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성의 독립운동가

(1) 최 재형(1860-1920)
요즘 이 이름은 ‘이 회창’처럼 감사원장을 역임한 대선 후보 정치인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러시아에서 활동한 유명 독립운동가 동명이인도 있었다.
그는 겨우 10대의 나이로 생활고와 굶주림을 견디다 못해 탈북하듯이 무작정 러시아에 들어갔다. 거기서도 꽃제비처럼 쓰러져 굶어 죽을 뻔했는데.. 어느 선한 러시아인 선장 부부가 그를 구해 주고 양자처럼 공부도 시키고, 자기 상선(무역선)에 태워서 선원일도 가르치면서 잘 키워 줬다.

그는 러시아어에 능통해서 한국어와 통역이 가능해졌을 뿐만 아니라, 조선인 노동자와 러시아 업주 사이에 중재를 잘 하고 일감 조율을 잘 한 공로로 러시아 황제로부터 훈장까지 받았다. 그는 이걸로도 모자라서 양부모로부터 한 밑천 물려받았는지 군수업을 시작해서 엄청난 부자까지 됐다. 알거지 빈털터리 상태에서 러시아에서 이 정도로 성공했으니 정말 역전의 용사 개룡남이 따로 없는데..

그는 러시아에서 자신 같은 불우한 처지에 놓인 동포들을 돕고 가르치는 일에 애썼으며, 조국 조선이 일제에 망할 위기에 처하자 항일 독립 운동에 자기 자산을 대부분 탕진했다. 그리고 안 중근 의사에게 권총을 사 주고 사격 훈련을 시켰다. 안 의사의 의거의 배후에 이 사람이 있는 거나 마찬가지였다. 안 중근이 아저씨 차 태식이라면, 저 사람은 문 달서 정도 되는 셈..

그는 훗날 1919년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만세 시위를 주도했고 정말 뼛속까지 애국자로 살았지만.. 이 때문에 일제로부터 추적을 받기 시작했고 러시아 정부로부터도 밉보이게 되었다. 결국 1920년에는 일본군에게 잡혀서 그대로 총살 당해 순국했다.

(2) 함 태영(1872-1964)
생몰년도를 보면 알 수 있듯 이 승만 할배와 거의 동연배이며 비슷하게 엄청나게 오래 살았다.
이 사람은 공부 잘하고 똑똑했는지, 20대 초반의 나이로 법관양성소를 수석 졸업하여 판사가 됐다. 갑오개혁으로 인해 등장한 근대식 법조인의 1호 원로 원조인 셈이다.

그래서 고종 황제 시절에 김 홍륙이 저지른 고종· 순종 독살 미수 사건(1898)을 재판했는데.. 먼 훗날, 대한민국에서 심계원(감사원)장과 제3대 부통령도 역임했다.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에서 모두 고위 공무원을 한 사람이라니, 정말 엄청나지 않은가?? 일제 시대에도 전관예우를 받아서 계속 법조인으로 있을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를 거절하고 그 동안은 목사와 교육자로 살았다.

서 재필과 이 승만은 대한제국 시절에는 그냥 반역자로 몰렸고, 일제 시대 동안엔 미국에 가 있었다. 함 태영은 저런 사람과는 굉장히 대조적이다.

(3) 서 재필(1864-1951)
이 사람도 최 재형 이상으로 근성의 개룡남이었으며, 함 태영 이상으로 머리 좋고 공부를 겁나게 잘했던 것 같다.
18세의 어린 나이로 사서삼경을 줄줄 외우면서 과거에 급제했다. 하지만 개화물 먹은 뒤 갑신정변으로 인해 역적으로 몰려서 완전히 멸문지화를 당했다. 부모와 친형제, 아내까지 몽땅 사약, 자결, 피살 등의 방법으로 죽었다~!! 이때 심지어 어린 자식까지 죽고 말았다.

요즘 같았으면 이런 상황에 당사자도 멘붕 자살하지 않았을까? 아니면 이제 조선의 조 짜만 나와도 학을 떼는 골수 혐한 친일파로 돌아서지 않았을까?
그런데 서 재필은 일본을 거쳐서 미국으로 망명 가서는 빈털터리 상태에서 먹고 살려고 직싸게 고생하며 주경야독을 거듭했다. 물론 도와 주는 선교사 후견인이 있긴 했지만, 그래도 미국은 아직 인종 차별도 있던 살벌한 상태였다.

그는 그 여건에서도 학교에서 1등을 도맡아 하면서 고등학교 졸업식 때 대표 고별 연설을 하는 우등생 모범생이 됐고--(물론, 미국 토박이 동년배 고등학생들보다야 나이가 훨씬 더 많았음..)--, 자국도 아닌 미국에서 의사가 됐다. 친인척을 모두 잃은 알거지 역적 신세로 미국으로 망명 간 지 딱 10년 만에 미국 의사가 된 것이다.

다행히 고국에서도 갑오개혁을 계기로 갑신정변 주동자에 대해서는 사면령이 내려졌다. 하지만 구한말 때 잠시 귀국해서 독립 덕후 활동을 하던 당시엔.. 그는 머리로 동포의 자주 독립은 지지하지만 가슴에 조선 자체에 대한 애정은 싹 사라진 상태였다.
조선 땅에서는 완전 코쟁이 미국인 행세를 하면서 "오우 노!! You Koreans들은 이래서 안 돼.. ㅉㅉㅉ" 삿대질을 하고.. 조선 백성들도 그냥 가르치고 계도해야 할 미개인 정도로 생각하면서 자기와 거리를 뒀다고 한다. 뭐, 인간적으로 이해는 된다.

서 재필은 한국이 배출했지만 한국이 제대로 키워 주지 못한.. 참 여러 모로 아까운 인재였다.
그의 유해는 1994년 3월경에 한국으로 돌아왔다(전 명운 의사의 유해와 함께). 공 병우 박사가 다른 관혼상제나 행사에는 좀체 참석을 안 했는데, 이 사람의 유해 봉환식에는 일부러 찾아가 참석했던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2. 일본인

(1) 소다 가이치(1867-1962)
일본인으로서 기독교 선교사 겸 고아원 원장으로 평생을 헌신한 분이다. 조선의 독립을 지지하면서 105인 사건이나 3· 1 운동 때는 조선인들을 편들고 실드 쳤으며, 전후에는 자국을 상대로 전쟁 범죄에 대한 회개와 사죄를 촉구했다.

그는 젊은 시절에 정신을 잃고 죽을 위기에 처했을 때 조선인으로부터 도움을 받아 살아났으며, 월남 이 상재 선생으로부터 기독교 전도를 받기도 했다. 그런 경험을 계기로 한국에 대한 호의가 자연스럽게 생긴 것 같다.
그는 일본인으로서 유일하게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지에 묻혔다. ‘후세 다쓰지’ 만만찮은 대한 독립 유공자 일본인으로서 손색이 없으나, 정식으로 인정은 아직 못 받았다.

(2) 아사카와 다쿠미(1891-1931)
조선총독부 산림과에서 근무한 관료이다. 하지만 정치적인 의도가 없이 진짜 순수하게 학자 내지 덕후로서 조선의 문화에 관심과 애정을 보였던 일본인이었다. <조선의 소반(밥상)>(1929)과 <조선도자명고(도자기 도예 관련)>(1931)를 저술하기도 했다.

그는 망우리 묘지에 묻힌 유일한 일본인..은 아니고 두 명 중 하나이다. 젊은 나이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는데, 죽을 때의 유언도 “조선 식 장례로 조선 땅에 묻어 달라”였다고 한다.

3. 역관 출신

(1) 김 홍륙 (러시아어)
이 사람은 천민 출신이었지만, 함경도 출신에 블라디보스토크를 왕래하면서 어부 생활을 한 덕분에 러시아어 회화가 가능했다.
마침 1880년대의 조선 정치판에서는 “친러가 살 길이다” 라인이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어를 잘하는 인재를 찾고 있었다. 이 사람은 이런 시대를 잘 탄 덕분에 벼락출세길이 열렸으며 고종의 측근으로서 부귀영화를 엄청난 누리게 됐다.

그러나 그는 나라를 쥐락펴락 하는 고위 공직자에 걸맞은 인품, 교양, 학식을 갖추지 못한 채 친인척까지 동원해서 부정축재와 학정을 일삼았다. 무능한 암군 소리를 듣는 고종이 보기에도 도가 지나쳤기 때문에 그는 결국 짤렸다(파직).

그런데 김 홍륙은 이에 앙심을 품고 고종과 순종 부자를 통째로 암살, 독살하려는 무모한 계획을 세웠다. 이들이 마시는 커피에다가 몰래 치사량의 아편을 탔는데.. 고종은 커피 맛이 이상한 걸 알고 곧바로 뱉었지만, 순종은 그걸 그대로 마셔 버려서 한동안 앓아누우며 고생했다.

이 어설픈 사건은 곧장 배후가 드러났는지, 김 홍륙은 곧바로 교수형을 당했다. 왕을 통째로 암살하려 했으니 이거야말로 10여 년 전 갑신정변 주동자를 능가하는 역적이었으며, 동시대의 중국이었다면 능지형을 당해도 쌌다. 그래도 갑오개혁을 계기로 연좌제가 폐지되고 잔인한 형벌도 금지된 덕분인지, 그는 김 옥균이나 서 재필 같은 급의 멸문지화를 당하지는 않은 것 같다.

훗날 1919년, 고종은 식혜를 마시고 나서는 심한 복통과 각혈을 호소하다가 죽어 버렸기 때문에 이거야말로 일제에 의한 독살설의 강력한 근거가 되었다. 고종의 붕어가 3· 1 운동의 강력한 기폭제로 작용했다는 것도 명백한 팩트이고..

(2) 이 하영 (영어)
이 사람은 몰락한 양반 가문 출신이어서 어린 시절부터 엄청난 가난과 생활고에 시달렸다. 그랬는데 미국인 의료 선교사 알렌과 만나게 되고, 어설픈 일본어와 영어 실력만으로 고종 황제의 개인 통역관의 자리에 올랐다. 이런 사례를 보면 인생은 정말 타이밍인 듯..

그는 그렇게 드라마틱하게 출세하고 성공하면서, 이 험난한 세상에서 줄 잘 서고 기회 잘 잡는 것만이 살아남는 길이라고 생각하게 된 것 같다. 결국은 을사조약에 찬성하고 일제로부터 자작 지위도 받고, 조선 귀족으로서 떵떵거리며 천수를 누리다가 죽었다.

더 옛날에 김 대건 신부도 똑똑해서 외국어를 몇 개씩이나 구사했다고 한다. 조선의 관료들도 그 실력이 아까우니 가톨릭 신앙만 버리면 당장 살려 주고 벼슬도 주겠다고 회유했지만 그는 거절했다. 남에게 없는 외국어 실력을 갖고도 이렇게 산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과연 저렇게 산 사람도 있었다.;;
참고로 이 하영의 손자 중 하나가 참 군인이라 일컬어지던 이 종찬 장군이다.

4. 이완용보다 더 부자 매국노

구한말에 나라를 팔아넘겨서 그 댓가로 호의호식했던 매국노는.. 그 뒤에 활동했던 생계형 친일파나 부역자하고는 성격이 좀 다르다. 전자가 후자보다 수가 더 적으며, 훨씬 더 부유하게 살았고 죄질도 더 나쁘다고 봐야 한다.

매국노의 대명사야 뭐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의 교집합 그랜드슬램을 모두 찍은 이 완용이다. 하지만 재산으로만 따지자면 이 완용보다 더 악착같이 돈을 모으면서 더 갑부, 더 억만장자가 된 반역자도 있었다.

