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텔레비전 수상기

자동차, 컴퓨터, 전화기만큼이나 텔레비전이 기술적으로 무섭게 발전한 것도 보면 굉장히 경이롭다.

  • 디지털: 노이즈라는 게 없어졌다는 게 솔직히 아직도 잘 안 믿긴다. 옛날 아날로그 특유의 무신호 치지직 화면(white noise)도 없어지고 화면조정용 색깔막대 영상도 볼 일이 없어졌다. 같은 전파를 주고받는 방법을 도대체 어떻게 바꿔서 이런 게 실현된 걸까? 디지털에서는 오류가 너무 심해서 화면이 아예 안 나오면 안 나왔지, 치직거리면서 나오지는 않는다.
  • 고화질: 두 말하면 잔소리. 화질이 정말 엄청나게 좋아졌다. 단, 디지털과 고화질이 동치 개념은 아니기 때문에 과거엔 아날로그 기반으로 HD 규격이 나온 게 있기도 하다.
  • 왕창 크고 평평하고 납작한 수상기: 과거의 브라운관 TV로는 상상도 못 할 일이다. 브라운관은 화면 크기에 정비례해서 두께까지 왕창 두꺼워지기 때문에(공간 복잡도 O(n^3)!) 일정 수준 이상으로 대형화가 도저히 불가능했다. 그리고 어차피 영상 신호의 화질도 요즘 같은 대화면을 받쳐줄 만치 좋지 않았다.

TV를 흔히 '바보 상자'라고 부르는데.. 요즘 텔레비전은 차라리 패널(panel)에 가깝지 이제 상자 모양이 아니다. 옛날에(2006년) 한국 애니메이션 고등학교에서 텔레비전에 중독된 현대인을 풍자하는 black box라는 이름의 단편 애니메이션을 만들어서 오타와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서 입상한 바 있다. 텔레비전 안에 온갖 희한한 세계가 펼쳐져 있다. 허나, 요즘 텔레비전의 모양으로는 그런 소재를 설정할 수 없었을 것이다.

'바보 상자'라는 개념은 영어권에도 있어서 fool's tube라고 하는데.. 튜브 역시 브라운관의 잔재가 담긴 별명인 건 동일하다. 그래도 '유튜브'가 이 별명을 잘 활용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또한 요즘 텔레비전은 무슨 형광등 켜지듯이 켠 직후에 서서히 밝아지면서 화면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밝기와 색감 등 잡다한 요소들을 조절하는 다이얼 같은 것도 다 사라졌으며, 정 조절이 필요하면 모니터 자체에 내장된 프로그램 UI를 통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조절한다. 그래서 모니터에 다이얼이 있는 게 아니라 그냥 상하좌우 화살표와 Enter, ESC에 해당하는 key가 있으며, 화살표 key가 트랙패드 같은 걸로 대체된 물건도 있다.

한때 TV는 평범한 월급쟁이 가정에서는 구경할 수 없는 고가 사치품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부잣집이나 공공장소에 옹기종기 모여서 TV를 시청해야 했다. 그리고 잠금 장치가 달린 TV 전용 케이스도 있을 정도였다.
지금이야 뭐 개인용 스마트폰으로 TV 방송을 시청하는 시대가 된 지 오래이다. 그러니 텔레비전 케이스도 '컴퓨터 책상'만큼이나 아련한 옛날 추억이 돼 간다. 하지만 지금 당연한 것이 생각보다 가까운 과거에는 당연한 것이 아니었다.

2. 대한뉴스

요 근래부터 옛날 대한뉴스 영상들이 유튜브에 올라오고 있어서 재미있게 본다. 경부 고속도로 개통이나 국민 교육 헌장 선포 같은 유명한 사건도 있지만 본인의 주 관심 분야는 철도 개통 쪽이다. 화면 중앙에 태극 마크 워터마크가 엷게 첨가됐지만 전반적인 화질은 괜찮다.

대한뉴스는 무려 1953년부터 1994년 말까지 국립 영화 제작소에서 만들었던 '나라 안팎 사정 기록 영상'이다. 만드는 곳의 특성상 뭔가 국방일보스럽고 정책 및 프로파간다 홍보(긍정적인 것만) 성격이 강하긴 하지만, 그래도 엄연히 잘 보존된 역사 기록이며 영상 실록 역할을 한다.
그 시절엔 이게 전국의 모든 극장에서 영화 상영 전에 의무적으로 흘러나왔다고 한다. 레퍼토리는 두 주 간격으로 교체되었다고. 국산 영화를 일정 비율 이상 강제로 상영해야 하는 스크린 쿼터라든가.. 과거에 음반에 의무적으로 건전가요를 한 곡 넣어야 했던 것과 비슷한 관행이다.

하지만 대한뉴스가 그저 정권의 나팔수 이상으로 오늘날 귀중한 영상 자료인 이유는 이것 말고 딱히 대안이 없는 시기도 있기 때문이다.
1950~60년대에도 텔레비전 방송 자체는 물론 있었다. 하지만 여러분 중에 박통 말고 이 승만 대통령이 텔레비전에 나온 걸 기억하거나 다른 매체를 통해 본 분 계시는가? 없을 거다. 그 시절에 방송되었다 하더라도 지금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그때는 TV를 갖고 있는 집이 극소수였다는 점을 차치하고라도, 시청자 말고 방송국의 입장에서도 물자 사정이 열악했기 때문에 영상 기록을 지금처럼 몽땅 저장(아카이빙)할 여건이 못 됐다. 하물며 그 당시 최첨단을 달리던 방송 장비나 저장 매체는 얼마나 비쌌겠는가? 게다가 외제 수입 일색이기까지 했지 않겠는가?

