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및

우리말 순화 운동가 중에는 ‘및’을 싫어하는 분이 계신다.
우리말답지 못하고 어원이 또 무슨 번역투이고 등등~ 근거가 여럿 있는 걸로 본인은 알고 있다.
그런데 내가 보기엔 ‘및’은 자신만의 독자적인 역할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만만하게 없앨 수 있는 단어가 아니다. ‘및’을 안 쓰고 이 성경 구절을 번역해 보라.

And the king, and all Israel with him, offered sacrifice before the LORD. (왕상 8:62)

뭔가 느껴지는 게 없는가?
그렇다. 우리말의 조사 ‘-와/과’라든가 어미 ‘-고’는 and라는 뜻만 있는 게 아니라 with라는 뜻까지 교묘하게 포함되어 있다. 이거 구분이 안 되는 게, 번역할 때 의외로 굉장히 불편하게 작용하는 경우가 적잖게 발생한다! (한국어 말고도 이런 특성을 지닌 언어가 좀 더 있다고 한다.)
그러나 접속부사 ‘및’은 정확하게 and의 뜻만 지니기 때문에 중의성의 해소에 도움이 된다.

물론 한국어는 부사를 무척 좋아한다는 특성상, 공동번역처럼 “왕은 온 백성과 함께 .... 했다”라고 문장 구조를 완전히 바꿔 번역하는 방법도 없지는 않다.

2. 어법에 어긋난 축약

알아듣는 데는 아무 지장 없는데 여기서는 쓰이고 저기서는 통용되지 않고.. 음운이나 형태론적으로 온전한 근거를 갖추지 못해 어법상 허용되지 않는 축약이 있다. 한국어에서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스러운'(O), '-스런'(X): 국기에 대한 경례마저 '자랑스런'에서 '자랑스러운'으로 고쳐졌다. 그냥 축약을 허용해도 되지 않겠나 생각을 했었는데... '아름다운'을 '아름단'이라고 적지는 않잖아..! ㅂ이 탈락하는 것도 모자라서 음절 전체가 탈락하는 건 대략 보기 좋지 않다.

- '밤을 새우다, 담배를 피우다'(O), '밤을 새다, 담배를 피다'(X): '우'도 만만하게 보이는지 자꾸 탈락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우'는 명백한 변별 요소로, 이게 빠지면 '물이 새다', '꽃이 피다' 같은 완전히 다른 단어가 되고 만다. 그러고 보니 타동사와 자동사로 각 용언이 격이 다르다 보니, 경계가 마음놓고 문란해지는 건가? -_-;;

- '바뀌었다'(O), '바꼈다'(X): 이런 식으로.. 현대 한글이 규정하는 한글 모음의 범위를 벗어나는 축약을 시도하다 보니, 음운 탈락을 감수하면서 말을 줄이는 경우가 있다. 물론 구어체에서나 통용될 뿐 표기를 이렇게 하는 건 물론 잘못이다.

이런 축약은 꼭 음절수를 맞춰야 하는 노래 가사나 시 같은 데서나 제한적으로 묵인되는 듯하다. 이름하여 시적 허용. 그런 건 영어에도 있으니까..;; 만약 한국어를 로마자로 표기하고 있었다면 이런 축약 사이에는 분명 어퍼스트로피가 들어갔을 것이다.

3. 아리까리한 영단어

영어도 만능이 아니다. 중의적인 어휘가 생각해 보니 꽤 있다. 비슷하지만, 그래도 구분 가능한 게 더 좋겠다 싶은 것들 말이다.

- good: 좋다 vs 선하다. 웬지 '선한 사마리아인'과 '좋은 사마리아인'은 뉘앙스가 완전히 다르지 않은가?
- free: 자유 vs 공짜. 이게 영어권에서 은근히 혼동이 심해서인지, 오픈소스 진영의 문서에는 “자유 소프트웨어란 무료를 의미하는 게 아닙니다”라고 친절한 부연 설명이 들어가 있다.
- life: 생명 vs 삶(인생/생애/한살이). 그래서 한국어로는 life after death를 좀 더 깔끔하게 번역 가능하다. 내세에 대해 설명할 때 나오는 단어임.

- little: 작은, 어린, 거의 없는...;; 이거 은근히 중의성이 짙어서 헷갈릴 때가 있다. 이게 빈도부사의 역할까지 하니, 마치 more이 다중 품사 역할을 해서 헷갈리는 것과 비슷한 차원이 된다.
- great: 거대하다, 위대하다. 뭔가 크고 아름답다는 뜻인데, 어떻게 아름다운지가 중의적이다.
- child: 그냥 어린이 vs 계통상의 자녀
- mind: 생각 vs 마음

- egg, milk: 영어는 참 특이한 게 이런 단어들이 각각 달걀과 우유라는 특정 동물의 알과 젖을 뜻하기도 하면서 한편으로 이것 자체가 범용적인 알과 젖을 뜻하기도 한다. 마치 기름이 석유도 뜻하고 그냥 물과 섞이지 않는 가연성 액체의 총칭이기도 하듯이 말이다.