  • 민 영휘: 남이섬이 바로 이 사람의 손자인 민 병도의 사유지라 해서 논란이 많았다. 하지만 법정에서는 그 시절에 그 정도 가격이면 한국 은행의 총재까지 역임했던 능력자 민 병도가 개인 연봉과 퇴직금만으로 마련할 수 있는 부동산이고, 딱히 친일의 댓가· 피 묻은 돈이라고까지 볼 수는 없다는 판결이 내려진 상태이다. (참고로 국사학자는 이 병도이구나)

  • 윤 덕영: 지금의 수성동 계곡까지 포함해서 서울 옥인동, 인왕산 자락까지 그야말로 초대형 저택을 꾸렸던 미친놈이었다. 재산이 이 완용보다도 몇 배는 더 많았다고 한다. 이 정도면.. 단순히 일본으로부터 받은 은사금을 밑천으로 해서 각종 부동산이나 사업으로 재산을 더 불린 것도 생각해야 한다. (참고로 축구 선수 골키퍼는 홍 덕영..;;)

Posted by 사무엘

2021/10/29 08:35 2021/10/29 08:35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48

과학 기술의 발전 동향

1. 안전해짐

과거(20세기쯤?)엔 활발히 쓰였지만 현재는 환경을 파괴한다고, 인체에 해롭다고, 혹은 단순히 안전상 위험하거나 부작용이 있다는 이유로 사용이 전면 금지된 물건들을 기억 나는 대로 열거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엔진 노킹 방지용 유연 휘발유: 납 중독 위험
  • 수은 온도계와 수은 건전지: 수은 중독 위험
  • 메탄올 워셔액: 역시 맹독으로 인한 위험

메탄올의 경우.. 위험물인 건 사실이지만, 워셔액 성분으로 인한 자동차 탑승자의 골병 내지 중독 사례가 실제로 보고된 게 있는지는 난 잘 모르겠다.

  • 살충제(모기) DDT: 생물 농축과 부작용, 내성
  • 제초제 그라목손(파라콰트): 맹독으로 인한 자살/무차별 연쇄살인 위험
  • 살충제(식물 병충해) 파라티온: 역시 맹독으로 인한 위험

주유소에서 차에 바로 주입하지 않는 말통 기름을 판매할 때는 반드시 직원이 나와서 구매자를 대면하고, 구매자의 신상을 확보하고 구매 내역을 기록도 한다. 이것처럼 농촌에서 농약은 휘발유나 번개탄에 맞먹는 위험한 물건이며, 인터넷을 통한 비대면 익명 구매가 허용되지 않는다.

일본에서는 197~80년대에 누군가가 개봉한 음료수에다가 그라목손을 섞고 재밀봉해서 자판기 곁에다가 몰래 놔 둬서 생사람 여럿 잡은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 일을 계기로 일본의 음료수들은 재밀봉이 원천 불가능한 원터치 캔 형태로 바뀌기도 했다.

단, 그라목손은 환경 오염은 생각보다 심하지 않은 듯하다. 생체가 아닌 흙에 닿으면 오히려 비활성화돼 버린다니까.. 잎만 죽게 하고 뿌리는 제대로 죽이지 못한댄다. 여느 고엽제 같은 물건과는 성격이 달라 보인다.

  • 건축자재 석면: 폐에 발암물질 농축.. 화생방 어느 분야로도 딱히 특이사항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먼지와 동일한 특성만으로 치명적으로 위험한 매우 이례적인 놈이다.
  • 냉매 CFC 프레온: 반대로 인체에는 당장 아무 위험이 없는 무독성이지만.. 장기적으로 오존층 파괴
  • 화산 폭발 실험 실습용 중크롬산암모늄: 단순히 위험하다는 이유로 수십 년 전에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삭제됨

20세기 초는 서양을 중심으로 인류가 과학 기술 유토피아 환상에 젖어 있던 때였다. 그게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많이 버로우 타긴 했지만, 20세기 중후반엔 냉전과 더불어 과학 기술이 또 다시 무섭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유전 공학, 원자력, 우주 시대, 컴퓨터 정보화 시대까지 열리면서 1980년대쯤엔 인류는 예전과는 약간 다른 방식으로 과학 기술 유토피아 환상에 빠져들기 시작했는데..

이때는 세계 대전이 아니라 자원 고갈 우려와 환경 오염 문제를 갖고 비관론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특히, 인간이 과학 기술의 힘으로 발명해서 편리하게 사용하던 각종 물질들이 알고 보니 아주 해로운 놈이었다는 게 밝혀졌을 때 말이다.
하지만 2020년대가 다 된 지금 생각해 보면.. 그 문제 역시 친환경 과학 기술의 힘으로 많이 극복됐다. 그저 무식하게 과학 기술 문명의 이기를 거부하는 것이 능사가 아니었던 것이다.

친환경 친자연으로 살던 옛날은 각종 원시적인 전염병들이 창궐하고 영아 사망률 높고, 먹고 사는 문제 해결하기에 급급하던 시절이지, 지금보다 더 좋던 시절이 결코 아니었기 때문이다.
전에도 얘기했었지만 지저분한 화석 연료는 나무를 베지 않아도 되게 해 주었고, 위험하다는 원자력은 화석 연료조차 쓰지 않아도 되게 해 주는 관계라는 것이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단, 저런 해로운 물질들의 대체제를 만드는 건 말처럼 쉽지 않다. 대체제는 생산 비용이 비싸거나 성능이 원판만 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게 안타까운 노릇이다.

  • 요즘 워셔액은 메탄올 대신 에탄올이 들어갔다 보니, 워셔액을 분사했을 때 차내에까지 자욱한 술 냄새가 난다. 하지만 에탄올 워셔액은 예전의 메탄올 워셔액보다 단가가 훨씬 더 비싸다.
  • DDT만 해도 이미 20세기 중후반에 진작부터 사용이 금지되긴 했지만.. 당장 말라리아 사망자가 넘쳐나는 동남아-아프리카의 개발도상국에서는 현실적으로 DDT의 압도적인 가성비를 능가할 대체 살충제가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울며 겨자 먹듯이 DDT가 아직까지도 애용되고 있다고 한다. 당장 호랑이나 사자에게 물려 죽는 사람들이 넘쳐나는 동네에서 자연 보호 맹수 보호를 주장할 수는 없듯이 말이다.
  • 그라목손 역시 금지되던 당시엔 농민들이 많이 반발했었다. 얘만치 저렴하면서 강한 잡초 제거 성능을 발휘하는 농약이 없다고 한다. 단순히 성능이 너무 강해서 위험한 것만이 문제이고 다른 부작용은 없다면.. 엑기스를 희석하고 괴상한 맛과 냄새를 첨가해서 판매하면 되지 않을까?

참고로, 화학 조미료 성분인 L-글루타민산나트륨(일명 MSG)은 이례적으로 누명을 벗은 사례이다. 저렴하게 감칠맛을 내는 마법의 물질로 추앙받았지만 장기적으로는 인체에 해롭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그러던 것이 임상 실험을 통해 인체에 정말로 무해하다는 것이 입증되긴 했는데.. 소비자의 인식은 여전히 썩 좋지 않은가 보다. 그러고 보니 이런 조미료는 뭐고 방부제는 뭔지.. 가공 식품의 세계가 참 궁금하긴 하다.

2. 똑똑해짐

요즘 기계들은 내부적으로 갈수록 더 똑똑해지고 에너지 효율이 올라가고 있다. 전자 공학 기술의 발달 덕분에 전혀 안 그럴 것 같은 단순한 물건에도 반도체 소자와 컴퓨터가 내장돼 들어간다. 내부 구조가 '전자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얘들은 같은 일을 하고 같은 성능을 발휘하더라도 3, 40년 전의 물건보다 전기나 기름을 덜 소모하는 편이다. 특히 에너지를 아낀답시고 껐다 켜기를 반복할 필요가 없으며, 적절한 세기로 그냥 켜 두는 게 더 나은 쪽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오랫동안 가동하지 않았다가 처음 가동할 때야말로 예열이나 초기화 같은 이유로 인해 에너지가 더 많이 들기도 하니 말이다.

  • PC: 절전 모드로 해 놓으면 전기를 거의 먹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요즘은 컴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완전히 시스템 종료를 할 필요가 거의 없다. (운영체제 업데이트를 설치한 뒤에나 필요할 듯..)
  • 보일러: 난방도 아니고 온수 정도야 여름이든 겨울이든 그냥 상시 켜 놓는 게 더 낫다. 온수 자체를 사용하지 않는 게 아니라면 말이다(미지근한 물도 포함).
  • 에어컨: 인버터 방식이 등장하면서 에어컨의 효율도 꽤 올라갔다. 하루 종일 켜 놓으면서 등온을 유지하는 건 생각만치 전기를 많이 잡아먹지 않는다.
  • 전기 철도: VVVF 한 마디로 모든 게 설명된다. 전기 모터는 내연기관처럼 공기와 연료 배합을 신경 쓸 필요는 없지만 같은 전력으로 전압과 전류를 적절히 잘 제어하는 게 엔진과 변속기에 대응한다.

그리고 자동차야 더 말이 필요하지 않다.

  • 공기 혼합과 연료 분사 방식이 197, 80년대의 원시적인 카뷰레터보다 훨씬 더 정교해졌다. 그래서 90년대 이후의 자동차들은 예열을 할 필요가 없으며, 엔진 브레이크가 걸릴 때 자동으로 fuel cut도 된다.
  • 자동 변속기의 경우 약하게 가속 페달을 밟으면서 속도를 유지하는 게, 어설프게 뗐다가 재가속 하는 것보다 대체로 더 낫다. 요즘 에어컨이나 보일러가 등온 유지 중일 때는 에너지 소모가 적은 것하고도 일맥상통한다.
  • 심지어 정지 중에 N으로 바꿀 필요도 없다. D+브레이크만으로도 엔진이 알아서 정지 상태에 맞는 연료 절약 모드로 진입하며, 요즘 차들은 심지어 그때 엔진 시동을 잠시 끄는 ISG 기능까지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자동차는 악셀 페달을 밟거나 변속 레버를 조작하는 것 자체가.. 밸브의 개폐 정도 같은 기계의 물리적인 상태 변경으로 직결되지 않는다. 컴퓨터의 판단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전해질 뿐이다. 좋게 말하면 매우 똑똑해진 것이지만, 극악의 확률로 컴퓨터가 오동작할 때 급발진의 가능성이 생긴 것도 이 때문이다.

기계식 카뷰레터와 전자 제어의 효율 차이는 전등에다 비유하면 백열등과 형광등/LED등의 효율 차이에 맞먹을 것이다. 전동차에다 비유하면 구닥다리 저항 제어 vs VVVF 제어하고도 비슷하다.
게다가 내연기관 연료 분사 기술의 경우, 단순히 차 성능과 연비뿐만 아니라 환경하고도 관계가 있다. 연료가 제대로 연소하지 못하면 전부 검댕이나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같은 유해한 배기가스로 바뀌기 때문이다.

세탁소에는 거의 1980년대부터 "컴퓨터 세탁"이라는 수식어가 관행이 돼 있다. 이건 컴퓨터가 내장된 스마트한 세탁기를 운용한다는 뜻이다. 컴퓨터가 세탁물의 양과 상태를 판단하여 물과 세제를 더 똑똑하게 배합해 준다.
그리고 자동차 엔진의 ECU 컴퓨터는 공기와 연료 배합을 그런 식으로 판단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자동차와 에어컨 얘기가 동시에 나왔으니 말인데..
더울 때 창문을 열어서 공기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하고, 그냥 창문 닫고 에어컨을 켜서 엔진 부담을 증가시키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연료 소모가 클까 하는 의문이 자동차 매니아 사이에서 오랜 논쟁거리이다.
고속도로에서 시속 100을 넘어가는 폭주가 아니라 경제 속도 이내라면.. 공기 저항이 그렇게 큰 부담은 아닌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지간해서는 그냥 창문을 여는 게 에어컨보다는 부담을 덜 준다는 것이 본인의 식견이다.

땡볕에 세워져서 내부 온도가 50~60도에 달했을 때 차 시동을 걸면.. 내부는 왕창 뜨거운데 엔진이 충분히 돌아가지 못해서 에어컨은 아직 충분한 냉기가 안 나오니 엔진과 에어컨 모두 부담이 최고로 걸려 있을 것이다. 이때는 몇 분 동안 그냥 창문 열고 주행하면서 열기를 내보내 주는 게 도움이 된다.

참고로, 요즘 똑똑한 전자레인지는 조리 완료 후에도 한동안 냉각 팬이 돌아가면서 내부를 자가냉각을 하고,
자동차는 시동 꺼진 뒤에도 한동안 송풍기가 돌아가면서 압축기 내부의 습기를 제거한다고 한다. 무슨 터보차저의 후열 처리처럼 말이다. 이런 것조차 사람이 신경 쓰지 않아도 되게 바뀌고 있다.

