물 인터넷 IoT니 뭐니 하면서 운영체제 불문하고 수많은 기기들이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으며, 그에 맞춰서 주소 공간이 월등히 넓어진 ipv6도 서서히 보급되고 있다. ipv6는 주소 공간의 크기가 UUID의 그것과 동일한 128비트이다.

그러니 Windows/mac, 그리고 안드로이드/iOS를 불문하고 전세계 전무후무 유일불변이 보장되는 기기 식별자 같은 것도 제정되지 않을까 싶다. 이미 제정돼 있는데 본인이 아직 모르는 것일 수도 있겠지만, PC 한정으로는 내가 알기로 딱 떨어지는 답은 아직까지 없다. 심증에 속하는 여러 정황상의 단서들을 모아서 물증인 것처럼 편의상 활용하고 있을 뿐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9/04/06 08:35 2019/04/06 08:35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605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605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676 : 677 : 678 : 679 : 680 : 681 : 682 : 683 : 684 : ... 2139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664267
Today:
1442
Yesterday:
1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