녹화라는 건 꼭 필요한 것만 아주 신중하게 골라서 해야 했으며, 또한 한 테이프를 계속해서 덮어써서 녹화하면서 우려먹어야 했다. 그러니 그 시절의 방송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그 시절의 영상 기록은 외국인 선교사나 종군기자의 촬영분이 아니라면 그냥 닥치고 국가가 알아서 고이 보관해 놓은 대한뉴스로 가야 한다. "새로운 특급열차는 우리 이 대통령 각하께서 무궁화호라고 명명해 주셨는데.."(1960년 2월) 이렇게 전해지는 보도 자료는 출처가 무슨 KBS 같은 전파 타는 뉴스 방송이 아니라 대한뉴스라는 영화라는 것이다. 하긴, 저 때는 아직 "KBS"라는 이름의 방송사조차 존재하지 않았었다.

대한뉴스를 아무 거나 골라서 틀어 보면 건전가요나 행진곡 풍의 촌티 풀풀 나는 BGM에, 감정이라고는 싹 빠진 국어책 읽기 같은 건조한 남자 목소리가 참 인상적이다.
그리고 단순히 정책 홍보가 아니라 뭔가 초등학생 선생님이 애들 가르치는 듯한 설명충 스타일이다. "그럼 태백선 열차를 타고 우리나라 최고의 시멘트 생산지인 어디어디로 가 보시겠습니다." 같은 식. 무지한 백성들을 선진조국 창조 건설의 역군으로 계몽하려는 의지가 느껴진다. =_=;;

정말 격세지감 그 자체이다만, 196, 70년대에 농촌 깡촌 오지에서 세상 돌아가는 사정을 알 길이 없는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저런 거라도 필요했다. 옛날에는 깜깜한 방에서 무성 영화를 틀어 놓고 "우리나라 바깥에는 이런 곳도 있고 이런 일도 벌어지고 있답니다"라고 변사가 따로 설명해 주면 사람들이 입 헤 벌리고 구경했으며, 소파 방 정환은 영사기도 아니고 영사기 내지 프로젝터의 전신인 환등기만 갖고도 온갖 덕질을 했지 않던가. 게다가 국내에서 영화는 텔레비전보다 더 일찍부터 컬러로 바뀌기도 했다.

개나 소나 사진과 동영상을 찍어 올리고 그게 순식간에 인터넷 상으로 퍼져나가고 1인 방송 미디어까지 등장한 오늘날의 잣대로 그 시절을 그저 꼬질꼬질하다고 판단하는 건 적절하지 못하다. 당시의 최첨단을 달리던 영화· 방송의 분위기가 저렇게 꼬질꼬질할 정도였으면 오프라인 사회 분위기는 훨씬 더 권위주의적이고 보수적이었다고 봐야 한다. "옛날 어린이들은 호환 마마 전쟁.." 이거 기억 나시지 않는가?

허나, 집집마다 전화와 신문, 올컬러 TV가 싸게 보급되고 지식과 소식의 소통 속도가 빨라지면서 대한뉴스는 존재 의의와 가성비가 급격히 떨어졌다. TV 뉴스로 진작부터 접한 나라 안팎 소식을 한참 뒤에 극장에서 대한뉴스로 뒷북으로 접하는 지경이 됐다. 그러니 대한뉴스를 폐지하자는 여론이 진작부터 거론되었으며, 얘는 그래도 1994년 말까지 꿋꿋이 만들어지고 상영되다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건 어찌 보면 PC 통신이 인터넷에 밀려 사라진 것과 비슷한 양상이다. 시기를 따지자면 방위병이 폐지된 때와 동일하며, 수인선 협궤 철도가 없어지기 딱 1년 전의 일이다.

옛날에는 텔레비전은 방송 시간이 지금보다 훨씬 짧았다(24시간 방송이 시작된 것 자체가 21세기부터..). 그리고 기술과 자재의 부족으로 인해 생방송이 많았고, 영화는 후시녹음이 많았다. 아니면 똑같이 후시녹음을 하더라도 후시녹음을 한 어설픈 티가 요즘 영상물보다 훨씬 더 났다. 배경은 너무 조용하고 배우 목소리는 울리고 입 모양 씽크가 안 맞는 등.

철도 분야의 대한뉴스를 몇 편 보니, 열차 달리는 장면에 같이 삽입된 열차 소리는 십중팔구 화면 속의 그 열차가 실제로 달리는 소리가 아니다. 화면엔 디젤 기관차 내지 지하철 전동차가 달리는데 소리는 증기 기관차 달리는 '쉭 씩'인 식이다. 이런 것도 당연히 화면 따로 소리 따로인 후시녹음이다.
베테랑 기관사가 역을 저속으로 통과하면서 통표를 확 낚아채거나 거는 모습이 참 인상적이었다. 요즘은 볼 수 없는 장면이다.

그리고 끝으로.. 옛날에 영상물에다 자막은 어떻게 만들어 넣었을지가 궁금해진다. 텔레비전 화면에 넣는 방법과 영화 화면에 넣는 방법이 서로 달랐을 텐데.
옛날에는 그냥 닥치고 어설픈 흰색 손글씨밖에 없었다. 그러던 것이 시간이 흐르면서 서체는 활자로 바뀌고 흰 글씨 주변에 검은 테두리가 추가되었다.

요즘은 자막도 흰 별도의 배경에다가 검은 글씨 형태로 넣는 추세이다. 그래서 배경이 없이 고딕· 둥근고딕· 엑스포체 같은 옛날 서체로 자막이 들어간 영상을 딱 보면 1990년대 영상인 게 느껴진다. 아래의 자막들을 보시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사무엘

2017/03/16 08:35 2017/03/16 08:35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338

약 빨고 영상물 만드는 실력은 일본이 무척 탁월한 편이니 먼저 일본 얘기부터 좀 하겠다. 2000년대를 풍미했던 일본 환타 CF 시리즈가 떠오른다.
A반 가죽점퍼(록커) 선생부터 시작해서 아침 멜로 드라마 여선생까지 골고루 나오고, 별난 선생 때문에 학교 생활이 참 고달픈데 그래도 결론은 기승전..환타이다. 나중에 번외편으로 교장 선생편도 있었다.
DJ 선생은 학생에게 문제 풀이를 시킬 때도, 그리고 풀이의 정오 여부를 알려 주기 전에도, 심지어 교장 선생이 훈화를 하고 있는 동안에도 완전 음악에 심취해서 지내더라.