3. 나머지

(1) 형광등은 처음 켤 때 전기를 많이 먹는다는 낭설이 나돌았던 대표적인 물건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게까지 많이 소모하는 건 아니며, 더구나 요즘 형광등은 옛날 것처럼 처음 켤 때 주절주절 깜빡거리지도 않기 때문에 옛날 통념이 많이 사라졌다. 깜빡거리지 않는 형광등도 최신 전자 공학의 산물이다.

(2) 끝으로, 예전에도 언급한 적이 있었지만 또 얘기하자면..
매년 풍년 흉년에 연연하지 않고 밥값이 별 차이 없고, 가물건 폭우가 쏟아지건 물 걱정을 옛날에 비해서는 '훨씬' 안 하고 살고.. 물과 전기가 시간제 제한 공급되는 일이 없고, 매년 수재민 돕기 성금 내기 관행이 없어진 게 본인이 보기에는 보통일이 절대 아니다. 치수 인프라가 예전보다 크게 좋아졌기 때문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1/10/26 08:35 2021/10/26 08:35
Response
No Trackback , 4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47

일본어 언어 유희

1.
일본식 소주인지 청주인지.. 그런 술을 일본어로 '사케'라고 부른다. 그런데 술안주 중의 하나인 연어도 외래어 음차인 '사먼'뿐만 아니라 '사케'라고 한댄다. (단, 억양의 차이는 있음)
우리말에서 고장(region / out-of-order)이나 거리(distance / street)처럼 일본어에도 이런 유형의 동음이의어가 적지 않은 것 같다.

그리고 저 섬나라 사람들도 술을 무척 좋아하는지.. 자국에서 개발한 공개 키 암호화 알고리즘의 이름도 SAKKE라고 붙였다. 고안자의 이름 같은 여러 단어들의 이니셜이긴 한데, 이어서 발음하면 저렇다.;;
하긴, 옛날에 일본 SEGA에서 개발된 황금도끼 게임도 몹들의 이름이 다들 술 이름이긴 했다.

2.
우리나라엔 '대성 나찌 유압 공업'이라고.. 대성 그룹의 계열사이면서 일본에 있는 '나찌-후지코시'라는 이름의 기업과 제휴해서 설립된 기업이 있다. (☞ 홈페이지)
독일 나치 NAZI도 아니고 일본 나치 NACHI라니..!! 대박이다.

하긴, 그 시절에 일본군보다야 독일군이 '때깔'이 더 멋있긴 했다.
검은 군복은 과거에 우리나라 박통의 참모이던 차 지철조차 흉내 냈을 정도이고, 로마 제국 스타일을 흉내 낸 팔 뻗는 경례도 그 자체는 간지 나잖아..

독일은 유보트, V1, V2, 티거 전차 같은 무기도 그렇고, 베를린 올림픽 때 이미 텔레비전 생중계까지.. 과학 기술도 세계 최강이었다.
열등한 인종 민족을 모조리 죽여버려야 한다고 선 넘는 악행만 안 벌였으면 1차 대전 때처럼 그냥 평범한 패전국으로만 남았을 텐데.. 그건 교만으로 인한 패망이고 걔네들의 자업자득이 됐다.

3.
우리나라 현대로템은 '한국 철도 차량'이라고 처음에 상호를 정했는데.. 이게 영어 이니셜이 "KOROS 고로스"(일본어로 殺 죽인다)라고 읽히고 일본 거래처에서 기겁을 하는 바람에 다른 단어를 갖다붙여서 뭔가 스덕스러운 '로템'으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난 일본어를 모르지만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 서유기 편에서 "1등 하는 놈을 증오로 죽인다~!"라는 삼장법사의 저주 대사를 통해서 '이치 ... 고로스'를 들었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일본은 같은 추축국 전범국이어서 그런지, '고로스'에는 민감하면서 어째 나찌라는 상호는 멀쩡히 남아 있나 보다.

4.
일본어 언어유희라는 분야의 끝판왕은 일본의 20세기 격변기를 풍미했던 히로히토 천황의 궁호(미야고)이지 싶다. 한자로는 迪宮인데, 일본어로 읽으면 '미치노미야'...=_=;; 였다.
이건 일제 시대 때 조선인들로부터 당연히 0순위로 '미친놈이야 히로히토'라는 언어유희와 놀림의 대상이 됐다. 순사 짭새들에 대한 멸칭인 '개/나리'만 있던 게 아니었다.

창씨개명이 행해졌을 때도 이 이름을 응용한 창작물이 많이 시도됐다. 그건 좋게 끝나면 등록이 거부되고 퇴짜 맞았으며, 나쁘게 끝나면 당사자가 경찰서로 끌려가서 코렁탕을 먹었다.
일본에서도 식민지 언어인 조선어에 대해 연구를 안 한 게 아니고 한때는 한글/조선어 독본까지 만들었을 정도인데.. 이런 언어유희를 모를 리 없었다.

요즘은 반일 감정에 편승해서 국내 언론에서 어지간해서는 그냥 일왕이라고 부르는 것 같다. 하지만 1990년대 말의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래로 우리나라가 외교 때 정식으로 사용하는 칭호는 여전히 원형 그대로 '천황'이다. 북괴의 수장도 꼬박꼬박 위원장이라고 불러 준다면 굳이 천황만 꺼릴 필요는 없을 것 같다..

5.
옛날에 홍 사익이라고.. 조선 황실 출신이 아닌 평민으로서 일본 육사와 육대를 졸업하고, 일본군 육군 중장(한국군으로 치면 투스타 소장에 대응) 계급에까지 오른 유일한 개룡남 조선인이 있었다. 1889년 3월생으로 히틀러나 찰리 채플린과 거의 동갑내기이다.

하지만 그는 일본의 패전 이후에 전범 재판에 회부되어서 사형을 당했다. 이 사람이 직접 전쟁을 벌이고 나쁜짓을 하지는 않았지만.. 필리핀에서 저질러진 대규모 연합군 포로 학대에 대해 누군가가 책임을 져야 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군인 예우도 못 받았는지 총살이 아닌 교수형이 선고되었다.

그는 사형 판결을 받고 돌아와서는 지인들에게 "나 갑종 합격이야~!"라고.. 무슨 징병 신체검사 1급을 받은 것처럼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얘기해서 주변을 놀라게 했다.
"뭐 갑종...?? 아.. 교수라고..? 교수형??!!!" 일본어는 甲種과 絞首가 발음이 こうしゅ(코우슈)로 같아서 나름 개드립을 친 것이었다.

우리 한국어로 치면 "내 동생이 방금 대학 교수 임용에 합격해서 난 이제 교수형이지롱~" 이런 드립을 친 것과 정확하게 같았다.

진짜 악질 전범이었던 도조 히데키는 옥중에서 불교를 받아들였다. 그래서 "욕망의 이승을 오늘 하직하고 미타(부처님.. 나무아 '미타' 불...)에게 가는 기쁨이여~~" 이런 유언을 남긴 뒤 교수형에 처해졌다.
그 반면, 홍 사익은 옥중에서 기독교에 귀의했다. 참회와 회개의 고백인 시편 51편을 마지막 순간까지 계속해서 되뇌이고 들으며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고 한다.

이 사람은 뭐 독립운동 유공자로 예우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무작정 친일 반민족행위자라고 낙인 찍고 지탄할 대상도 아니었다. 동족에게 막 적극적이고 악질적인 반민족 행위를 저지르지는 않았으며, 창씨개명도 안 하고 늘 자신이 조선인임을 밝혔기 때문이다. 그러고도 일본군 내에서 인정받고 저 정도로 출세한 건 오히려 대단한 일이다.
그랬는데 결국 일본은 패망했고 일본인도 아닌 조선인이 전범이 되어 처벌 받았다니 저 사람 개인으로서는 무척 불운한 경우였다고 하겠다.

Posted by 사무엘

2021/10/23 19:35 2021/10/23 19:35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46

성경 번역 스타일의 차이

이 글에서는 KJV 유일주의자가 주로 관심을 갖는 분야인 교리 분야의 텍스트 변개가 아니라, 그냥 번역 스타일의 차이(이역)에 더 가까운 주제들을 다루었다.

1. 비인격적(?)인 표현

영어 킹 제임스 성경은 현대에 번역된 성경들에 비해 뭔가 덜 인격적인(?) 대명사를 써서 번역된 구절이 좀 있다.

(1) 먼저 떠오르는 건 열왕기상 3장의 그 유명한 솔로몬의 재판 장면.
영어를 잘 읽어보시면 문제의 갓난아기를 전부 it으로 가리키고 있다. 아기의 성별이 뭔지 모르는 문맥인 것도 아니고, 두 여인이 나름 아들이라고 거듭 거듭 얘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he/him을 쓰지 않았다.

아기 예수, 그리고 창세기에서 베레스와 세라(창38:27-29)의 출산처럼 다른 곳에서는 갓난아기에게 성별을 부여한 인칭대명사를 얼마든지 사용한 사례가 있다. 그런데도 솔로몬의 재판만은 다른 이유가 있었던 걸까?
히브리어 원어가 그렇게 쓰여 있어서? 아니면 진짜 엄마가 나서기 전까지는 왕이 아기를 진짜로 물건 취급하고 divide it, slay it 이런 명령까지 내렸기 때문일까? 잘 모르겠다.

(2) 성령님의 기도 중보를 말하는 유명한 롬 8:26에서 the Spirit을 itself라고 가리킨 것도 유명하고 심지어 오역 논란을 빚고 있기도 하다.
성령은 물이나 불, 바람, 기름 같은 무생물로 예표될 때가 있지만 그래도 명백하게 하나님의 삼위 구성원이고 인격적인 존재이다. 그런데도 himself가 아닌 itself라고 번역된 것은 나도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일단 원어가 그렇게 쓰여 있기 때문이라고 들었다.

(3) 예수님 관련 예언인 눅 1:35에서는 다른 거의 모든 성경은 the Holy One (거룩한 이, 거룩하신 분)이지만 KJV만은 아예 the holy thing (거룩한 것)이다.
KJV를 번역했다는 흠정역조차 오래 전 초창기에는 '거룩한 이'라고 의역을 해서 출간됐었다. 그러다가 "우리 통념상 어색하더라도 KJV를 번역했다면 닥치고 KJV 단어에만 충실하게 옮겨야 합니다" 이런 설득과 권면이 받아들여져서 지금처럼 번역이 수정됐다.
그 예언은 예수님의 육신, 생물학적인 단백질 덩어리 몸만을 가리키는 문맥이기 때문에 thing이라는 것이 이쪽 진영의 입장이다.

사실, KJV는 요즘 영어처럼 하나님/예수님을 가리키는 대명사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시하는 처리조차도 돼 있지 않다. 그런 관행 자체가 후대에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2. 더대오? 렙배오?

마 10:3은 예수님의 공생애 시절 제자들 명단의 일부이다.
다른 모든 성경들은 “빌립, 바돌로메, 도마, 세리 마태, 알패오의 아들인 야고보, 그리고 다대오(Thaddaeus)”라고 돼 있다.
그런데 킹 제임스 성경은 다대오가 그냥 다대오가 아니라 “다대오라는 별명을 가진 렙배오(Lebbaeus)”라고 돼 있다. 이 렙배오라는 명칭의 정체는 도대체 뭘까..??

본인은 KJV 유일주의에 입문한 지 어언 20년 가까이 돼 가지만, 이런 차이가 있는 건 꿈에도 몰랐다.;; 사실은 다대오가 가룟 유다와 동명이인인 제자 유다를 가리키고, 요 14:22에서 질문을 한 그 사람이란 것도 지금까지 별로 인지를 못 하고 있었다.
더 놀라운 건 이 사실을 내가 원래 다니던 교회가 아니라 여친 교회의 설교에서 처음 들었다는 것이다. (개역개정 쓰는 일반 기성교회)
이분들도 킹 제임스 성경에 대해서 모르시는 건 아니구나. 한 수 배웠다.

