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Results for '카세트_테이프'


1 POSTS

  1. 2015/10/09 옛날 물건들 추억 by 사무엘 (2)

옛날 물건들 추억

1. 특수한 그리기 도구(?)

오래 전에 아이패드를 보고는 문득 이런 물건 생각이 났다.
저렇게 태블릿과 비슷하게 생긴 판때기 모양의 장난감이었는데, 전기를 쓰지는 않고 안에 가루 같은 게 꽉 차 있었다. 그리고 그 표면에다 펜으로 뭘 그리면 그림이 그려졌다. 흔들거나 다른 특수한 방법으로 내용을 다 지우고 화면을 초기화할 수도 있었다.
이런 식으로 내부의 가루 상태를 이용해서 단색 그림을 그리는 패드가 있었는데 이 이상 더 자세한 정보가 남아 있질 않고 인터넷으로 더 검색도 할 수 없다. 이런 거 기억하시는 분의 제보를 기다린다.

2. 카세트 테이프의 주행

지금이야 음악 감상은 컴퓨터의 디지털 기술 기반으로 완전히 바뀌었지만 옛날에는 카세트 테이프라는 게 시대를 풍미하는 음성 매체였다.
카세트 테이프에는 주행용 구멍이랄까 회전축이랄까 그게 두 개가 있다. 재생을 하면 두 구멍 중 오른쪽에 있는 것 하나만 돌아간다. 되감기를 하면 왼쪽 것이 돌아가고. 즉, 한쪽의 동력이 다른 한쪽으로도 전해지는 형태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데 난 테이프를 재생하는 중에 두 구멍의 회전 속도가 왜 서로 차이가 나는지가 어릴 때부터 굉장히 궁금했다.
갓 재생을 시작해서 테이프들이 아직 왼쪽에 몰려 있을 때는 왼쪽 구멍의 회전이 느리고 오른쪽 구멍의 회전이 빨랐다.
그러나 한 편을 다 들어서 테이프가 오른쪽에 몰려서 오른쪽이 거대해지고 나면, 반대로 왼쪽은 빨리 돌아가고 오른쪽은 느려졌다.

지금 그 모양을 다시 생각해 보니 카세트 테이프는 직경이 다른 두 톱니바퀴의 회전으로 인한 변속이라는 개념을 설명해 주는 좋은 예였다. (테이프가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감기면서 양 구멍의 직경이 서로 달라지므로..)
아니, 더 나아가 테이프는 톱니라기보다는 벨트에 더 가까운 형태이니, CVT 무단변속기를 떠올릴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지금 카세트 테이프 재생기가 있으면 주행 과정에서 양 구멍/바퀴의 변속비가 얼마까지 달라지는지를 더 눈여겨보고 싶다.

3. 노래방 기계 글꼴

요즘 노래방을 가 보면 옛날에 비해 가사의 글꼴이 더 새끈한 걸로 바뀐 것만 봐도 시대가 바뀌었다는 걸 개인적으로 딱 바로 알 수 있었다.
오랫동안 노래방 가사 자막용으로 쓰인 서체는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아래아한글 40*40 비트맵 명조를 떠올리게 하는 구닥다리 비트맵 명조체였기 때문이다. 1990년대 초반에 아래아한글 1.x로 조판된 듯한 옛 영진 출판사 책들을 보는 느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다가 이 명조체를 대체한 것은 큐닉스 서체인 가을체와 으뜸체 정도. 노래방 기계에서는 요 둘이 굉장히 많이 쓰인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중에는 노래방에서도 서울남산이나 나눔(바른)고딕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4. 옛날 키보드

한동안 완전히 잊고 있었는데.. 그러게, 한 30년 전쯤의 구닥다리 컴퓨터들은 키보드의 구성이 지금과는 살짝 달랐다. 미국 원판은 84키이고 한국에서는 한영/한자가 추가돼서 86키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난 초딩 시절에 컴퓨터 학원에서 이 구식 키보드를 본 기억이 있다. 지금 키보드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 일단 F1~F10 기능키는 왼쪽에 2열 종대로 늘어서 있고 F11과 F12는 존재하지 않는다.
  • 문자 키와 키패드 사이에 여분의 화살표 내지 키패드 기능 키들(pg dn/up, home, end, insert, del)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Num lock이 켜져 있는 동안은 키패드 기능 키들을 사용할 수 없다.
  • Ctrl은 지금 Caps lock이 있는 곳에 있다. 그 대신 Caps lock은 우측 하단에 있다. (그래 그랬다, 완전 추억 쩐다!)
  • ESC가 지금의 Num lock 자리에 있다.
  • 키패드에는 +가 지금의 엔터 자리에 있다. 그리고 / 는 키패드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다가 지금 키보드의 전신인 101키 키보드가 나오고, 국내에서는 역시 한영/한자가 추가돼서 103키가 되었다. Windows 95부터는 Win키가 그것도 좌우에 하나씩 2개나 추가되고, 또 컨텍스트 메뉴키가 더해져서 10키가 되었고, 이것이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그나저나 키보드의 연결 단자 자체도 DIN 내지 AT 단자부터 시작했다가 PS/2 단자를 거쳐 지금은 USB가 대세가 됐으니 이것도 격세지감이다.

저런 '정식 키보드'는 규격이 전부 통일되어 있는 반면, 기계마다 살짝 차이가 있어서 혼동을 주는 건 노트북 컴퓨터 키보드에서 키패드의 기능키들이 배당된 방식들이다. 특히 pg up/dn이나 home/end 같은 것.
그리고 노트북은 부족한 키의 기능을 보충하려다 보니 자체적인 fn 키도 있는데.. 일반 노트북의 경우 좌측 하단에 Ctrl fn win alt의 순으로 키가 있었던 반면, 맥북은 fn ctrl alt win으로 순서가 미묘하게 바뀌어 있어서 이것도 적응이 몹시 힘들었다.

Posted by 사무엘

2015/10/09 08:34 2015/10/09 08:34
, , ,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147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0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2635227
Today:
2025
Yesterday:
1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