뭐, 그래 봤자 환타는 인공 색소와 설탕이 가득하고 마치 콜라만큼이나, 스팸 가공육만큼이나 몸에는 별로 좋을 게 없는 탄산음료일 뿐이겠지만, CF에서는 한자 선생이던가? '트로피칼 후르츠'를 강조하면서 열대 과일을 표방한다는 선전을 잔뜩 했다.

그리고 공익 광고 중에 이런 게 있었다.
학교에서 동물 그림을 그리는 시간에 어떤 애는 도대체 뭐가 씌였는지 흰 도화지 몇 장째를 온통 새까맣게 도배할 뿐이다. 장난 깽판을 친다고 보기에는 아이의 표정이 너무 진지하고 눈이 초롱초롱하니, 차마 대놓고 혼내지도 못하겠고.. 그래서 선생과 부모는 그 아이에 대해 정신 감정을 의뢰한다.
그런데, 각각의 종이들을 가로 x칸 세로 y칸으로 연결하니까 아이는 무진장 큰 시꺼먼 고래를 그리고 있었다는 게 밝혀진다.
...;; 아이의 잠재성과 창의성을 어른의 잣대로 단정짓지 말라는 뭔가 의미심장한 광고였다.

다음으로, 토요타보다는 아니고 '혼다'라는 일본 자동차 회사에서 2000년대에 창의성과 근성이 돋보이는 2분짜리 CF를 두 편 선보였다.
혼다 시빅(Civic)이라는 아반떼급 준중형차 CF는 무슨 합창단이 자동차의 엔진음과 주행음, 바깥 소음을 사람의 발성 기관만으로 흉내 내는 궁극의 비트박스를 시전했다. 컴퓨터에서 아주 정교하게 잘 만들어진 아스키 아트 텍스트 파일을 보는 듯한 느낌이다.
심지어 씨디를 집어넣어서 카오디오에서 음악이 나오는 것까지도 비트박스로 재현했다.

그리고 혼다 어코드(Accord)라는 쏘나타급 중형차 CF는.. 근성 도미노 스타일이다. 자동차 부품을 일렬로 쭈욱 늘어놓고 하나만 툭 건드려 주니까 나사가 돌아가고 나사 하나의 무게 차이 때문에, 기름 몇 방울의 무게 때문에 시소가 기울고 뭐가 툭 굴러 떨어지는 장치가 열몇 개씩 이어진다. CG가 아니라 진짜 다 실제로 세팅해서 촬영한 것이며, 세팅을 처음부터 전부 갖추는 데만 몇 시간이 걸렸을 정도의 극도의 근성의 산물이라고 한다.

옛날에 월트 디즈니 만화영화 <뮬란>에서 황제의 대사 중에는 "A single grain of rice can tip the scale. (쌀 한 톨의 무게 차이만로도 저울이 기울어질 수가 있는 법일세)"가 있었다. 영화에서 그 대사는 뮬란이 바로 전쟁이라는 저울의 승패를 가르는 그 쌀알이 될 거라는 복선이다만, 저 CF는 황제의 그 대사의 물리적인 실사판이나 다름없었다. ㄲㄲㄲ 다만, 타이어가 관성만으로 오르막을 저렇게 오른다거나 기름통이 너무 잘 굴러가는 건 현실성 개연성이 좀 떨어져 보여서 어색하다.

저것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우리나라에도 옛날에 근성 도미노의 원조가 있었다. 바로 지금은 KCC로 바뀐 고려 화학의 '고려 페인트' CF다. 고려 페인트 광고는 지금도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으며, 참신함과 기발함 덕분에 굉장한 호평을 받으며 회사 이미지의 제고에 도움이 됐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려 페인트의 도미노 CF는 원조가 첫 등장한 게 1989년이고 2차가 1992년, 마지막 3차가 1996년으로, 총 세 종류의 버전이 있다. 저 엄청난 양의 도미노는 CG가 아니며 실물을 직접 만들어서 쓰러뜨리며 찍은 거라고 한다. 세팅 하느라 굉장히 고생 많았을 듯. 1992년 당시의 신문 기사를 보면, 2차분 CF의 경우 8만 개에 달하는 도미노 칩을 사용해서 제작되었다는 보도가 있다. 도미노는 개념상 카드섹션 매스게임의 무인 버전뻘 되지 않을까 싶다. =_=;;

사실, 1990년대 초는 미국 할리우드의 영화/애니메이션 업계에서조차 CG가 이제 막 슬금슬금 도입되던 과도기 단계였다. 가령, 월트 디즈니를 예로 들자면, 1989년에 나온 <인어 공주>가 CG가 전혀 없이 100% 셀 애니메이션만으로 만들어진 '마지막' 작품이고, 그 뒤 <미녀와 야수>, <알라딘>에서는 배경부터 시작해 CG가 조금씩 들어가기 시작했다.
그러니 우리나라는 그 시절의 CF는 아직 아날로그 기술만으로 실사 제작일 수밖에 없었다. 다만, 1990년대 중반으로 들어서면서 기술 격차는 갈수록 줄어들고, 우리나라 역시 기상천외한 CG 합성 CF들이 곧 등장했다. 당장 떠오르는 건 하이칼스(1993) Alias라는 워크스테이션급 CG가 온통 도배가 돼 있다.

비주얼 다음으로 청각적인 면을 살펴보자면, 고려 페인트의 1차 CF에서는 도미노가 쫙 넘어지는 동안의 BGM은 그냥 피아노 건반으로 음이 또르르르르르 올라가는 소리 위주이다. 마치 보글보글에서 잔기가 하나 늘었을 때 나는 소리(점수가 일정 숫자 돌파, 혹은 EXTEND 보너스)와 비슷하게 들린다.
2차에서는 '도도 도 솔파미레도'로 시작하는 C장조 전자음 BGM이 추가되어서 음향이 더 미려해졌으며,
3차에서는 도미노가 실사 사진으로 바뀌는 효과가 더 부각되고 BGM은 뭔가 코러스가 곁들어진 명랑한 외국 팝송으로 바뀌었다.