사실, KJV 유일주의 진영에 들어오면 “구원에 이르도록 자라라”, “하나님이 육체 안에 나타나셨고” 같은 교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더 자극적이고 치명적인 차이점/변개 내역에 대해서 자주 듣지, 저런 단순 정보 전달 쪽의 성경 번역 차이에 대해 들을 기회는 생각보다 드물다. (압살롬의 반역 본문에 나오는 40년 vs 4년 같은 것도..)
렙배오인지 랩배틀인지 저것도 뭐.. 루시퍼, 갈보리, 이스터처럼 유명한 명칭은 아니니까 말이다.

야고보와 유다는 신약 성경에서 헷갈리는 동명이인이 굉장히 많은 명칭 중 하나이다. 저 다대오 유다는 가룟 유다하고는 말할 것도 없고, 유다서를 기록한 유다하고도 다른 사람이라고 여겨진다.

그나저나 다대오의 영어 스펠링을 보니.. 옛날에 애니매트릭스의 첫 에피소드 “오시리스의 마지막 비행”에서
Good bye, Thadeus / Good bye, Jue / Fly baby, fly!
대사가 떠오르는군..;; 매트릭스가 아예 삼위일체도 나오고 이것저것 성경에서 모티브를 딴 명칭이 여럿 있었던 걸로 내가 기억한다.

3. 한킹(말보회)과 흠정역의 차이는?

번역자의 인성과 자질 논란 같은 본질적이지 않은 문제를 몽땅 배제하고..! 순수하게 텍스트만 따져보면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 흠정역은 이집트, 페르시아, 에티오피아처럼 세속적으로 통용되는 것을 제외하면 책 이름과 고유명사 외래어를 개역성경과 동일하게 표기했다. 한킹은 그렇지 않다 '스카랴/슼, 판관기(사사기) 등'
  • KJV, 그리고 흠정역, 개역성경 등은 인용을 나타내는 여닫이 문장부호가 없다. 하지만 한킹은 어째 따옴표를 임의로 넣었다. 하나님/예수님 가라사대 같은 인용문들을 볼 것.

  • 흠정역은 번역 방침과 번역자의 신념으로 인해 KJV에서만 튀는 단어를 티 안 나게 최대한 보수적(?)으로 번역한 반면, 한킹은 튀는 쪽으로 번역했다. 창 1:28 replenish가 한킹은 '다시 채우다'이지만 흠정역은 그냥 '채우다'이다.
  • 한킹은 창 22:8 God will provde himself a lamb을 "하나님이 자신을 어린양으로 예비하실 것이다"라고 번역한 유일한 역본이다.
  • 흠정역은 노아의 흑역사, 잠 23의 극딜 같은 극도로 부정적인 상황이 아닌 한, wine을 몽땅 '주'가 아닌 '즙'이라고 번역했다. 그래서 요한복음 가나의 혼인 잔치에 포도주 대신 포도즙이 등장하는 유일한 역본이기도 하다. 한킹은 그렇지 않음.
  • 흠정역은 구약 여러 곳에서 등장하는 우상 숭배 장소인 grove(창 21:33)를 그대로 '작은 숲'이라고 번역했지만 한킹은 타 성경 같은 '아세라 목상'도 아니고 그냥 '아세라'라고 번역했다. 고증과 교리 특성상 그렇게 했다고 당당히 해명을 하고 있다.
  • 반대로 흠정역이 고증(?)을 이유로 달리 번역한 단어 중 하나는 candlestick이다. 한킹은 촛대, 흠정역은 등잔대임. (그 시절에 파라핀 양초가 존재했었느냐의 여부..)
  • 한킹은 신약의 경우, 영어 KJV가 아니라 TR 본문을 따라 번역한 곳도 있다. 이 점은 초판 서문에도 명시돼 있다. 그래서 대표적으로 고후 13:11 잘 있으라, 바이바이(farewell)를 뜬금없이 '기뻐하라'라고 옮겼다.

  • 흠정역은 2011년에 나온 제5판 400주년 기념 에디션이 최신이고, 조만간 마지막 6판 개정이 계획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킹은 2010년대 더 나중에 또 개정된 것이 있지 싶은데.. 이건 본인은 잘 모르겠다.
  • 요즘 나오는 한킹도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한킹은 한글 본문에서 고유명사를 고딕체로 표기하지 않아서 읽기 좀 불편한 감이 있다.

Posted by 사무엘

2021/10/21 08:36 2021/10/21 08:36
,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45

1. 가상화

배우는 원래 없는 감정을 있는 것처럼 잘 몰입해서 연기하는 게 주업이었다.
그런데 CG가 발달하면서 드라마· 영화 배우에게 추가적으로 꼭 필요해진 능력은.. 없는 물건이나 배경을 있는 것처럼 인지하고 훼이크 치는 스킬임이 틀림없다.

뭐, 손바닥 펴서 앞에 가상의 벽면을 두드리는 흉내를 낸다거나, 손동작만으로 줄다리기 흉내를 내는 건 일반인들도 흔히 하는 장난이다. 그리고 기상 캐스터도 시퍼런 크로마 키 가림막밖에 없는 공허한 세트 안에서, 머릿속으로만 가상의 지도를 떠올리면서 여기저기를 혼자 가리키며 예보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옛날에 TV 드라마 "딸부잣집"의 오프닝 직전에 잠깐 나오던 무선 줄다리기 퍼포먼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작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실사 영화의 촬영 장면 중 하나..)

하지만 전문적인 연기자는 더 정교한 동작을 소화해야 한다. 그것도 모션 캡처 장비를 치렁치렁 착용한 상태로 말이다. 공허한 세트에 있지만 지금 배를 타고 있거나 뉴욕 길거리 한복판에 있거나, 치열한 전장이나 우주 공간에 있는 것처럼 행동을 해야 하니 이것도 만만찮은 감정 노동일 것이다. 자기 내면뿐만 아니라 외부 배경까지 가상화를 해야 한다.;;

로보캅 같은 영화가 요즘 만들어졌다면 주연 배우는 센서가 달린 쫄바지 쫄티 차림으로 연기를 했을 것이다.
하지만 쟤는 무려 1980년대 말 작품이니.. 그 금속 분장이 레알 현물이었다. 분장을 걸쳤다가 벗는 수고도 장난이 아니었고, 분장의 무게도 무시 못 할 지경이었다고 한다.

그나저나 "Dead or alive, you're coming with me!"라는 로보캅의 대사는 아저씨에서 "결론부터 말할게. 넌 내가 잡는다."라는 치곤 형사의 대사와 아주 비슷해 보인다.

2. 무인화

비행기 조종사의 자리를 무인기가 조금씩이나마 차지하고 있는 것처럼, 요즘은 사이버 모델이 다시 등장해서 인간 배우의 역할을 제한적이나마 대신하기 시작했다.
지난 7월에는 '신한 라이프' CF에서 여성 사이버 모델 '로지'(오로지;;)가 전격 출연해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웬 예쁘장한 무명 신인 모델이 격렬한 댄스를 선보였는가 싶었는데.. 이 처자는 실존 인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이버 모델이라는 건 먼 옛날인 1990년대 중후반에도 미국, 일본 같은 나라에서 등장한 적이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아담이니 루시아니 이러면서 데뷔했었지만.. 그때는 기술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못해서 큰 인기를 끌지 못하고 망했다.
비주얼도 사실감이 부족하고 엉성하고, 또 출연 영상 한 회분을 만드는 데 드는 난관과 비용도 너무 커서 채산성이 안 맞았다고 한다.

하지만 그로부터 20년 이상 시간이 지나니 CG 기술은 그때와는 차원이 다를 정도로 눈부시게 발달했다. 실사와 구분이 어려운 디테일을 자랑하는 사이버 모델이 진짜 사람처럼 격렬하게 댄스를 추는 영상을 훨씬 더 저렴하고 빠르고 쉽게 생성할 수 있게 된 것이다. 90년대까지만 해도 3D 그래픽 좀 만지려면 비싼 워크스테이션 급 컴터가 필수였다지만.. 요즘은 일반 PC가 그런 영역까지 진작에 다 흡수했으니 말이다.

사이버 모델이 출현할 거라는 건 이미 1990년대의 컴퓨터 잡지들에서도 예견했었다.
사이버 모델은 현실 연예인 같은 높은 인건비를 요구하지 않을 것이고, 건강 문제 없고 요즘 같은 코로나19 영향도 전혀 받지 않을 것이며, 자기관리 실패 스캔들을 일으키지도 않을 테니.. 기획사의 입장에서는 눈독을 들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사이버 모델이 충분히 연기 잘 하고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면 말이다.
1990년대에는 아이디어가 시대를 너무 앞서갔던 감이 있었던 반면, 지금은 그때에 비해 실현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아졌다.

3. 몰입

자동차건 비행기건 자율 주행 기술이 현업 자동차 운전사나 비행기 조종사의 직업을 완전히 빼앗을 날은 아직은 요원하다. 기계 번역이 인간 전문 통번역사의 밥줄을 완전히 빼앗을 날 역시 가까운 미래엔 없을 것이다. 이 점에서는 사이버 모델도 마찬가지이다.

오늘날의 연예인들은 여느 분야와 마찬가지로 고도로 전문화된 업종의 종사자이다. 혼을 담은 연기를 하기 위해서 자기 자신이 아니라 자신이 맡은 배역의 정체성을 그야말로 세뇌에 가깝게 주입하고 연습한다.
가령, 학대 범죄 피해자를 연기한다면 진짜로 밥을 굶고 얻어맞기도 하면서 범죄 피해를 경험하고.. 여느 운동 선수 만만찮게 키와 체중을 조절하고.. 실존했던 역사 인물을 연기한다면 그 인물의 모든 생애와 심리를 미주알고주알 공부한다.

이런 사례들이 한둘이 아니다.
예전에 일본 SEGA에서 버추어 파이터를 처음으로 개발할 때, 프로젝트 책임자이던 스즈키 유는 자기부터 중국 소림사에 가서 직접 무술 수련을 받으면서 격투 동작을 연구했음은 물론이거니와, 휘하의 팀원들끼리도 서로 개싸움이라도 시키고 주먹과 발로 때리고 맞게 하면서 게임 개발의 감을 잡게 했다지 않는가..?? =_=;;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고 보니 모탈 컴뱃이야.. 2D 시절에는 액션 배우의 실사 연기를 그대로 따서 만들어지기도 했고..
물론 게임 개발은 연기하고는 약간 영역이 다르지만, 어쨌든 이런 것들도 이 정도로 장인 정신을 동원해서 개발하고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굳이 영화· 드라마를 위한 연기가 아니더라도 말이다.
옛날에 김 대중 대통령이 남북 정상 회담 때문에 김 정일을 만나기 전에..
국정원에서 자체적으로 김 정일을 카케무사 내지 도플갱어 급으로 시뮬레이션( ...;; )한 북한 전문가를 양성해서 대통령을 독대하면서 리허설 예행 연습을 시켰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다.

그 사람은 북한에 대한 첩보란 첩보는 다 공부하면서 자기 원래 정체성을 삭제하고 북한 수괴의 말과 행동과 생각을 최대한 비슷하게 재현했다고 한다.
글쎄, 오늘날 같은 엄청난 머신러닝과 AI 기술이면 기계가 사람의 인격을 흉내 내는 것까지 이론적으로 불가능하지는 않겠지만.. 이건 그래도 AI 덕분에 의사· 판사 같은 직업이 필요 없어지는 정도까지는 돼야 실현되지 않을까 싶다.

4. 유행어

  • 김 영철: 4딸라 / 누가 기침소리를 내었는가? (영화가 아니라 드라마에서!)
  • 김 광규: 아부지 뭐 하시노??
  • 김 희원: 방탄유리 -_-;;;

어떤 배우가 단순히 흥행 대박 난 작품에 주연으로 출연하는 정도를 넘어서, 이렇게 국민 명대사의 주인공으로 각인되는 건 정말 엄청난 행운일 것이다. 사이다 아니면 병맛 중독성 중 하나 이상은 만족돼야 하지 않을까 싶다.
게다가 명대사라는 게 해당 작품이 갓 상영됐을 때는 별로 주목을 못 받다가 뒤늦게 조명되어서 뜨는 경우도 있다.

