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호대로에서 중랑천 서쪽 구간은 남북으로 동대문구와 성동구의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성동구에서 중랑천과 청계천으로 둘러싸인 삼각형 비슷한 지대는 뭐랄까.. 서울 시내이면서 서울 같지 않은 냄새를 물씬 풍긴다.

평범한 주택이나 업무 시설이 아니라 군자 차량기지부터 시작해서 빗물 및 하수 처리장, 정체를 알 수 없는 가스 탱크, 남쪽 끝에는 성동 자동차 검사소.. 민간인이 범접하기 어려우며 교외 변두리에나 있을 법한 인프라 시설들이 가득하기 때문이다. 또한 장한평은 중고차 시장과 자동차 부품 상가가 유명하기도 하다.
그러니 여기 일대에 지하철 차량기지까지 들어선 것은 충분히 수긍할 수 있다. 성수에서 용답까지 없는 길을 일부러 만들어 가면서 괜히 애쓴 게 아니었다.

그런데 2010년대 이래로 이 동네가 분위기가 조금씩 바뀌고 있다.
하수 처리 시설의 일부가 복개되어 지하로 들어가고, 그 위의 부지가 공원으로 꾸며지는 듯하다.
근래에는(2017) '서울 새활용 플라자'라고 이름만 들어도 용도와 성격이 짐작되는 시장 겸 공공시설이 들어섰으며, 바로 옆엔 '서울 하수도 과학관'이라는 것도 나란히 생겼다.

결정적으로 하수 처리장의 이름마저 '물 재생 센터'라고 바뀌었으니, 이 동네는 친환경, 재활용 산업이라는 컨셉을 표방하면서 꼬질꼬질한 과거 이미지를 벗기로 작정을 한 모양이다.
안 그래도 천호대로 일대의 군소 하천들을 답사하던 와중에 거기 정도면 방문하기 아주 좋은 곳이다. 그래서 본인은 거기를 찾아갔다.

새활용 플라자는 천호대로에 가까이 위치한 서울 청년 회의소에서 500m쯤 남쪽에 있다. 걸어서 못 갈 거리는 아니지만 그래도 약간 외진 곳에 있기도 하니.. 장한평 역 8번 출구 인근에서 대략 20분 간격으로 25인승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된다고 한다. 뭐, 본인은 자전거가 있으니 이 정도는 이동하기 딱 좋은 거리와 위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입구는 이렇게 생겼는데...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와~! 여기가 정녕 서울 한복판이란 말이냐...;; 주변의 넓은 풀밭 벌판에 압도되어 버렸다. 옛날에 서울 마곡 미개발 지대를 보는 것 같았다. 박물관에 들어가기 전에 여기부터 한 바퀴 돌면서 경치 감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여기는 주차료가 징수되는 구역 내부이기 때문에 자동차는 아무나 못 들어온다. 하지만 그것 말고는 울타리나 출입 금지 표지판도 없고 사람 몸은 아무나 쉽게 들어올 수 있다.

여기에 각종 공원 시설들이 본격적으로 지어지고, 유명해져서 사람들이 몰리기 전에, 덜 유명하고 황량한 지금 모습을 기록으로 많이 남겨 놔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10여 년 동안 공사를 많이도 한 모양이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과학관? 박물관 내부에는 시설의 명칭에 걸맞게 우리나라의 하수 처리 시설의 변천사에 대한 자료가 많이 전시되어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울시의 물 지도이다. 나름 하천이 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울에 이런 물 재생 센터는 총 네 곳 있다. 난지도 같은 쓰레기 처리장의 액체 버전이라 할 수 있는데..
난지와 서남은 각각 고양과 김포에 근접한 너무 서쪽 끝에 있고, 동남쪽의 탄천에도 하나 더 있다. 그나마 중랑은 청계천과 중랑천이 만나는 지점이면서 서울 시내와도 그리 멀지 않으니 위치가 가장 좋다.

