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맥콜리 교수에 이어 한글을 사랑한 해외 석학 시리즈의 둘째 시간을 마련하게 됐다.
이번에 소개하는 사람은 재레드 다이아몬드(Jared Diamond) 교수. 1937년생으로, 제임스 맥콜리와는 나이 차이가 1년밖에 안 난다. 2010년 현재 생존 인물이다.
‘재레드’라는 이름을 보고 성경 인물을 떠올릴 수 있겠는지? 창세기 5장을 보면, 무척 기이한 이름인 마할랄레엘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그의 아들이 야렛(Jared)이다. 야렛은 962세까지 산 인물이며 그 이름도 유명한 에녹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이 사람에 대해서 프로필을 조사해 보면, 프로필마다 그의 종사 분야가 제각각이라는 것에 놀라게 된다. UCLA의 교수이긴 한데, 어디서는 생리학과 교수라고 나와 있는 반면 이거 웬걸, 연구 분야가 역사학, ‘지리학’, 조류학 등등등...;;
그렇다. 그는 학문에 대한 관심과 열정, 집중도가 상상을 초월하며 뼛속까지 학자 타입이다.
학계에서 큰 명성을 쌓은 것은 물론이고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도 그 공부 오덕질 하나만으로 성공한 불세출의 천재이다.

처음엔 의사가 될 목적으로 의학을 공부했으나, 어렸을 때부터 ‘새(bird) 덕후’였던지라 분야를 살짝 바꿔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생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러나 새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조류학자 행세를 하고, 그러다 비슷한 시기에 언어학에도 깊이 심취했다. 이 사람이 라틴어, 그리스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를 다 구사한다는 건 잘 알려진 사실. ㅎㄷㄷㄷ;;;

그의 덕질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다.
의학과 생리학, 조류학, 진화 생물학에서 시작된 이과 기질은 언어학을 거치면서 점차 인문학적 기질로 바뀌었다.
사람에 대한 관심이 생기면서 이번엔 역사학, 문화인류학까지 섭렵하기 시작했는데, 필력이 좋았던지라 <네이처>, <디스커버> 같은 잡지에 과학과 인문학을 융합한 각종 글을 쓰며 본격 과학 작가 반열에도 올랐다.

그리고 <제 3의 침팬지>, <총, 균, 쇠>, <문명의 붕괴> 같은 책을 쓰면서 생리학자로서의 다이아몬드 교수 이미지는 완전히 묻히고 말았다....;;; 이공계 천재이기도 하지만 인문계 천재 기질이 그걸 능가해 버린 셈. 퓰리처 상도 한번 받았다.

그런데, 이 천재도--그렇잖아도 언어학 덕후이기도 했음-- 제임스 맥콜리 교수와 동일한 어느 문자를 보고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바로 한글이다. 관심 분야가 ‘진화론 → 생물의 진화 → 인간 세상 → 문자의 진화 → 한글’의 순으로 뻗쳤다고 하는데...;;

첫눈에 반한 그는 저렇게 과학과 인문학을 융합한 각종 글을 권위 있는 학술지에다 실을 때, 한글 얘기를 했다!
바로 Discover지 1994년 6월호에 Writing Right(흠 언어유희를 의식한 제목인가?)라는 글을 실어서 한글의 우수성을 극찬하였고, 이에 비하면 언문일치가 개떡인 영문 내지 온갖 난잡한 문자를 섞어 쓰는 일본의 글자 생활은 매우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계로 한글로> 다큐멘터리에도 출연하여 한글이 왜 우수하고 대단한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요지로 증언했다. 라틴 알파벳밖에 안 써 본 서양인의 관점에서, 또 자기 특유의 덕후 관점에서 한글을 요모조모 뜯어보니까 이런 특징이 발견되더라는 것이다.
귀찮아서 동영상은 생략.. -_- 아래 사진에서 왼쪽의 인물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소리와 글자가 딱 잘 대응한다. 영문은 그렇지 못하다.
2. 자음과 모음이 시각적 변별되고, ㄷㄴㅌ, ㅅㅈㅊ 같은 그룹화가 가능하다.
3. 입모양을 본뜬 모양 자체도 경이롭다.
4. 모아쓰기를 하는 음절문자여서 글자의 식별이 용이하고 시각성이 더욱 향상된다.

그런데 다이아몬드 교수에게 질문을 하는 한국인 인터뷰어가 “why do you think so ...” 이렇게 묻는 건 좀 압박스럽다. 뭔가 피의자를 취조하는 듯한 느낌이 드니까. what makes you think so가 훨씬 더 정중하고 좋았을 텐데 말이다. (인터뷰어는 국문과 교수임.)

그는 워낙 관심 분야가 다양한 덕후이다 보니, 그로부터 15년이 지난 지금은 한글 역시 그의 지적 호기심을 만족시킬 수많은 장난감 중 하나로 지나갔을 수도 있다. 그는 딱히 맥콜리 교수처럼 한글날을 20년째 기념했다거나 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일상적으로 쓰는 한글이라는 이 문자가, 알고 보면 저 천재마저 감탄시킬 정도로 정말 엄청난 문자라는 것을 또 한 번 느낄 수 있다.

과학과 철학을 겸비하고 대중적인 인기도 많은 석학 중엔, 웬지 무신론자 내지 개독안티가 많은 경향이 있다. 리처드 도킨스나 칼 세이건처럼. 저 사람도 대중적으로 유명하고 또 진화론을 연구한 사람이기까지 하지만, 딱히 자기 종교색을 공개적으로 드러낸 적은 없는 것 같다. 어쨌거나 학자로서 여러 모로 대단하고 존경스러운 분이다.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본인, 언젠가 창조와 진화에 대해서도 글을 쓸 일이 있을 것이다. 무진장 재미있을 것 같다.

Posted by 사무엘

2011/01/30 08:45 2011/01/30 08:45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457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457

Comments List

  1. 김기윤 2011/01/31 17:56 # M/D Reply Permalink

    우리가 한글로 문자생활을 한다는 것은 어디를 가더라도 자랑할 수 있는 것입니다. ㄲㄲㄲ 세종대왕님 만세-!

    휴대폰 자판만 하더라도 다른 나라와는 달리 그룹화를 이용했기 때문에 조금만 써도 자판을 전부 외울 수 있고, 또한 (다른 언어에 비해) 빨리 칠 수 있죠.

    p.s. 갑자기 예전에 본 기사가 떠오르네요. 외국의 로마자 기반 폰 자판 빨리치기 기사가 있었는데, "자판을 다 외웠다" "안보고 칠 수 있다" "1분에 몇글자를 친다" 라는 내용이 있었는데, 국내 반응이 "겨우 저거 가지고" "10대중에 자판 못외우는 사람도 있나?" "안보고 치는거 필수스킬아님? 수업시간에 문자하려면" 이랬더라죠.

    1. 사무엘 2011/02/01 09:47 # M/D Permalink

      한글은 정말 대단하고 자랑스러운 문화 자산이죠.
      우리말과 한글의 특성상 맞춤법(정서법)은 꽤 복잡하고 문란한 면이 없지는 않습니다.
      닥치고 다 붙여 쓰는 중국· 일본어하고, 닥치고 단어는 다 띄어 쓰는 영어의 사이에서 중간 위상을 어정쩡하게 차지하고 있어서 말이죠.
      그렇지만 매우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를 또 어지간히 붙여 써도 대체로 말은 다 통하기 때문에 한글이 모바일 기기에 매우 적합하다는 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1810 : 1811 : 1812 : 1813 : 1814 : 1815 : 1816 : 1817 : 1818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56684
Today:
1054
Yesterday:
2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