<태조 왕 건>이나 <야인시대>가 본방 나오던 시절엔 코흘리개였거나 심지어 태어나지도 않았던 애들도 김 영철의 별명이 4딸라와 궁예인 걸 알 정도이다.
김 희원은 이제 자기 평생에 방탄유리-_-를 능가하는 다른 무언가는 더 나오지 않을 거라고 말하기도 했댄다.;;

Posted by 사무엘

2021/10/18 08:35 2021/10/18 08:35
,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44

Windows API에서 LoadLibrary는 말 그대로 실행 파일(exe/dll)을 현재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다 불러들여서 거기 있는 코드를 실행하거나 리소스를 추출하게 해 주는 함수이다.
그리고 얘의 심화 버전은 LoadLibraryEx이다. Ex 버전은 옵션을 추가로 받아서 절대 경로 없이 파일명만 주어졌을 때 디렉터리를 탐색하는 순서를 지정할 수 있고, 파일이 이미 load되어 있을 때 레퍼런스 카운트 변경 여부 같은 것도 수동 지정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옵션들은 현업에서 잘 쓰이지 않는다. 저 함수에서 실질적으로 자주 쓰이는 옵션은.. DLL에서 리소스를 추출할 준비만 하고, 코드를 실행할 준비--기준 주소 재배치, DllMain 함수 실행--는 생략해서 로딩 속도를 좀 더 향상시키는 LOAD_LIBRARY_AS_DATAFILE이다. 특히 x86, x64, ARM 같은 아키텍처를 불문하고 동일 DLL에 있는 리소스 데이터를 추출하려면 이 '간소화' 플래그를 반드시 지정해야 한다(다국어 UI 리소스 같은..).

그런데 문제는.. 이 DATAFILE 간소화 로딩이란 게, 과거에는 "리소스 추출에만 특화"이라는 자기 본연의 기능에도 모종의 이유로 인해 뭔가 2% 부족한 구석이 있었다는 것이다.

Windows 9x 시절에는 이 제약이 제일 심했다. 간소화 로딩된 DLL 핸들에 대해서는 (1) 리소스를 제일 저수준에서 탐색하는 EnumResourceLanguages/Names/Times 및 Enum/Find/LoadResource 계열 함수만 사용할 수 있었다. 이들보다 상위 계층에서 동작하는 Load*계열 함수들은(string, menu, bitmap, image 따위) 지원되지 않았다. 그러니 간소화 로딩의 활용성이 부족했으며, 여전히 기존 full(?) 방식 로딩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허나, 한편으로는 저 제약이 그렇게까지 본질적이고 치명적인 문제가 아니었다.
Windows 프로그램에서 리소스 전용 DLL을 사용하는 주 목적은 다국어 UI 제공.. 아니면 대화상자· 메뉴 같은 표준 리소스가 아니라 자기 자신만 사용하는 custom 데이터의 저장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표준 리소스들도 특정 언어에 속하는 놈을 지정하려면 "DLL 핸들 + 리소스 ID"만으로는 어차피 충분치 않다. FindResourceEx와 LoadResource의 결과값인 메모리 포인터를 줘야 하며, 함수도 LoadMenuIndirect, DialogBoxIndirect처럼 뒤에 indirect라는 단어가 붙은 '저수준 버전'을 써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리소스 추출용 간소화 방식으로 load한 DLL은 저수준 함수로만 다룰 수 있더라도 그럭저럭 사용할 만했다. 그런데 여기에는 다른 이상한, 자잘한 문제도 있었다.

DialogBoxIndirect 함수는 대화상자 리소스를 "모듈(인스턴스) 핸들 + 리소스 ID"가 아니라 대화상자 템플릿 포인터 하나로만 곧장 지정함에도 불구하고, 모듈 핸들을 여전히 인자로 받는다. 내부적으로 CreateWindowEx 함수를 호출할 때 모듈 핸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대화상자 자신, 그리고 내부의 child 컨트롤들 생성).

그런데 (2) 이때 리소스 추출 간소화 방식으로 load한 DLL의 핸들을 주면.. 구형 운영체제에서는 여러 문제들이 발생했다.
일단, 자기 자신이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커스텀 컨트롤--표준 컨트롤이 아니고, CS_GLOBALCLASS 등록된 커스텀 컨트롤도 아닌 놈--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이건 CreateWindowEx 함수의 특성상 자연스러운 귀결이지만, 그 이상으로..

내 기억이 맞다면 대화상자의 배경색이 일반적인 회색이 아니라 흰색으로 바뀌고 좀 만지다 보면 프로그램이 뻗었다. Windows 9x뿐만 아니라 나름 NT 계열인 2000에서도 말이다.
그 이유는 딱히 알 수 없었다. 그저 경험적으로 이런 DLL 핸들을 집어넣어서는 안 된다고 날개셋 한글 입력기 소스의 주석에도 엄청 옛날에 적혀 있었다.

물론 이 역시 본질적이고 치명적인 문제는 아니다.
윈도우의 생성과 관련해서 전달하는 인스턴스/모듈 핸들은 그 윈도우의 클래스를 등록한 주체를 식별하는 용도이다. 애초부터 리소스가 전혀 아니라 코드와 관계가 있다. 그러니 여기는 애초에 리소스 추출 간소화 방식으로 load된 DLL이 들어갈 자리가 아니다. 그런 DLL을 집어넣은 것은 사실상 프로그래머의 실수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이쯤 되니 의문이 생긴다. 프로그래머가 아무리 실수할 수 있기로서니, 그걸 넘겨주면 단순히 custom 컨트롤이 생성되지 않는 것 이상으로 왜 다른 이상한 부작용까지 발생한 것일까? 차라리 깔끔하게 에러와 실패 처리를 하는 것도 아니고 말이다.
DLL을 일반적인 방식으로 load하는 것과 datafile(리소스 특화 간소화) 방식으로 load하는 것은 내부적으로 무슨 차이가 있는 걸까?

오늘날의 32비트 및 64비트 Windows 환경에서는 DLL을 로딩한 결과 핸들(HMODULE / HINSTANCE)은 그 파일 내용을 가리키는 데이터 포인터와 거의 동급이라고 여겨진다. 파일을 memory-mapped file 형태로 통째로, 혹은 약간의 보정만 거쳐서 읽어들인 첫 지점이다. 쉽게 말해 그 핸들이 가리키는 메모리에는 EXE 파일 시그니처인 MZ부터 쭉 나온다는 것이다.

그리고 실행 파일은 메모리 주소가 언제나 64KB의 배수 단위로만 배당된다는 것도 이 바닥에서 프로그래밍 좀 한 사람들은 아실 것이다. 그 말인즉슨, 일반적으로 HMODULE 내지 HINSTANCE의 값은 64KB의 배수이며, 하위 word가 언제나 0이 된다는 뜻이다.
하지만 특수한 상황에서는 이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핸들도 있을 수 있다.

(1) 먼저, 과거의 Windows 9x 환경에서는 16비트 프로그램에서 호출한 LoadLibrary의 리턴값이 대표적인 예이다. 얘들은 핸들의 크기 자체가 16비트밖에 안 되니 리턴값과 내부 의미 역시 32비트 프로그램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여야 한다.
물론 이미 32비트 형태로 빌드된 프로그램이야 이런 거 신경 쓸 필요가 전혀 없으며, 16비트와 32비트 프로그램을 모두 한데 관리하는 운영체제의 관점에서나 구분이 필요하다.

(2) 그리고 LoadLibraryEx + datafile 방식으로 불러들인 dll 핸들도 형태가 약간 달라진다. 운영체제의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단 해당 DLL의 preferred base는 완전히 무시되며, 굳이 64KB라는 큼직한 단위로 주소가 배당되지 않는다.
결정적으로는 최하위 비트에 1이 추가돼서(= 홀수!!) 얘는 datafile 방식으로 생성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메모리 주소로서의 DLL 핸들은 하위 16비트에 어차피 유의미한 정보가 담겨 있지 않으니.. 그 잉여 공간에다 이런 정보를 보관한다는 뜻이다.

요컨대 HMODULE / HINSTANCE는 16비트 프로그램 또는 datafile 방식에 한해서는 64KB의 배수 단위인 깔끔한 포인터가 아니게 된다. 그런데 과거에는 운영체제 내부에서 이런 변칙적인 핸들을 취급하는 방식이 서로 충돌했던가 보다.

kernel32는 이 DLL이 datafile 방식으로 load되었다는 것을 식별하기 위해서 핸들값에다가 1을 추가했다. 하지만 user32의 대화상자 표시 함수는 datafile 방식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이 없으며, 이 핸들값이 하위 16비트가 비영인 것을 보고는 이건 16비트 모듈이라고 인식해 버렸다. 그리고 16비트 프로그램과의 하위 호환을 위한 보정 처리를 수행했다.

그 보정 처리 중에는 대화상자 내부의 각 에디트 컨트롤들에 대해 고유한 데이터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것도 있었다.
아시다시피 에디트 컨트롤, 특히 multiline으로 동작하는 놈은 혼자서 수백, 수만 바이트에 달하는 텍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모든 컨트롤들이 한 64KB 데이터 세그먼트를 공유할 게 아니라 각각이 고유한 세그먼트를 갖는 게 낫다. 이것을 대화상자 표시 함수가 내부적으로 해 줬다.

(그럼 이건 특별히 메모리가 많이 필요한 에디트 컨트롤에 대해서 고유한 스타일을 줘서 그 컨트롤이 알아서 처리하면 되지, 이런 걸 왜, 어떻게 상위 윈도우인 대화상자에서 처리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그리고 그런 식이면 에디트 컨트롤뿐만 아니라 리스트나 콤보박스도 수천 개의 아이템을 추가하느라 메모리가 많이 필요할 때가 있을 텐데 걔네들은 어떻게 처리되는지도.. 개인적으로는 잘 모르겠다. ㄲㄲ)

어쨌든.. 대화상자를 생성할 때 datafile DLL의 핸들이 지정되면 저런 복잡한 이유로 인해 16비트 보정이 수행되는데.. 실제로 대화상자를 돌리는 이 프로그램은 16비트 프로그램이 아니다. 그래서 보정 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프로그램이 죽는 등 갖가지 오동작과 이상 현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그래서 그랬던 것이군~!! (☞ 더 자세한 설명)

대화상자에도 스타일이 있다. 하지만 이건 윈도우 스타일의 형태로 지정해 주는 게 아니고 DialogBox 계열 함수에다가 인자로 전하는 것도 아니며, 그냥 대화상자 리소스 템플릿에 박혀 들어가는 값일 뿐이다. 그러니 다른 스타일 플래그들에 비해 인지도가 매우 낮으며 프로그램 코드에서 볼 일이 없다시피하다.

이 대화상자가 다른 대화상자의 child로 들어갈 수 있음을 나타내는 DS_CONTROL, 용도가 좀 모호하긴 하지만 [?] 모양의 도움말 버튼을 우측 상단에다 표시하는 DS_CONTEXTHELP 같은 건.. 오늘날까지도 유효하다. 하지만 16비트 시절의 잔재이고 오늘날은 아무 의미 없는 플래그도 있다.

대표적으로 DS_3DLOOK은.. Windows 95/NT4부터는 대화상자들이 처음부터 기본적으로 버튼과 동일한 은색/회색이고 각종 테두리도 양각 음각 입체(?) 효과가 적용되어 나오므로 존재의 의미가 없어졌다.
그리고 DS_LOCALEDIT라는 놈이 있는데.. 얘는 자기 내부의 모든 에디트 컨트롤들이 고유한 데이터 세그먼트가 아니라 기본 제공되는 단일 64K 세그먼트를 공유하게 해서 메모리를 아끼는 플래그이다. 에디트 컨트롤에 많아야 수십~수백 자밖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게 보장되면 사용해 볼 만한 옵션이었다. 32비트 이후부터는 아무런 의미가 없어졌지만..

그리고 이렇게 DS_LOCALEDIT 옵션이 적용된 대화상자는 아까처럼 Windows 9x에서 datafile DLL 핸들을 지정해 주더라도 16비트 보정 처리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오동작· 오류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한다.
물론 이 문제는 Windows NT 계열을 넘어 16비트 프로그램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64비트 운영체제의 관점에서는 더욱 무의미한 지나간 옛날 추억이 되었을 뿐이다.