- day: 낮 vs 날. 문맥에 night가 대조되면 전자의 의미가 되고, month나 year 같은 단어가 오면 후자의 의미가 된다.
- earth: 육지(land), 흙 (dust), 태양계의 행성 지구(the earth)...;; 의 의미를 두루 지닌다.

- man: '사람, 사나이(남자), 성인'의 의미를 두루 지닌다. 성경에서도 고전 13:11에 나오는 “but when I became a man”은.. 무슨 단군 신화처럼 동물이 인간으로 변했다거나, 성전환을 해서 여자가 남자로 바뀌었다는 게 아니라.. 자라서 어른이 됐다는 뜻이니까 말이다. ^^;;

영어는 잘 알다시피, 혈통상 2촌 관계에 있는 형제 자매들을 나이 서열대로 부르는 호칭이 없다. 가령, brother이라고만 하면 형인지 남동생인지 알 수 없다. 그 문화권은 근본적으로 '나이가 깡패' 같은 사고방식이 없는 게 틀림없다.
그런데 그 반면 한국어에는 형제 자매들을 싸잡아 부르는 명칭이 없는 듯하다. 쉽게 말해 성별에 구애되지 않고 sibling에 대응하는 한 단어가 없다는 뜻. 그래서 맨날 가족 관계를 물을때 “형(언니)이나 동생 있어요?”라고 번거롭게 말을 풀어서 한다.

4. '들'이 의존명사라니!

나는 '들'이 field를 뜻하는 명사, 그리고 복수형을 의미하는 접미사 정도로나 알고 있었다. 특히 후자 용법은 단복수를 무진장 엄격하게 따지는 영어의 여파 때문에 한국인들 머리에 뼛속까지 각인되어 있을 것이다.
그런데 도대체 이건 뭔가?

【의존명사】 두 개 이상의 사물을 벌여 말할 때 맨 끝에 쓰이어, 그 여러 사물을 모두 가리키거나 또 그 밖에 같은 종류의 사물이 더 있음을 뜻하는 말. 등.
¶ 전차·버스·택시 ∼.

쉽게 말해서 '들'이 '등'(and so on; et cetra)과 완전히 같은 용법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이뭐병...;;
한컴 사전, 네이버 사전 등을 다 찾아봐도 그런 풀이가 있다.
본인은 태어나서 '들'이 그렇게 쓰이는 건 한 번도 본 적이 없고, 근처의 국문과 학생으로부터도 “뭐 이런 게 다 있어” 동의를 받았다. -_-;; 이제 교수에게서 인증받는 것만 남았다는..;;

5. 내일의 순우리말, 한자어 번역어

한국어에 어제, 모레와는 달리 'tomorrow'에 해당하는 순우리말이 없는 것을 본인은 굉장히 특이하게 여겨 왔다. '한국어 순우리말은 왜 blue와 green을 구분하지 않을까?'만큼이나 왜 내일이 없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런데 소문에 따르면 '내일'의 순우리말은 '하제'라고 한다. 문헌상의 근거는 무엇인지, 그리고 그게 언제부터 왜 '내일'로 대체되었는지는 모르겠다. 카이스트 학생이라면 '하제'가 아주 친숙할 것이다. 교내의 유명한 컴퓨터 동아리(게임 개발 분야) 이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내일'은 어제와 오늘, 모레, 글피 등의 서열에서 혼자 한자어인 어중간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워낙 친근한 단어여서 중국이나 일본어 냄새가 나지는 않는다. 코레일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팔고 있는 내일로 티켓은 'rail-로'가 두음법칙에 의해 바뀐 것...이라고 한다. ㅋㅋㅋㅋ 그래도 싫어요-좋아요보다는 그럴싸한 설명.

'내일'도 이미 한자어인데 동일한 의미를 지니면서 더 탁한 느낌이 나는 한자어가 또 있다. 명일이나 익일... 이 서열대로라면 어제와 오늘도 작일, 금일로 바뀐다. 내일은 바꿀 필요가 없어 보이는데 내일조차 다른 한자어로 바뀐다니, '내일'은 순우리말도 존재하고 더 어려운 한자어 버전도 존재하는 이상한 단어라 하겠다.. ㄲㄲㄲ

Posted by 사무엘

2011/02/02 21:32 2011/02/02 21:32
,
Response
No Trackback , 9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459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459

Comments List

  1. 김재주 2011/02/03 01:46 # M/D Reply Permalink

    영어는 관사도 중요하죠. 어떤 관사가 붙는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단어들이 상당히 많으니까요.

    정작 우리나라 학교 영어교육에선 '3인칭 단수 명사에는 s가 붙는다' 이런거나 가르치지 어떤 경우에 the가 붙는지 같은 중요한 건 별로 신경을 안 쓰죠. 동사를 죄다 복수형으로 말해도 원어민들은 다 알아듣지만, 관사를 틀리면 때때로 좀 헤매기도 하던데 말입니다.

    제 생각엔 대한민국 고등학교에는 복수 명사에 the가 붙어도 되는지 안 되는지도 모르는 학생이 수두룩할 겁니다. =_=


    '들'은 저도 처음 보는 용법입니다. 정말 저런 식으로 쓰기도 하는 건가 허허..