또한 중랑은 인서울 하수 처리장 중에 제일 먼저 생긴 곳이라고 한다. (나머지 세 곳은 80년대의 한강 종합 개발 사업 때 만들어졌지만 얘만은 박통 때 만들어짐)
근처의 군자 차량기지는 공교롭게도 최초의 인서울 지하철 차량기지인데.. 기막힌 인연인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수도 과학관을 포함해 물 재생 센터까지 시설 전체의 축소판 미니어처가 눈에 띄었다.
처음에 봤던 그 황량한 벌판에는 앞으로 꽃밭과 연못이 조성되려는가 보다. 난지도 하늘 공원 같은 공원이 여기에도 생길지 기대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쓰레기 매립지에서 메탄 가스를 수집해서 열병합 발전을 하듯이, 하수 처리장에서도 메탄 수집이 가능한가 보다. 게다가 소규모로나마 수력 발전도 할 수 있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이 저 정도로 중요한 자원인지 몰랐다. 질소처럼 생명체를 구성하는 원소 중 하나이며, 비료 내지 화약의 제조에도 쓰인다.
'나우루'라고 석유도 아닌 인광석 하나만으로 벼락부자가 됐다가.. 그게 고갈되면서 쫄딱 망한 나라가 있긴 했다.

이런 전시관 자체는 그냥 한 층이 전부이고 볼거리가 아주 많은 건 아니었다. 동영상까지 일일이 다 시청하더라도 2~30분이면 다 관람할 수 있었다.
그래도 서울 한복판에 이런 테마의 박물관과 넓은 공터가 있다니, 흥미로운 체험을 했다.

맨홀 아래의 길은 어떻게 나 있는지, 화장실에서 변기 물을 내리면 더러워진 물과 대소변은 어떻게 처리되는지 뭔가 경이로움이 느껴진다.
옛날에는 동네 곳곳마다 일명 똥차라고 불리는 분뇨 수거차가 번거롭게 다녀야 했다. 재래식 화장실 기반인 곳에서는 끔찍한 악취가 진동하는 오물들을 퍼야 했고, 수세식에 정화조까지 갖춰진 건물이라도 침전물 찌꺼기(슬러지)는 몇 달 간격으로 직접 긁어 가야 했다. 슬러지는 한번 분해를 거쳤기 때문에 최초의 그 X만치 흉악한 외형과 악취를 지니지는 않지만.. 그래도 미관상 절대로 보기 좋게 생기지는 않은 건 마찬가지이다.

그랬는데 요즘 어지간한 도시에서는 그런 풍경이 사라졌다. 어떻게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오물을 건물 정화조에서 썩히는 게 아니라 그대로 중앙 하수 처리장으로 보내기 때문이다. 하수도와는 별개로 부설된 통로로 말이다.

생각해 보니 우린 상수도 요금만 내지, 하수 처리 비용을 따로 지불하지는 않는다. 쓰레기는 유료 봉투에다 넣어서 버린다지만 버려지는 물은 정확하게 집계하는 게 가능하지 않으며, 의미도 없어서 그렇지 싶다. 상수도 요금에다가 하수 처리 비용까지 포함해서 징수하는 게 더 낫다.

중랑 물 재생 센터가 있는 곳은 청계천이 중랑천으로 합류하는 지점이다.
그런데 더 서남쪽으로 중랑천이 한강으로 합류하는 지점에는 서울숲이라는 녹지 공원과 함께 인서울 거의 최후의 공장으로 여겨지는 삼표 시멘트가 있으며, 지도에서 가려지기까지 한 '서울 한강 사업 본부'와 함께 '수도 박물관'이 있다. 둘이 서로 좋은 대조군을 형성하는 듯하다.

아울러, 아차산-광나루 사이의 언덕에는 '서울 물 연구원'이라는 게 있어서 거기도 온통 지도에서 가려져 있다.
한강의 서울 시내 구간 정도면 이미 상수원으로 취수하지도 않는 하류일 텐데.. 물 관련 보안 시설이 비단 상수도 취수 시설만 있는 건 아닌 것 같다.

Posted by 사무엘

2019/07/26 19:38 2019/07/26 19:38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644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1644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629 : 630 : 631 : 632 : 633 : 634 : 635 : 636 : 637 : ... 2131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2635466
Today:
2264
Yesterday:
1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