16비트에서 32비트로 넘어갈 때는 16비트 환경에서도 far이니 huge니 하면서 어떻게든 16비트 코드에서 64KB를 초과하는 메모리 영역을 다루려고 애썼으며, 반대로 32비트 주소 공간에서 16비트 코드를 수용하고 실행하려고 온갖 발악을 했었다. 하지만 32비트와 64비트는 서로 완벽하게 격리된 채 공존할 뿐, 상대방 영역을 전혀 건드리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이상이다.
여담이지만 날개셋 한글 입력기의 소스를 뒤져 보니.. 어떤 DLL을 datafile 방식으로 읽어들인 상태에서는 그 DLL에 대해서 VerQueryValue 같은 버전 정보 확인 API도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다는 주석이 적혀 있다. 그래서 버전 리소스를 수동으로 직접 파싱하는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했다.
Windows Vista 이상 또는 심지어 9x 계열에서도 괜찮았으며 2000/XP에서만 문제가 발생했다고 하는데.. 이 역시 LoadLibraryEx 함수의 부작용이 아니었나 추측해 본다. 과거에 일반 로딩과 datafile 특화 로딩은 내부 동작이 여러 모로 차이가 컸던 모양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1/10/15 08:34 2021/10/15 08:34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43

1. 짐승의 표

요한계시록 13장에 나오는 그 이름도 유명한 짐승의 표, 그리고 짐승의 수 666은..

(1) 당연히 명백히 매우 부정적인 심상이다.
계 14:9-10의 구절로 미뤄 보건대 이건 구원을 상실한 영원한 고통과 형벌을 수반한다. 또한 20:4에 따르면, 반대로 이걸 받지 않아야만 예수님의 지상 재림 때 천년왕국에 들어갈 수 있다.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짐승의 표가 무엇이고 수가 무엇인지, 구체적인 실체는 “아직 우리가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모른다”가 가장 가장 합리적인 해답이어 보인다.
바코드, 베리칩, 이상한 백신.. 지금까지 예상이 이만치 빗나갔으면 이젠 좀 회개하고 자기가 성경을 적용하는 방식을 좀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것 때문에 지금까지 시험 들고 성경에 대한 믿음, 종말에 대한 믿음이 파괴된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3) 짐승의 표는.. 누군가가 자발적으로 짐승 적그리스도에게 경배하고 나서 그 증표로써 받는 것이다.
영적인 가치 판단이 전혀 개입되지 않은 단순 과학 기술 문명의 이기는 짐승의 표가 절대로 아니다. 이건 성경이 분명히 말하는 사실인데.. 1990년대부터 교회에서 종말 설레발 함부로 치지 말고 분간을 제대로 했어야 했다.

누군가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부지불식 중에 짐승의 표를 받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마치, 느부갓네살 왕 시절에 누군가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부지불식 중에 왕의 황금 형상에 절하는 것은 불가능했던 것과 동일한 이치이다. 침례교회에서 누군가 당사자가 모르는 사이에 침례를 주는 게 불가능한 것과도 같다. (유아세례야 뭐 애 당사자가 너무 어리니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받을 수 있겠지만.. 침례는 그렇지 않다!)

(4) 그리고 결정적으로.. 지금 구원받은 신약 교회 성도들은 이미 휴거되어 올라가고 없고 대환란을 겪지 않는다. 저런 짐승의 표 따위를 마주칠 일이 없다. 올레~!!!
신약 성도들은 적그리스도가 아니라 예수님을 볼 준비만 하면 된다.

그 대환란을 겪지 않는다고 해서 생활 속에서 예수쟁이로서 일상적인 십자가를 지지 않는다거나 환란과 고난을 겪지 않는다는 말은 절대 아닌데(행 14:22, 딤후 3:12, 벧전 4:12 따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도 말이 안 통하는 사람이 안타깝지만 엄청나게 많다.;;

지금 우리가 "그때 짐승의 표를 절대 받지 않게 용기 주시옵소서. 고문 당하지 않고 단칼에 순교할 수 있게 도와 주시옵소서" 이런 기도를 열심히 하는 건.. 창세기 50장에서 요셉의 형들이 요셉에게 "아버지가 돌아가셨지만 부디 우리를 해코지를 하지 말고 변함없이 너그럽게 봐 주시옵소서" 이런 간구를 하는 것과 비슷한 짓일 것이다.
예수님과 100가지가 넘게 닮았다는 요셉이 그때 펑펑 울었듯이, 저런 웃픈 기도는 분명 예수님을 울게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너무 갸륵하고 기특해서 감동받아서 우시는 건 절대 아니다~!

2. 성경의 예언

본인은 성경의 예언들 중에 2000여 년 전의 예수님의 초림과 명백하게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닌 것, 긴가민가 뜬구름 잡는 것 같고 너무 비현실적이고 판타지처럼 보이는 것들은 그냥 “아직 이뤄지지 않은 예언, 재림 때 문자적으로 이뤄질 예언”이라고 본다. 특히 계시록 4~19장 사이 말이다.
전부 다 비유 은유 묵시이고, 지난 2000여 년 교회 시대 동안 서서히 이뤄져 왔다는 식으로 보지는 않는다. 문자적으로 사실이긴 한데, 시기와 장소와 적용 대상이 다르다.. 이게 더 건전한 관점이다.

사실, 성경에는 아직 이뤄지지 않은 예언이 더 많이 적혀 있다. 은사주의자들이 좋아하는 욜 2:28조차도 오순절 때 이뤄진 게 아니라 아직 이뤄지지 않은 예언이다.
그런데 당장 이해가 되지 않고 실감이 안 간다고 해서.. 성경이 문자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는 걸(예: 1천 년, 영과 혼의 구분 따위)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3. 구원의 확신

(1) 진심어린 동의 없이 영접 기도 달랑 읊고는 거짓 구원의 확신을 갖는 것은 매우 잘못됐지만..
반대로 성경에 뻔히 기록된 약속을 근거로 구원의 확신을 갖는 것 자체가 교만(!!!!)이라고 이상하게 몰아세우는 것도 매우 잘못됐다.

(2) 예수님이 언제 오시나, 내일 내게 무슨 일이 닥치나, 짐승의 표의 정체가 무엇이냐 이런 게 불가지론이지..
신이 존재 여부 자체 내지 하나님의 아들 신분으로서 신자의 구원 여부와 사후 세계가 불가지론인 건 절대 아니다.

(3) 신앙 생활이 우리 인간에게 유리하게 짜여 있는 건 믿음만으로 아무 값없이 우리의 노력이 전혀 없이도 구원을 공짜로 얻는 것, 먼저 쉬고 은혜를 누리고 나서 일을 하는 것, 구원이 영원히 탄탄히 보장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반면, 인간에게 불리하게 짜여 있는 건 개인의 미래에 무슨 일이 있을지 알 수 없고 예수님이 언제 오실지 알 수 없는 것, 성경대로 경건하게 살면 당장 세상적으로 불이익을 겪고 손해 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하나님이 다른 건 몰라도 "평생 죄 짓고 살다가 나 죽기 바로 직전에만 믿으면 되겠네?"가 호락호락 가능하게 해 놓지는 않으셨다.

(4) 비슷한 예로,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사랑과 공의를 겸비하신 전지전능한 하나님이 계신 것, 죽음이 끝이 아니라는 것, 우리의 모든 인생 내역과 마음 속 생각이 하나님 앞에 다 드러날 거라는 사실이다.
그 반면, 잘못된 두려움은 하나님보다 인간을 두려워해서 죄에 동참하는 것, 하나님의 성품을 오해해서 "이러다 지옥 가면 어떡하나, 대환란 때 단칼에 죽지 못하면 어떡하나" 같은 자포자기 두려움이다.

  • 입문(쉬움): 중생, 죄의 형벌로부터 구원, 첫 성령 침례, 구원받은 죄인
  • 마스터(어려움): 성화, 죄의 권능/임재로부터 구원, 지속적인 성령 충만, 예수님의 제자

복음서에서 말하는 누구나 쉽게 값없이 은혜로 믿음으로 받는 구원에서 시작했다가.. “나보고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다 들어가는 것이 아니요, 부자가 하나님 왕국에 들어가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이런 오락가락 말씀을 보고는 헷갈려서 오류에 빠지는 사람이 많다. 그런 사람들이 구약과 신약의 관계와 공통점과 차이, 세대적 진리 같은 얘기가 통할 가능성은 거의 없으니.. 오락가락 구절에 대한 긴 설명을 이 자리에서 하지는 않겠다.

구원의 영원한 보장을 믿는 사람이 주장하는 것은 (2)를 다 완수하지 못했다고 해서 (1)마저 박탈되는 게 아니라는 것이 전부이다. (1)을 이뤘으니 (2)는 필요 없다는 둥 다른 이상한 소리를 하는 게 아니다.
본인의 비장의 무기인 “탈북자가 남한에 오면 아무리 큰 죄를 지어도 남한 교도소에서 벌을 받지, 북한으로 도로 송환은 절대 되지 않는다.” 비유를 들어도 납득하는 분이 지금까지 본인의 경험상 거의 없었다.ㅠㅠㅠㅠㅠㅠ (우파인데도)

4. 이스라엘

교파에 따라서 견해가 일치하지 않기도 하는 주제를 다루게 되어 좀 조심스럽지만.. 뭐 본인의 소신을 말하라면,
본인은 교회(신자)와 이스라엘(유대인)은 서로 다른 존재이며, 이스라엘은 문자적으로 회복될 거라고 믿는다. 왜냐고..?? 그냥 성경에 그렇게 쓰여 있고 그게 다 이상한 비유 영해 묵시라고 생각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유대인이 예수 믿어 구원받으면 신약 교회 신자 신분이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유대인들이 예수님을 거부한 것으로 인해 아직까지도 대체로 눈이 멀었고 심판 받고는 있지만, 그렇다고 신자가 유대인들 징벌/심판의 도구를 자처하는 멍청한 짓은 하지 말아야 한다. 반유대주의는 잘못됐다. 본인은 영적 유대인 내지 대체 신학을 지지하지 않는다.
맨날 심판 심판 하지만 궁극적으로 회복된다, 완전히 끝나고 파멸되지는 않는다는 게 구약 성경이 맨날 마르고 닳도록 강조하는 내용이다.

다만, 1948년에 건국된 지금 세속 국가 이스라엘이 성경의 타임라인과 얼마나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민족 혈통 개념이 극히 희박해진 지금 유대인이 나중에 다시 열두 지파로 나뉘어서 계시록에 기록된 미래의 환란 성도 역할을 실제로 수행할 수 있겠는지..
이런 현실적인 디테일을 생각하자면 나도 이해되지 않고 고개가 갸웃거려지는 면모가 있긴 한 것을 인정한다. 하지만 다른 더 엄청난 초자연적인 기적도 믿는데 겨우 저 정도는 못 믿을 것까지는 없다고 본다.

옛날에 우리나라 할배 대통령은 늘그막에 이렇게 말했었다. “우리 대한민국은 세계 여러 나라들과 교류하며 사이 좋게 지내야 한다. 하지만 일본하고는 특이한 과거사 때문에 우리만의 고유한 정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양자인 이 인수 박사의 회고. 난 할배가 하야하지 않았으면 한일 수교는 언제쯤 어떻게 이끌었을지 개인적으로 무척 궁금하다. 박통이 암살 당하지 않았으면 핵무기까지 기어이 정말 만들어 냈을지 궁금한 것처럼..)

그런데 그런 것처럼 하나님 역시 유대인하고는 좀 색다른 고유한 경륜이 있을 거라는 건 매우 합리적인 추론이며 실제로 그러하다. 쟤들은 선민인 한편으로, 예수님을 대놓고 거부하고 십자가에 매단 민족이기도 하기 때문에.
그래서 걔들은 초대 교회 시절에 행 2:38 같은 회개의 침례가 따로 필요했으며, 그게 심지어 구원의 조건이기까지 했다. 저 침례는 우리처럼 먼저 구원받고 나서 신앙 고백 후에 받는 침례가 아니다.