본인은 3차 CF에서 나오는 A플랫 장조의 짤막한 BGM을 무척 좋아했다. 저런 음악이 있었다는 것만 기억하고 이 역이 고려 페인트 CF의 일부인 줄은 모르고 있었는데 도미노 CF에 대해 검색하던 과정에서 지금까지 끊어져 있었던 연결 고리를 되찾았다.
고려 페인트 CF에는 클래식 음악이 쓰였고 출처가 뭐냐 하면 그리그의 <페르 귄트 모음곡 - 솔베이그의 노래>라고 각종 지식인, 개인 블로그, 음악 음원 사이트에 잔뜩 소개되었으며 심지어 1996년도의 신문 기사에도 올라 있다.

그런데... 저건 도대체 고려 페인트의 어느 CF에 들어간 음악이지?? 아시는 분?
내가 듣기에는 2차 버전, 3차 버전 그 어느 것도 여자 솔로인 "솔베이그의 노래"하고는 하나도 닮은 구석이 없는데?

딱 들어 봐도 CF에 들어간 음악은 명랑한 장조이지만 저 원조 클래식은 단조풍이다.
원곡을 리메이크 했다고도 볼 수 없고 그냥 완전히 다른 음악이다. 저 세 편의 고려 페인트 도미노 CF에는 클래식이 들어간 적이 없다. 3차 CF에 들어간 그 명랑한 BGM의 정확한 출처를 알고 싶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래 전에 한번 다루기도 했지만 우리나라의 역대 공익 광고들을 또 짚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내가 인생에 대한 기억이 본격적으로 생겨서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로 바뀐 게 1980년대 말~1990년대 초이다. 그래서 그 시기에 텔레비전 화면을 본 기억이 많이 남아 있다. 그 시절엔 환경 오염, 반공, 마약 등을 소재로 하는 공익 광고는 강한 훈계조에 섬뜩하고 무섭기로 악명 높았다.

시꺼먼 감방 같은 배경에서 "마약은 모든 것을 빼앗아 갑니다."가 흘러나온다든가(1989) 올가미가 휙휙 던져지기도 하고..(1991) 국민 소득 4천$, 소비 수준은 2만$. 풍선이 뻥 터지는 과소비 추방 광고(1989)까지. 어린애들은 트라우마가 생길 정도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본인은 초딩 시절, "두껍아 두껍아..."로 시작하는 요 1990년작 CF를 직접 본 기억이 있다. 음산한 BGM과 함께 흰 바닥에서 시꺼먼 얼룩이 불어나는 게 공포 그 자체였다. 마약 광고보다도 더 무서웠다. ㅠ.ㅠ 하물며 저 얼룩이 블랙이 아니라 핏자국을 표방하는 레드였다면 아마 최악의 안구 테러가 됐을 것이다.

사실은 고려 페인트 이전에도 도미노를 소재로 한 광고가 있었다. 바로 도미노 블럭이 쓰러지는 걸 범죄자들이 소탕되는 것에다 비유한 1989년도 공익 광고이다. 본인은 이걸 직접 본 기억이 있다.
20년 남짓한 세월 동안에도 영상 문화의 흐름이라는 게 정말 확 달라졌다.

그 중에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남아 있는 고퀄의 공익 광고는 "필름 역주행"(1991, 1분)이다. 처참한 정면 충돌 교통사고가 난 동영상을 뒤로 돌려 보니 결국 발단은 질펀한 술자리. "필름은 되돌릴 수 있어도 생명은 되돌릴 수 없습니다."와 함께 영상이 끝난다. 이건 당시 무슨 국제 광고 공모전에서도 입상했다고 한다.
시대 정황상 역시 CG의 도움을 그다지 받지는 못했을 텐데 설마 자동차 두 대를 진짜로 충돌시켰을까? 어떻게 만들었까 싶은 생각도 든다. 8만 개짜리 도미노 블럭이야 그래도 생명의 위협이 없으니 근성으로 만들었다 치더라도. 아니면 충돌해서 운전자가 튕겨 나가는 부분만 실제 배우 대신 정교한 마네킹으로 대체했을 수도 있다.

그로부터 20여 년 뒤에 만들어진 음주운전 추방 광고는.. 아주 경쾌한 BGM과 함께 맥주잔이 출렁거리면서 도로를 질주하다가 교통사고가 나는 걸로 끝난다. 묘사가 훨씬 덜 간접적인 형태로 바뀌었으며, 앞부분만 봐서는 오히려 맥주 상업 광고인가 하는 착각이 들 정도이다. 그러나 결말부에는 역시 "즐거우셨습니까? 인생의 마지막 운전이 될 수도 있습니다"라는 경고문이 나온다.

이렇게 내 기억에 남는 CF들을 좀 늘어놓아 보았다.
작곡가, 기자, 작가(글/사진), 영화 감독처럼 뭔가 창의력으로 먹고 사는 사람들에게는 평생 한두 번 찾아올까 말까인 '명작운', '특종운'이라는 게 있는 것 같다.
난 영상이나 음악은 아니고 아시다시피 글과 코드를 주로 창조해 왔다. 하지만 음악 쪽도 언젠가 내가 만든 곡에 내가 꺼뻑 가는 작곡을 하는 순간이 왔으면 하는 소망이 있다.

프로그램 쪽이야 난 날개셋을 계속 만들지 않았으면 진작에 철도로 전공과 직업을 바꿨을 수도 있다. -_-;; 어쩌다가 약을 단단히 빨고서 이렇게 아무도 관심 안 갖는 분야의 엽기적인 프로그램의 창조자가 됐는지 모르겠다.
여러 분야의 글 중에서 기독교/성경 쪽만 예를 들자면, <음란한 성경은 가라>에 아마 평생의 명작운이 전부는 아니어도 대부분 투입되지 않았나 싶다. 그게 정말 독보적인 대박을 쳤으며 킹 제임스 옹호 진영과 반대 진영 모두에 내 이름을 알렸다.