  2. 주의사신 2011/02/03 09:30 # M/D Reply Permalink

    1. 제가 아는 한 교수님 중에 미국 유학 가셔서 a, the 틀리게 써서 10점인가가 그냥 날아가 버린 경험을 하신 분이 계십니다. 그래서 그런지 판서 중 a, the를 상당히 신경써서 하십니다.

    2.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번역서를 읽을 때, "멜라니와 다른 사람들이 왔다 간 후"를 "멜라니들이 왔다 간 후"같은 문장이 있어서 "이거 무슨 문장이 이래?" 그런 생각을 했던 적이 있는데, 4번에 비추어 생각해 보면, 이거 국어 문법에 맞는 문장인가 봅니다.

  3. 이지브 2011/02/03 16:19 # M/D Reply Permalink

    저도 병원에 있을때 옛날 소설책을 몇권 구해다 읽었는데 주의사신님처럼 XXX들이 이런식으로 써진 문장이 들어있는책이 많아서 꽤 놀랐던 기억이 납니다. 한번읽었을땐 번역자의 자질이 의심스러웠고 또다른책에서 두세번째 볼때는 내 눈이 이상한가 싶었는데 정식문법이였네요...-_-

  4. 김재주 2011/02/03 19:43 # M/D Reply Permalink

    어떤 일행을 지칭할 때 누구누구들, 하고 말하는 건 일본어의 영향이 남은 잔재라고 봅니다. 4번에서 설명하는 용법은 조금 다른 경우고요.

  5. 사무엘 2011/02/03 20:43 # M/D Reply Permalink

    좋은 의견 잘 읽었습니다. ^^ 관사, 전치사, 단· 복수.. 이게 영어에서 정말 골때리는 요소이죠.
    유학 간 한국 학생이 그런 실수 때문에 교수에게 깨지는 건 거의 통과의례 수준으로 겪어야 하는 일입니다. =_=;;
    말하기, 듣기도 어렵지만.. 영어로 학문을 하려면 '쓰기'야말로 최강의 보스이니까요.

    4번에서 설명하는 용법이라면 '들'을 띄어야 합니다. 접사가 아니라 의존명사이기 때문이지요. 주의사신 님, 이지브 님처럼 보통명사도 아니고 고유명사 뒤에 '들'이 바로 붙어서 이어진 건 영 수긍하기 어려운 표현이네요.
    어쨌든 이건, 없애 버리는 게 더 나을 것 같은 이상한 용법입니다.

  6. 맑아릿다 2011/02/08 05:14 # M/D Reply Permalink

    의존명사 '-들'은 일본어의 'たち'를 직역하여 들어온 것이 아닌가 하는 추정을 해봅니다. 실제로 일본어에서는 '철수たちと合った。' 와 같은 문장이 ' 철수와 그 친구들을 만났다'의 의미로 매우 흔히 쓰이거든요. 하지만 한국어에서는, 현대 한국어는 물론이거니와 중세,근대국어에서도 한 번도 본 일이 없습니다;; 일본어 용법이 차용되어 쓰이기 때문에 사전에 올라간 건지, 일본 사전 베끼다가 얼떨결에 올라간 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나는 후자에 한표ㅋ. '스런

  7. 맑아릿다 2011/02/08 05:24 # M/D Reply Permalink

    '스런'은 모음충돌(hiatus)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인 듯해요:) 그런 건 흔한 일이에요.'바뀌어>바껴', '사귀어>사겨'가 되는 건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에 붙는 활용어미 '-아/-어'는 대부분 축약되는데 한글은 ㅜ ㅕ의 조합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과감히 어간을 바꾸어버리는ㅋㅋㅋㅋㅋㅋ것 아닌가 싶네요. 아마 휴대폰 문자메시지의 글자 수 제한이 그걸 거들었겠죠. 세월이 더 흐르면 아예 기본형이 '바끼다', '사기다'가 될지도 몰라요ㅋㅋㅋㅋㅋ 그나저나 학교 몇시에 나오시나요? 저는 이미 이렇게 되었으니 밤을 새고 가게 될 것 같은데 그래도 일단 지금 자려고 시도는 해 볼 생각이에요. 점심은 열두 시가 괜찮으세요 한 시가 괜찮으세요 저는 두 시 출근입니다

  8. 맑아릿다 2011/02/08 05:27 # M/D Reply Permalink

    혹시러도 제가 약속을 놓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열한 시쯤 문자로 답을 보내주세요?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1. 사무엘 2011/02/08 08:26 # M/D Permalink

      반갑습니다. 언어에 이유 없는 변화는 없다는 걸 느낍니다. ^^
      축약에 대해서 저는 시적 허용 정도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문자 메시지라는 더욱 현실적인 제약도 존재하고 있었군요. 미처 생각을 못 했더랬습니다. ㅋㅋ
      더 일찍 만나는 게 당연히 더 좋겠죠? 그때쯤 연락 드릴게요~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1808 : 1809 : 1810 : 1811 : 1812 : 1813 : 1814 : 1815 : 1816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56460
Today:
830
Yesterday:
2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