요즘 유대인 중에는 뭔가 예수님을 믿긴 해 보이는데 예슈아 이러면서 이상하게 행하는 메시아닉 쥬라는 집단이 있다. 얘들이 부정적인 존재인지, 아니면 그 정도 믿는 거라도 감지덕지 여겨야 하는지 갖고 크리스천들이 다투는 건.. 마치 정치판에서 윤 석열이나 이 준석 같은 인물에 대한 견해 때문에 우파 진영 내부에서 호불호 갈리고 싸움 벌어지는 것과 쏙 빼닮은 현상으로 보인다.
정말 비슷해 보이지 않는가? ^^ 어쩌면 사도행전 15장에 나오는 바울과 바나바의 마가 논쟁하고 비슷한 건지도 모른다.

5. 심경의 변화

  • 마 11에서 침례인 요한이 별안간 예수님에게 자기 제자들을 보내서 당신이 정말 '그 VIP'가 맞는지 확인 질문을 함.
  • 삼상 27에서 다윗은 사울 왕에게 쫓기는 생활에 지쳐서 사울의 적에게 잠시 투항하기도 함. (그래도 그 계획은 나가리 나고 고국으로 잘 돌아옴)

성경에 이런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큰 것 같다. 그리고..

  • 하나님은 노아의 홍수를 앞두고 사람을 지으신 것을 repent 하셨다.
  • 하나님이 파라오의 마음을 더 강퍅하게 하셨다.

이런 것은 하나님도 무슨 실수· 후회를 한다거나 자괴감을 느끼고 잘못을 뉘우친다거나, 혹은 사람의 마음을 무슨 로봇처럼 마인드 컨트롤이라도 하시는 듯이 읽힐 소지가 있다. 그런 게 아니다.
하나님이 repent 하신 것은 근심하고 슬퍼하고 애통해하신다 정도의 뜻이다. 그리고 후자는 이미 마음을 한쪽으로 삐딱하게 굳힌 사람이 더 치우치게 내버려 두고 부추긴다는 뜻이지, 방향 자체를 사람의 자유 의지와 상관없이 조종한다는 뜻이 아니다.

또한, 하나님보다 자비로운 것은 자비가 아니고, 하나님보다 더 의로운 건 의로움이 아니다.
하나님이 약속하신 보상을 바라는 것은 질 낮은 욕심이 전혀 아니며, 그 자체가 믿음을 행사하는 것이다. 보상조차 필요 없다는 건 마치 구원의 확신을 교만이라고 생각하는 것만큼이나 지나친 의로움이며 오류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1/10/12 08:35 2021/10/12 08:35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42

멧돼지니 호박이니 하면서 한창 자연 얘기 시리즈를 진행하다가 프로그래밍 얘기가 중간에 부득이하게 끼어들었는데.. 마지막 아이템을 소개하면서 기존 시리즈를 완결하도록 하겠다.

올해 추석이 정말 좋았던 건.. 연휴의 시작 직전, 그리고 추석 당일에 비가 콸콸 내렸다는 것이다. 전자는 무슨 태풍이고 후자는 그냥 가을비인 듯.. 그래서 서울부터 경주까지 어딜 가든 계곡에 물이 졸졸 흐르고 있어서 물놀이를 원없이 할 수 있었다. 이게 정말 대박이었다.

(1) 먼저, 고향 경주에서는 무장산에 들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자갈밭 아래로 맑은 물이 흐르는 걸 보니 나까지 마음이 흥분되기 시작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으로는 별로 티가 안 나지만 물에 온몸을 담궜다. 물에 들어가지 않고는 배길 수 없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주변의 물가 모습을 좀 더 카메라에 담았다.

(2) 다음으로, 귀경 중에는 의성 빙계 계곡을 들렀다.
이때는 비가 내리고 있었지만 난 전혀 개의치 않고 여기서도 물놀이를 하면서 땀을 깨끗이 씻어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빙계 계곡은 계곡 내지 개천을 따라 좁고 꼬불꼬불한 산길을 지나는 형태로 조성된 유원지이다. 주변의 자연 경치가 정말 아름다우며, 그에 걸맞게 국립이나 도립까지는 아니어도 보기 드물게 ‘군립 공원’으로 지정돼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물가에서 놀아도 되고 풀밭과 정자, 언덕 산책로도 듬뿍 있다. 그리고 계곡의 내부에는 ‘빙계 서원’이라는 옛날 건물도 있다.

이런 멋진 곳이 입장료나 주차료 따위 없고 전면 무료 개방이라니.. 역시 시골 오지의 인심은 후한 것 같다. 하지만 여기도 소문을 타서 유명해져서 피서객이 몰리면 그런 인심이 언젠가 없어질지도 모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빙계 계곡이 특별히 유명한 이유는 신비로운 냉기가 뿜어져 나오는 자연 동굴(빙혈, 풍혈)이 있기 때문이다. 계곡의 중간에 빙혈로 가는 길이 안내되어 있다.
본인이 방문했던 당시에는 빙혈 내부의 온도계가 7도를 가리키고 있었다. 얼음이 얼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굉장히 신기한 현상임이 틀림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빙혈로 가는 길목에는 역시 넓은 풀밭과 함께 정자가 세워져 있었다. 마침 비도 오는데 여기서 더 오래 머물면서 정자 안에서 신선놀음을 하고 싶은 생각이 몹시 들었다. 하지만 다음 스케줄 때문에 그러지 못해서 아쉬웠다.

(3) 끝으로, 서울에 돌아와서는 아차산 기슭의 긴고랑 계곡을 오랜만에 들러 봤다. 이때도 멀리서 들려오는 물 흐르는 소리부터가 심상찮더니 역시나..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광경을 보기만 해도 속이 다 후련해질 지경이었다. 물이 끊겼던 시절의 모습과 비교해 보시기 바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는 평소에는 움푹 패인 일부 경로로만 물이 흐르지, 이렇게 넓은 면적이 몽땅 침수되고 물이 흐르는 일은 매우 드물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는 셀프 물침례와 목욕재계를 실시했다. 웃통 벗고 코와 귀를 막은 뒤, 머리까지 싹 물에 쳐박아 담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궁극적으로는 이런 신선놀음까지 했다. 너무 행복하고 좋았다.!!! 이렇게 5분 정도 있으니 추위가 느껴질 정도였다.
이런 계곡물을 볼 때도 푸른 초장을 볼 때와 비슷한 생각이 들었다. 이 맑은 물을 하수 처리장으로 헛되이 흘러가 버리게 방치하는 건 자연에 대한 죄악이라고 말이다.;; 그래서 도저히 참을 수 없어서 물을 뒤집어쓰러 들어갔다.

이상이다.
이번 시리즈는 시간 순이 아니라 호박, 풀밭 텐트, 멧돼지, 계곡 이렇게 4개의 키워드/테마 순.. 즉, 누가복음이나 마가복음이 아니라 마태복음, 요한계시록 같은 구성이 됐다. 가만히 생각해 보니 내 여가와 취미 생활은 딱 저렇게 정리되는 것 같다.

난 나중에 은퇴하면 산 좋고 물 맑고 밤하늘에 별이 보이는 곳에서 취미로 코딩 열심히 하고, 멧돼지 한 마리 키우면서 타고 다니는 “나는 자연인이다” 프로그래머로 살고 싶다. ^__^

Posted by 사무엘

2021/10/09 08:34 2021/10/09 08:34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41

Windows에서 리스트뷰 컨트롤은 아이템 기반의 정보를 나열하는 용도로 굉장히 편리하고 유용한 물건이다. 본인은 수 년 전에 얘에 대해서 전문적으로 리뷰를 한 적도 있다. (☞ 이전 글 보기)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얘에 대해서 본인은 Windows 프로그래머로서 다음과 같은 점을 아쉽거나 의아하게 생각한다.

(1) 먼저, ‘작은 아이콘’ 모드라는 게 정체성이 너무 어정쩡 모호한 건 둘째치고라도, 아이템 배치와 관련된 제어가 제대로 안 된다는 것이다.
얘는 작은 아이콘의 옆에 텍스트가 한 줄 붙는다는 점에서는 목록 모드와 매우 비슷하다. 하지만 얘는 그래도 횡대와 종대 아무 방향으로나 align이 되고, group도 적용된다는 것이 목록 모드와의 차이점이다. 즉, 나름의 쓸모도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얘는 아이템의 간격 내지 폭을 어떻게 조절해야 할지 모르겠다.
LVM_SETICONSPACING은 큰 아이콘 모드의 간격이고 LVM_SETCOLUMNWIDTH는 목록 모드의 폭이고, LVM_SETTILEVIEWINFO는 타일 모드에서의 크기이다.
그런데 작은 아이콘 모드는 내가 아는 한 아무리 눈을 씻고 찾아 봐도 이런 API가 존재하지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템이 이렇게 제멋대로 막장으로 출력되는 걸 막을 길이 없더라.
내가 날개셋 제어판의 외부 모듈 목록에다가 ‘작은 아이콘’ 모드도 추가해 볼까 하다가 이걸 보고는 단념했다.

(2) 그리고 악명 높은 화면 잔상 버그 말이다.
check list를 건드렸을 때 선택 막대가 진해지는 문제는 이미 이전 글에서도 지적했던 바 있다.
스타일을 바꿔서 우회하는 방법도 있긴 하지만 완전한 해결책이 아니며, 원래는 그렇게 우회하지 않더라도 그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Windows 10 이전에는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세히 모드에서 칼럼의 폭을 조절해도 이렇게 해당 칼럼이 덧칠되는 문제가..)

게다가 ‘작은 아이콘’ 모드일 때는 아이템에다가 마우스를 가져가기만 해도 글자가 사라져 버리는 치명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이건 뭔가 내부 계산 로직이 대놓고 잘못된 거나 마찬가지이다. 마소에서도 자체적으로 작은 아이콘 모드를 쓰지를 않기 때문에 버그를 인지하지 못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지경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Windows는 내 컴퓨터 내지 탐색기 UI에서 전통적으로 리스트뷰 컨트롤을 사용해 왔다.
초창기 Windows 95/98은 이 컨트롤이 제공하는 ‘큰 아이콘, 작은 아이콘, 목록, 자세히’라는 네 가지 보기 모드를 그대로 제공했었다.
그러다가 2000/ME에서는 그림이나 문서의 내용 thumbnail이 표시되는 미리 보기 모드가 추가되어 5개가 되었다. 이건 기술적으로는 물론 ‘큰 아이콘’의 확장판이었다.

XP에서는 정체성이 어정쩡한 작은 아이콘 모드가 삭제되고, 제5의 모드인 ‘타일 모드’가 ‘큰 아이콘’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다. 기존의 ‘큰 아이콘’은 그냥 ‘아이콘’으로 바뀌었고.. 그러니 전체 개수는 5개로 변함없었다. 원래 있던 작은 아이콘 모드는 마소에서도 완전히 버린 자식 취급하고 있는 게 틀림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다음 Vista/7 이후부터는 아이콘의 크기를 매우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개념적으로 예전의 ‘작은 아이콘’에 해당하는 모드도 부활했다.
하지만 이건 리스트뷰 컨트롤이 제공하는 ‘작은 아이콘’으로 구현한 게 아니다. 내부적으로는 그냥 ‘타일 모드’에다가 아이콘만 작은 걸 준 게 아닐까..?? 작은 아이콘에서는 이렇게 길다란 아이템을 뒷부분을 생략해서 표시하는 게 가능하지 않다. 타일에서만 가능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굉장한 뒷북인 놀라운 사실이 있다.
무려 Windows 7부터는 운영체제의 탐색기와 파일 공용 대화상자에서 애초에 리스트뷰 공용 컨트롤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일반인에게 스펙이 공개되지 않은 별개의 자체 구현 컨트롤을 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 어쩐지~~
(1) 원래 리스트뷰 컨트롤의 '목록' 모드는 이렇게 카테고리라고 해야 하나 그룹 분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목록 모드라는 것은 스크롤바가 세로가 아니라 가로로 난 것을 통해 알 수 있음..
탐색기의 저런 모양은 공용 컨트롤로는 구현 불가능하다. 또한, 저렇게 칼럼마다 폭이 유동적으로 다른 목록도 공용 컨트롤은 지원하지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아울러, '내용'이라는 이 특이한 보기 모드도 기존 리스트뷰 컨트롤로는 구현 불가능하다.
이런 걸 어떻게 구현했을지, 온통 owner draw 개조로 도배했을지 궁금했는데.. 답은 간단했구나. 그냥 자체 컨트롤을 만든 것이었다.;; 영문 위키백과에서도 Windows 7에서부터 바뀌거나 사라진 기능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이 언급되어 있다.