페인트 광고에 근성 도미노가 나오고, 자동차 광고에 궁극의 부품 도미노와 합창단 비트박스가 나오는.. 그런 급의 명CF가 앞으로 또 국내외에서 얼마나 등장할지 지켜볼 일이다.
본인 역시, 30여 년 평생에 뭔가 똑같은 내용을 공부하고 암기해서 치는 시험에서 남보다 앞서고 뭔가 재미를 본 적은 거의 없었다. 그 대신 남 안 하는 짓, 창의적인 분야에서 뭔가를 기여하고 명성을 얻은 편이었다. 그런데 그게 꼭 부귀영화를 가져오는 분야는 아니어서 문제이긴 하다만=_=, 난 앞으로도 계속 그 방면을 파면서 살게 될 것 같다.

Posted by 사무엘

2016/02/09 08:35 2016/02/09 08:35
, ,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191

옛날 글을 검색해 보니 5년도 더 전, 굉장히 옛날에 한번 텔레비전 방송 사고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있었다. 그때는 말 그대로 출연자가 저지른 실수 위주로 유명한 국내 사건들을 나열했었다.
이번에는 그것보다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분류를 해 보고자 한다. 이유와 원인이야 어쨌든 최종 시청자들이 방송사에서 의도하지 않은 화면을 보게 된 일체의 사건들을 일컫는다.

다음 카테고리들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현실성이 떨어지며, 사건의 심각성도 그에 비례해서 더 커진다. 실수가 아니라 범죄에 더 가까워진다.

1. 출연자의 실수

생방송 중에 갑자기 돌발상황이 발생하여 출연자들이 웃음을 참지 못하고 빵터져 버리는 귀여운 유형이 많다. "나라의 경제를 얘기하고 있는데 파리가 앉았습니다"(2001)가 이 카테고리의 대표적인 예다. 한번 웃음병이 도져 버리면 마치 비행기가 실속에 빠져 버린 것처럼 출연자들이 헤어나오기가 어려운 듯.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분위기를 수습하려고 MC가 나름 재치와 센스를 발휘해서 애드립을 구사한 것이었을 텐데, 오히려 그게 게스트 출연자의 웃음 고문을 더욱 가속해 버렸다. =_=;

다만, 외국에서는 생방송 중에 뉴스 기자가 현장에서 사고를 당하거나 심지어 살해당하는 방송사고도 있었다. 이건 재미있는 사고라고 볼 수는 없다.
출연자의 실수로 인한 방송 사고는 관계자가 자기 방송사 내부에서 징계를 당하는 결과는 야기할 수 있는 반면, 그래도 대외적으로 누가 경찰서 정모를 한다거나 공권력의 철퇴를 받지는 않는다. 사안이 제일 가볍다.

2. 출연자의 고의 난동

국내에서는 카우치 성기 노출(2005)이 이 카테고리에서는 아마 제일 충격적인 사례에 속할 것이다.
이것 때문에 인디 음악 하는 사람들이 몇 년 동안 방송에 나오지도 못하고 고생 많이 해야 했다. 그리고 쇼 프로는 무조건 생방송이 아니라 최소한의 사전 검열은 가능하게 5분 지연 전송을 하게 제도가 바뀌었다.
이건 스샷을 올리기가 좀 민망하니 그냥 링크로 대체하겠다. 오죽했으면 이 장면을 북한 방송 화면에다 합성하여 "천하의 개쌍놈들" 짤방이 만들어졌다.

그나저나 또 외국에서는 생방송 중에 리포터가 갑자기 권총 자살을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건 실수의 영역은 아닐 것이다.

3. 외부인의 난입

여기서부터는 일단 해당 TV 프로의 제작과 출연에 관여하는 사람에게는 잘못이 없다. 방송 중 외부인의 난입은 비행기 사고로 치면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와 비슷한 격이다.
이 분야에서 지존으로 꼽히는 국내 방송 사고는 두 건이 있다. 먼저 "귓속에 도청장치" 사건(1988). 이건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엽기적인 사고인지라 외국에서도 소개되었다. 어떻게 겁대가리를 상실하고서 생방송 중인 뉴스 스튜디오로 침입을..? 하지만 그래도 심하게 악의적이지는 않은 정신병자의 난동일 뿐이었다는 게 다행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영상을 보면 화들짝 놀란 스탭이 괴청년을 제압하여 바닥에 철퍼덕! 패대기치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또한, 괴청년은 끌려 나가서 화면 밖으로 사라진 뒤에도.. 다시 한 번 "도청장~~!@#!@"이라고 단말마의 비명을 처절하게 외친다.

이 사건과는 달리, 만민 중앙 교회 MBC 침입 난동(1999)은 사안이 더 심각하다. 일개 종교 집단의 시위로 인해 공중파 방송국이 털리고 정규 방송이 중단되는 초유의 해프닝이 발생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외부인의 물리적인 난입보다 더 ㅎㄷㄷ한 단계가 있으니 바로 그것은..

4. 전파 납치

컴퓨터에 해킹이나 패킷 스니핑이 있듯이, 이건.. 방송국이 멀쩡하게 송신해 준 신호를 가로채서 다른 것으로 대체해 버리는 무지막지한 테크닉이다. 이것은 방송계의 위조지폐 내지 비행기 하이잭이나 마찬가지이며, 통상적인 방송 사고를 아득히 초월하는 범죄 행위이다. 특히 북한과 대처 중인 우리나라에서는 전파를 갖고 장난 치는 짓을 더욱 무겁고 심각하게 다룰 수밖에 없다.

단순히 기존 신호를 교란시키고 수신을 방해만 하는 게 아니라, 아예 다른 신호로 대체하는 것은 값비싼 장비가 필요하고 기술적으로도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아무나 할 수는 없다. 음성은 그렇다 쳐도 영상은 바꿔치는 게 훨씬 더 어렵다.
그래서 그런지 전파 납치는 국내에서는 보고된 적이 없다.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사례는 미국에서 벌어진 '맥스 헤드룸' 전파 납치 사건(1987)이다. 영화가 방영되던 텔레비전에서 몇 분 동안 갑자기 기괴한 배경에 가면을 쓴 웬 정신병자의 기괴한 엽기 퍼포먼스가 흘러나왔으니 시청자들의 충격이 얼마나 컸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건 괴전파가 대략 어느 지역에서 발신되었는지 정도만이 어렴풋이 파악됐을 뿐, 누가 왜 저질렀는지 범인은 끝내 잡히지 못하고 미제 사건으로 남았다.
저 정체 모를 아저씨는 방송국에 가지 않고, 방송국 기자를 만나지 않고도 "텔레비전에 내가 나왔으면 정말 좋겠네"를 그럭저럭 실현했다. 하지만 어렵게 기껏 집어넣은 화면엔 동요 가사처럼 "춤추고 노래하는 예쁜 내 얼굴" 따위는 없었다. 가면을 쓴 얼굴에 알아듣기 힘든 기괴한 음성, 그리고 끝에는 웬 SM스러운 스팽킹+신음 장면만이 고스란히 전파를 탔을 뿐이다.

이 글을 쓰면서 느낀 건데..
방송· 통신 내지 전파 공학이라고 해야 하나.. 저런 것도 특히 처음 개발되고 등장하던 당시엔 슈퍼 울트라 하이테크이긴 했겠다. 난 저런 건 진짜 새까맣게 모른다. 하나도 모르는 문외한이다. 근원을 파헤치려면 물리학의 전자기파부터 다시 시작해야겠지만.. 이건 뉴턴 고전 역학도 아니고 손에 잡히지 않는 물질 세계의 특성에 대해 난 도저히 이해를 할 수 없어서 GG를 쳐 버렸다.

라디오에 FM과 AM이 왜 존재하고 어떤 특성이 있는지, 중파· 단파 방송은 무엇이고 케이블 TV, 위성 TV, DMB는 무엇인지, 옛날에 무전기는 어떤 원리로 동작했고 지금의 휴대전화와는 기술적으로 무엇이 다른지, 그리고 지금의 와이파이 무선 인터넷과는 차이가 무엇인지, UHF/VHF는 무엇인지...
터널 안에서도 음성· 영상 신호가 끊어지지 않으려면 뭘 해야 하는지(자동차 내비는 터널 주행 중일 때 보정을 어떻게 하나?) 그러고 보니 옛날에 무전기는 송·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어서(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치면 실시간이 아니라 철저하게 턴 방식!) 말을 하는 쪽이 내 말이 끝났음을 알리기 위해 '오버'라고 해 줘야 했다. 그거랑 지금 무선 전화의 기술적인 차이는 무엇인지 등등등..;;

그래도 이런 분야에도 괴수 천재는 분명 있을 것이다. 옛날엔 정말 전파를 갖고 노는 사람은 자동차 기술자만큼이나 가히 마술사라고 불리기도 했을 것 같다.
신호 상태가 안 좋거나 수신되는 신호가 아예 없을 때는 옛날에는 수상기를 통해 그저 랜덤한 아날로그 white noise와 치지지직 소리만을 접할 수 있었던 반면, 요즘은 JPG artifact를 본다. 과연 디지털 시대를  실감한다.

* 이미 다들 아시겠지만, 본인은 11년쯤 전에 공중파 텔레비전에 출연한 적 있음. ^^;;

Posted by 사무엘

2016/01/18 08:25 2016/01/18 08:25
, ,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183

1. MBC 뉴스데스크

나무위키를 돌아다니다가 거의 성지순례 급의 진귀한 동영상을 발견했다. 바로, 역대 MBC 뉴스데스크 오프닝 화면의 역사이다.

본인은 1981년에 제정되어서 87년까지 쓰였다고 하는 BGM을 기억한다.
현란한 신시사이저 소리를 배경으로 굵직한 "시~솔 ... !@#!!@# .. (옥타브 up) 솔 솔라 시~솔~" 쿠우우웅~~ 멜로디가 깔리는 게 아주 인상적이었다. 30년 전 그 옛날에는 고전과 현대 음악을 두루 섭렵한 방송 기획자가 심혈을 기울여 선곡한, 아주 참신한 음향 효과였지 싶다. 곡명은 구스타브 홀스트의 Jupiter, the Bringer of Jollity의 도입부를 또 일본에서 리메이크한 곡이라고 한다.

물론, 본인이 TV에서 저걸 직접 본 건 거의 유치원을 갈까말까 하던 꼬마 시절이었으며, 선사시대(내가 직접 남긴 기록이나 기억이 없는)에서 역사시대로 옮겨간 직후였다. 1988년부터 음악이 딴 걸로 바뀌었다고 하니 올림픽을 하기도 전에 교체됐다. 난 그렇게 일찍 바뀐 건 아니라고 생각했다만.. 그래도 1987년 7월에 새마을호 전후동력 디젤 동차가 투입됐던 시절엔 아직 이 시그널송이 쓰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은 바뀐 지 10년이 넘었지만, 저 MBC 영문 서체는 아직 기억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영문 서체는 Banco라는 기성 서체이지만 '뉴스데스크'라는 한글은 영문 서체의 느낌을 보고 손으로 획을 그려 만든 일종의 캘리그래피?로고타입?에 가까워 보인다. 한글까지 포함된 완전한 문화방송체 서체는 90년대에 가서야 나중에 개발된다.

그리고 옛날에는 이유는 모르겠지만, 뉴스의 시그널송이 끝난 뒤에 광고 리스트가 뜨는 동안은.. 웬일인지 무슨 기계가 탈탈탈탈~ 돌아가는 소리가 나왔다. 윤전기를 돌리는 소리라고 하는데 그땐 왜 그런 소리를 넣었을까? 1990년대가 넘어서야 탈탈탈 소리 대신에 그때도 BGM이 나오게 바뀌었다. 그리고 광고 리스트도 세로쓰기가 아닌 가로쓰기 형태로 바뀌었다.

1980년대 아니랄까봐, 그때는 반드시 대머리 대통령의 근황부터 먼저 전하는 땡전뉴스 관행이 KBS와 MBC에 공히 있었던 듯하다. 그것도 모자라서 하도 '한편 이 순자 여사께서는...'이 관용구로 많이 등장하다 보니, 대통령 영부인의 호가 '한편'이라는 개드립도 나돌았다.