An undocumented incompatible Item view control replaces the List view control used in Windows Explorer... The Item view also does not support custom positioning, custom ordering, or hyperlinks, which the Windows Vista list view did support.


아.. 옛날엔 Office 팀에서 파일 열기/저장 대화상자들 자체 제작해서 썼더니만, 그건 없어졌고 이젠 운영체제 셸 팀에서 뷰 컨트롤을 자체 제작해서 쓰기 시작했군...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Windows Vista와 7의 탐색기는 외형상 굉장히 비슷해 보인다.
그런데 "Hard Disk Drives / Devices with Removable Storage"라고 아이템을 분류해 놓은 카테고리 부분을 보자.
아이템들을 몽땅 숨기거나 펼칠 수 있는 삼각형 마커가 Vista는 오른쪽 끝에 있는 반면, 7과 그 이후(현재의 10까지 포함)부터는 왼쪽 끝에 있다. 왼쪽 끝에 있으니 무슨 트리 컨트롤을 다루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3) 마커가 왼쪽에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아이템보다 글자 크기도 더 큰 건.. 내가 알기로 공용 컨트롤 리스트의 기본 옵션만 바꿔서 구현할 수 있지 않다. 비슷해 보여도 Vista는 리스트뷰 컨트롤을 썼지만 7부터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트리와 리스트뷰 컨트롤을 적당히 배합해서 '탐색기' 짝퉁을 만드는 게 Windows UI/셸 프로그램의 정석 코스로 통용되곤 했는데.. 이젠 100% 동일하게 동작하는 탐색기를 이런 식으로 만드는 건 근본적으로 불가능해졌다.

단, 바탕 화면은 그냥 아이콘들만 늘어놓으면 되니 지금도 여전히 기존 리스트뷰 컨트롤 기반이다.
결론을 내리자면.. 마소에서는 자기들도 리스트뷰 컨트롤의 한계를 인지했는지 탐색기에서 얘를 더는 사용하고 있지 않다. 작은 아이콘 모드의 활용성을 좀 강화하고, 목록 모드에서도 그룹 구분을 지원하고, 화면 잔상 버그들을 좀 고쳤으면 좋겠다.

Posted by 사무엘

2021/10/06 08:36 2021/10/06 08:36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40

1. 매체에서의 묘사

유튜브를 뒤지다 보니, 세상에.. 대한뉴스 제1999호(1994년 3월자)에서는 지리산 어디 두메산골에서 멧돼지를 방목하는 농부 얘기가 소개되었다. (☞ 링크)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털이 북실북실한 멧돼지와, 살색 피부의 집돼지가 한데 어우러져 있는 게 귀엽기 그지없다. ^^
게다가 소득 보소.. 지금도 연봉 8천은 절대로 작은 액수가 아니며, 그보다 못 버는 사람들도 부지기수이다.
그런데 30여 년 전에 연 소득 8천만 원이었으면 지금으로 치면 2억에 가까운 고소득일 것이다.

저때는 멧돼지가 지금 같은 유해조수 취급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저런 방목이 가능했다.
하지만 지금은 시대가 바뀌었기 때문에 동영상의 댓글들을 보면 도대체 이런 걸 왜 소개하느냐는둥, 옛날에 저런 짓을 했으니 지금 멧돼지 천지가 된 거라는둥.. 좋은 말이 별로 없다. >_<

그리고 이건 수 년 전의 비교적 최근 영상이다.. (☞ 링크)
역시 지리산 기슭의 어느 절에서 멧돼지들 먹으라고 주기적으로 짬밥을 부어 주고, 멧돼지 가족이 어슬렁어슬렁 찾아와서 그걸 먹는 장면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나라는 범 없는 골에 토끼..가 아니라 멧돼지가 왕이 된 지경이다. 멧돼지가 호랑이만치 힘 세고 포악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이 좁은 땅에서 워낙 번식력이 좋다 보니, 종종 인간과도 부딪히고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하기는 한다.
허나, 멧돼지가 굶주리다가 한두 마리 도심에 좀 나타난 거 갖고.. 매스컴에서 무슨 '제보당의 괴수' 마냥, 당장이라도 사람을 해치지 못해 안달 난 괴물처럼 묘사하고 있는 건 개인적으로 좀 슬프게 생각한다. ㅠㅠㅠㅠㅠ

차라리 멧돼지가 애써 가꿔 놓은 밭을 파헤치고 망가뜨리고 있고 그것 때문에 시골 농촌에서 멧돼지를 엽총 쏴서 잡는다면야.. 그건 나도 차마 실드를 치지 않겠다.
하지만 도시에서야 쟤들도 힘없는 짐승일 뿐이지.. 사람을 해치기 전에 쟤들이 먼저 차에 치일 가능성이 훨씬 더 높지 않겠나.

사람이 먼저 꺅 놀라서 자극하고 도발하지 않으면 멧돼지도 어지간해서는 그냥 가만히 있는다.
내가 무슨 식당이나 가게에 들어가 있는데 멧돼지가 문을 쓰윽 열고 들어오면.. 내가 먹던 음식이라도 좀 쥐어 주고 먹여주고 쓰다듬어 주고 싶다. 불쌍한 것~~ ^^;;;

내가 평생에 온갖 애완견이나 고양이를 보고도 "어 귀엽네" 그걸로 끝이었고 무덤덤이었는데.. 집채만 한 멧돼지를 보면서 일말의 동물 사랑/보호 정신이 생겼다니.. 사람 일은 참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2. 동화책

그래서 본인은 요 얼마 전에는 국립 어린이 청소년 도서관에 들러서 지금까지 말로만 들었던 “멧돼지가 쿵쿵, 호박이 둥둥” 동화책 실물을 입수했다. 오오~
본인이 뭔가 동화책을 열람하러 저기 간 건.. 옛날 반공 동화 “용감한 탈출” 이후로 5년 만의 일이다. 공교롭게도 두 동화 모두 등급이 초등학교 저학년(1~2학년)용이며, 종이 크기와 분량도 비슷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팥죽 할머니와 호랑이” 이야기에서 팥죽을 호박죽으로, 호랑이를 멧돼지로 바꿔서 요즘 감각에 맞게 재각색을 한 게 흥미로웠다.;;
그런데 멧돼지는 사람을 들이받아서 죽거나 다치게 할 수는 있겠지만 사람을 잡아먹기까지 한다..?? 이건 좀 비현실적이며 멧돼지를 필요 이상으로 나쁘게 묘사한 것 같다. =_=;;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호박죽 먹는 멧돼지의 모습이 참 귀엽다~
“지리산 아래에서 호박죽을 제일 잘 끓인다는 호박죽 할멈” 이거 뭐 지리산이 현실과 창작물에서 공통으로 멧돼지 서식지의 거의 클리셰처럼 된 느낌이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책에서 멧돼지가 묘사되는 건 저렇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말부에서는 뭔가 판타지스러운 연출이 나타난다. 밭에 있던 늙은 호박이 엄청나게 커져서 무슨 '날으는 양탄자'처럼 사람을 위에다 태우고 날아간다. 원작 동화의 묘사를 그대로 반영해서 애니메이션을 만들어도 될 것 같다.
아 그러고 보니 신데렐라에서는 늙은 호박으로 마차 객차를 만들어 내기도 했군.;;
그리고 돼지(동물)와 호박(식물)은 모두 외모와 관련해서 그다지 긍정적인 심상이 아니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것도 생각할 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멧돼지가 쿵쿵 달려올 때 아이들도 덩달아 쿵쿵 달려가고, 호박이 둥둥 날아갈 때 아이들도 둥둥 날아올랐으면 좋겠습니다.”
이 작가분은 내가 좋아하는 야생 전원적인 소재만으로 재미있는 동화를 (재)창조해낸 것 같다.

3. 돼지 박물관

본인은 이걸로도 모자라서 지난 추석 귀경길엔 이천에 들러 “돼지 보러 오면 돼지 돼지 박물관”을 구경했다.

소재지가 이천 동남부의 외곽 시골이며 본인도 영남 쪽에서 올라온 관계로, 고속도로 출구로는 평택제천 고속도로(40) 서충주 IC를 이용했다. 예전에 동락 초등학교 김 재옥 교사 기념관을 방문할 때 진출했던 나들목과 동일하다.
단, 저 학교는 고속도로 나들목 바로 근처에 있는 반면, 저 박물관은 이천 쪽으로 한참을 더 가야 나온다는 차이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나름 돼지의 품종개량 연구에 일가견이 있는 부부 개인이 사비를 들여서 설립한 거라고 한다.
온갖 희한한 테마 박물관들이 즐비한 제주도에 있을 것 같은 시설인데, 그래도 경기도이니 찾아가기가 좀 더 편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 돼지는 우리가 익히 아는 바와 같이 저금통의 모델로 즐겨 쓰이며, 특히 머리는 고사를 지낼 때 즐겨 쓰인다.
  • 강원도 양구 해안면은 바닷가와는 전혀 관계 없고, 돼지를 풀어서 뱀을 퇴치했다는 믿기 힘든 고사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 돼지의 장기 구조가 인간의 그것과 굉장히 유사하다는 건 나도 어디선가 주워 들은 바 있다.

실내 전시는 돼지에 대한 설명이랑 각종 돼지 형상의 기념품들 위주이고, 바깥 마당이 무슨 농장 내지 동물원처럼 꾸며져 있다.

아무래도 국공립 박물관 같은 저렴한 입장료를 기대할 수는 없지만.. 좋은 일 하는 개인이 운영하는 박물관인 데다, 살아 있는 동물을 구경하는 비용인데 이게 마냥 바가지라고 볼 수는 없을 듯.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돼지는 생각보다 지능이 좋아서 사람이 들어오면 바싹 울타리 곁으로 뛰쳐나와서 사도행전 3:5 기동을 즉시 취한다. ㅋㅋㅋㅋ 먹이를 줘도 줘도 끝도 없이 먹어댄다.
생각 같아서는 순서대로 줄을 세워서 주고 싶다만, 저렇게 먹이 하나 떨어질 때마다 아귀다툼을 벌이게 만들면 쟤들도 스트레스 많이 받지 않을까.;;
난 집안이 개판인 것보다는 돼지우리인 게 더 좋다고 생각한다. ㅋㅋㅋㅋㅋ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간들이야 코로나19 때문에 지금도 난리이지만, 지난 몇 년 동안 여기는 구제역도 아니고 무슨 아프리카돼지 열병 때문에 타격을 좀 입었다고 한다.
원래는 돼지를 더 많이 키우고 있었는데 저것 때문에 살처분을 좀 한 듯.. 그래서 구석 한켠에 돼지 위령비(?)도 세워져 있었고, 지금은 오리, 거위, 토끼, 왜골계 같은 다른 동물들도 많이 갖다 놓은 상태였다.

집돼지 말고 귀여운 멧돼지에 대한 더 자세한 소개가 전혀 없는 것도 좀 아쉬운 점이었다.;; “서로 종간 호환되고 교배 가능하다. 애초에 멧돼지를 품종개량 시킨 게 집돼지일 뿐이다” 설명이 전부였다.
돼지만 해도 외국산 살색 요크셔 계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토종 흑돼지 등 다양한 품종이 존재한다. 멧돼지도 내가 보기엔 어금니가 튀어나온 놈과 그렇지 않은 놈, 그저 시꺼먼 놈과 잿빛/갈색인 놈 등 다양한 품종이 있다. 그런데 이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에서도 생각보다 구하기 어렵다. 멧돼지가 다 같은 멧돼지들이 아닐 텐데..

뭐 그래도 구경을 잘 하고 돌아왔다. 돼지는 좋은 동물이다~ ^^

Posted by 사무엘

2021/10/03 08:36 2021/10/03 08:36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939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1/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2620523
Today:
3522
Yesterday:
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