그때는 강 성구 앵커도 종종 보이는데... 맞다. 1988년 8월에 "귓속에 도청장치가 있습니다 여러분!"이라는 희대의 엽기적인 방송 사고를 경험한 그 앵커이다. 그 사람은 훗날 MBC 사장에 국회의원까지 역임하면서 굉장히 승승장구하고 성공했으나.. 2013년엔 음주운전과 식당 주인 폭행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2. 만화영화 주제가들

다음으로 만화 주제가도 빼놓을 수 없다. 옛날에는 성우에 대해서 글을 썼었는데 내용을 더 보강하겠다. 먼저, 요술 공주 밍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버지가 작곡하고 딸이 불렀구나(당시 10~11살).;;; 과연 음악 가문이다.
하긴, 아버지는 억만장자 수학 교재 저자이고 딸은 서울대 수학과 교수인 집안도 있고,
아들은 로토스코핑으로 아케이드 게임을 만들고 아버지는 거기 들어갈 음악을 만든 집안도 있지. =_=;;

저건 내가 태어나기 거의 직전에 방영된 만화영화인지라, 본방을 직접 보는 건 불가능-_-했고 다른 경로로 주제가만 들어서 알고 있었다. 듣자하니 엔딩이 굉장히 충격적이었다는데.. (제작사에서 주인공인 밍키를 어이없게 죽여 버렸다고..)
주제가는 가수의 목소리가 참 곱고 노래 잘 부른다고 오래 전부터 생각을 했다. 곡도 동요스럽게 잘 만들었고.
그리고 밍키 주제가 같은 경우, 화음이 최하 3부 정도 있다. 가장 높은 화음은 원래 파트하고 같은 목소리가 아닌데 누가 같이 불렀나 하는 생각도 든다.

그랜다이저 역시 본방을 보지는 못한 엄청 옛날 작품이긴 하다만.. 이거 주제가도 남자 목소리에 같이 곁들어져 있는 여자아이 목소리는 역시 동일한 정 여진이다.
명랑하고 경쾌하고.. 가사를 좀 바꾸면 거의 군가로 불러도 될 것 같다.
가사가 "빠~ 빠빠빠. ... 태양을 향해라 용기를 마셔라" 이렇게 시작하는데.. '용기'(courage) 다음에 '마시다'(drink)라니, 참 독특 희한한 연어 관계이다. 저게 뭔 말인지 궁금해진다.

다음으로, 세월이 흘러 본인이 직접 본방을 본 적이 있는 만화영화를 몇 개 소개하겠다. 말괄량이 뱁스은비 까비의 옛날 옛적에는 가수가 모두 조 갑경이다.
전자는 동영상의 화질은 좀 개판이다만, 별로 신경쓸 것 없고 노래만 들으면 된다. 어차피 그 당시의 영상 자체를 보고 싶으면 유튜브에서 tiny toon adventures라고 영어 원판을 시청하는 게 훨씬 나을 테니까. 노래는 정말 귀엽고 깜찍하고, 동심을 마음껏 자극하는 창법으로 부른 게 느껴진다.
후자의 경우, 당시 KBS2 텔레비전에서 금요일 저녁에만 방영한 국산 애니 시리즈였는데, 덕분에 본인의 불금 엔터테인먼트를 책임지곤 했다. 노래 자체는 남녀 듀엣이기 때문에 남자 가수도 포함돼 있다.

미국 만화영화 중에는 미키마우스에다가 슈퍼맨을 합친 컨셉인 듯한 마이티마우스도 있었는데.. 국내에서는 MBC에서 1992년에 수입· 번역해서 방영을 했었다. 단선 선로에서 마주 보며 달려오는 열차를 마이티마우스가 양팔로 충돌을 막는 장면이 있는데.. 실제 열차의 속도와 무게를 생각한다면.. 정말 불가능 중의 불가능임. 미국 애니 특유의 극도의 과장 연출이 아니고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다. 저건 주제가를 익명의 어린이 제창으로 불렀다.

그리고 (신비한 바다의) 나디아까지만 얘기를 하고 글을 맺겠다. 나디아는 일본 문화 개방도 하기 전에 이례적으로 세계관이 좀 심오하고 스케일이 크고 매니악한 일본 애니가 방영된 경우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이거 주제가를 부른 가수는 윤 익희이다.

텔레비전에 UHF와 VHF 채널 다이얼 두 개가 있고, 화면과 소리로 white noise를 볼 수 있던 아날로그 시절, 광고 리스트가 무려 세로쓰기로 뜨던 시절이 갑자기 그리워진 다. ^^ 옛날에는 컴퓨터까지 갈 것도 없이 텔레비전만으로도 정말 최첨단 전자 기술이긴 했겠다.
아아~ 그리고 나도 작곡 스킬 좀!!! ㅜ.ㅜ 이런 음악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이 참 대단하고 부럽다. 이미 있는 곡을 편곡만 하는 건 자동차로 치면 그냥 정비나 튜닝에 불과하지만, 작곡은 예전에 없던 새로운 자동차 모델을 개발하는 것과 같은 급일 테니 말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5/12/07 19:35 2015/12/07 19:35
, ,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168

코레일에서 서울 메트로 방송이!

2010년 7월 1일. 분당선 전동차를 타고 출근하면서 본인은 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아니, 코레일이 안내 방송을 완전히 서울 메트로 스타일과 동일하게 고쳤기 때문이다.
성우 목소리는 말할 것도 없고 환승역 도착 음향도 수 년째 전통적으로 써 오던 클래식 대신, 서울 메트로의 퓨전 국악 ‘얼씨구나’로 바뀌어 있었다!

모란· 복정 역에서 ‘얼씨구나’를 듣다니, 이 어색함은 직접 들어 본 사람만이 알 것이다.
분당선은 1기 지하철처럼 서울 메트로와 코레일이 직결 운행을 하는 곳도 아니고 100% 코레일 관할 구간인데 무슨 바람이 들어서 이렇게 바꿨는지는 모르겠다.
코레일은 지금 영어 방송에서 유일하게 남자 성우 목소리를 쓰는 회사이다. 이 추세라면 그 개성도 앞으로 없어질 것 같다.

그나저나 도철(SMRT)은 21세기 이래로 환승역 도착 음향은 단 한 번도 교체된 적이 없다. 멜로디가 유일하게 단조여서 좀 냉정한 느낌이 든다. 지난달엔 승강장 도착 멘트가 바뀌고 더 옛날엔 시종착역 알림 음향도 CM송으로 바뀌었는데, 앞으로 환승역 도착 음향이 바뀔 일만 남지 않았겠나 하는 생각이 든다.

참, 행복미소 마케팅 공세가 시작된 2008년 하반기 이래로 한동안 도철 구간 지하철 역에서는 노조의 회사 비판 포스터를 볼 수가 없었는데 역시 비슷한 시기인 이 달 초에 드디어 하나 출현했다.
한동안 음 사장은 무리한 에너지 절약 정책으로 인해 철도 동호인들로부터 가루가 되도록 까였으나, 최근엔 그런 병크가 상당수 해소되었고 또 스크린도어 기술 국산화 같은 업적이 드러나면서 안티가 다소 줄어든 추세라고 들었다. 그런데 다시 회사 정책을 비판하는 포스터를 보게 됐다.
노와 사의 관계는 마치 군대에서 병과 간부의 관계만큼이나 영원히 가까울 수가 없는 것 같다.

Posted by 사무엘

2010/07/10 09:19 2010/07/10 09:19
, , , ,
Response
No Trackback , 5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316

안내방송, 일본어

지금까지 공공 장소나 각종 교통수단 내부에서 셀 수 없이 다양한 안내 방송을 들었다.
안내 방송은 한국어, 영어가 대부분이고 가끔 중국어나 일본어를 들을 일도 있었다.

원래 철도는 무궁화호조차도 중국어와 일본어 방송이 나왔는데 KTX가 개통한 지 얼마 안 되어 한 2005~6년쯤부터 중국어와 일본어는 삭제되고 화면의 자막으로만 대체되었다.
하지만 2007년에 개통한 공항 철도는 중국어와 일본어 방송도 나오고 있으며, 요즘은 심지어 지하철도 한 2008년쯤부터는 이용객이 많은 중요 환승역에서는 중국어와 일본어 방송을 다시 해 주고 있다. 내 기억에 이거 원조는 서울 메트로이다. 그걸 나중에 코레일과 SMRT도 따라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그 시기부터 철도계에는 손님이나 승객 대신 '고객'이란 말이 유행처럼 번지기 시작했다. 이거 원조는 의심의 여지 없이 코레일이다. 서울 메트로는 그걸 적극 수용한 반면, SMRT는 조금은 더디다.
그 반면 SMRT는 행복미소라는 BI(브랜드 로고)를 만들고 스크린도어를 자체 기술로 굉장히 빠르게 도입해 냈으며, 역시 2008년 무렵부터 굉장히 적극적인 이미지 마케팅을 시작했다. 이따금씩 심심찮게 붙던 철도 노조의 살벌한 포스터를 더 볼 수 없게 된 것도 이때부터이다. 이런 시도는 지하철 회사의 형님격인 서울 메트로도 1234 행복열차 BI를 만들어서 뒤쫓고 있는 중이다. (사실 서메는 자체 TV 방송까지 하고 있는 엄청난 회사이다)

코레일, 서메, SMRT 사이의 유저 인터페이스 신경전은 대략 이런 구도이긴 한데,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이 있다.

한국어, 영어, 중국어는 지금까지 남자와 여자 목소리를 모두 들은 적이 있는데
일본어는 굳이 철도 시설이 아니더라도, 어딜 가더라도 남자 목소리는 단 한 번도 들은 적이 없다.
일본어 하면 늘 나긋나긋 옥구슬 같은 여자 목소리이다.
일본어가 좀 여성스러운 언어라는 말도 어디서 듣긴 했지만 정확한 근거는 잘 모르겠고,
일본은 안내 방송에서 오로지 여자 목소리만으로 대외 홍보를 하기로 정책을 결정이라도 했는지, 아니면 이건 그냥 내가 일본 견문이 부족한 것이고 우연의 일치일 뿐인지도 잘 모르겠다.

Posted by 사무엘

2010/02/18 09:50 2010/02/18 09:50
, ,
Response
No Trackback , 7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88

2010년 현재, 본인의 마지막 TV 출연 경험이다.
본인뿐만이 아니라 본인의 동지들도 대거 출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잘못된 한글 코드, 글자판을 비판하는 신문 기사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 병우 박사님이 살아 계시던 시절, 한글 문화원에서 발행한 각종 유인물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벌식과 관련해서 TV 출현할 때마다 정말 잘 활용한, 아론 전자 세벌식 최종 키보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사무엘

2010/01/13 23:56 2010/01/13 23:56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35

한글날 특집 기획 다큐멘터리 3부작 중 하나인 <세계화 시대의 우리 말글>에 잠깐 출연하여 인터뷰를 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사무엘

2010/01/13 23:44 2010/01/13 23:44
Response
No Trackback , 3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3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당히 연출된 장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글 문화 연대 회원이기도 한 황 현정 아나운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일 프로에서 기계 번역을 주제로 먼저 출연한 포항 공대 컴퓨터 공학과 이 종혁 교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사무엘

2010/01/13 18:02 2010/01/13 18:02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33

스펀지 방영 화면 (2005/3/12)

2005년 3월 12일,
"50년 전 발명된 [ ]가 지금의 것보다 훨씬 빠르다" 라고 세벌식 타자기를 소개하는 스펀지 아이템에 본인이 실험맨으로 출연했다.
두벌식과 세벌식을 모두 능숙하게 잘 다룬 덕분이었다.
촬영은 2005년 2월 23일.. 내 생일 때 했다. http://moogi.new21.org/news_sponge.htm 참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사무엘

2010/01/12 20:06 2010/01/12 20:06
,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22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55574
Today:
2483
Yesterday:
1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