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노래 해설

1. 강산도 빼어났다 배달의 나라 / 긴 역사 오랜 전통 지녀 온 겨레
거룩한 세종대왕 한글 펴시니 / 새 세상 밝혀 주는 해가 돋았네
한글은 우리의 자랑 문화의 터전 / 이 글로 이 나라의 힘을 기르자

2. 볼수록 아름다운 스물 넉 자는 그 속에 모든 이치 갖추어 있고
누구나 쉬 배우며 쓰기 편하니 세계의 글자 중에 으뜸이도다
한글은 우리의 자랑 민주의 근본 / 이 글로 이 나라의 힘을 기르자

3. 한 겨레 한 맘으로 한데 뭉치어 힘차게 일어나는 건설의 일꾼
바른 길 환한 길로 달려 나가자 / 희망이 앞에 있다 한글 나라에
한글은 우리 자랑 생활의 무기 / 이 글로 이 나라의 힘을 기르자

이 노래는 제목이 그냥 <한글 노래>이다.
즉, 한글날과 관계가 있다기보다는 한글 자체에 대한 찬가라는 점에서, 제헌절 노래나 삼일절 노래, 6· 25 노래 등과는 위상이 좀 다르다.

한글 노래는 언제 봐도, 눈물이 나올 정도로 참 감동적이다.
지난 2004년엔 본인, 가사를 손으로 필사한 적도 있다.

잘 알다시피, 이 노랫말을 지은 분은 외솔 최 현배 박사이다. 많고 많은 국어학자 중에 그분 정도로 한글을 진정 사랑한 분만이 ‘이 글로 이 나라의 힘을 기르자’ 수준의 역동적인 가사를 쓸 수 있었다고 본인은 생각한다.

1절은 한글 창제의 감격을 묘사했다.
외솔의 동지이자 조선어 학회 사건 당시의 fellowprisoner (롬 16:7, 골 4:10, 몬 23)이었던 석인 정 태진 선생이 1949년 <한글날을 맞이하여>라고 발표한 논설을 보면 비슷한 표현을 볼 수 있다.

“과연 그 날이야말로 우리 배달민족이 길고 긴 어두움에서 새로운 빛을 보던 날이었고, 그 날이야말로 과연 우리 민족이 오래오래 죽음의 길을 걷던 발길을 돌려서 영원의 삶의 길로 나아오던 바로 그 날이었던 것입니다.”

영생의 길.. 가히 종교적인 수준의 찬사인걸? (단, 너무 기쁨에 겨웠는지, 글 중엔 한글과 우리말을 그렇게 엄밀하게 구분하지 않은 표현도 좀 나오며, 60년이 지난 지금 다시 보기엔 다소 구태의연한 권면도 없지는 않음)
내 신앙관과 짬뽕을 하자면, 그야말로 성경에 나오는 의의 태양(말 4:2) 같은 심상이다.
주찬양 선교단 7집 <일어나라 빛을 발하라>의 2번 트랙 <빛>을 BGM으로 깔면 적절할 것 같다.

2절은 한글의 우수성이 묘사되어 있다.
외솔의 저서 <한글갈>에 있는 문장을 보면, 노래 가사는 저서의 요약이라는 걸 알 수 있다.

“한글은 그 짜임이 가장 과학스럽고 그 자형이 정연하고 아름다우며, 그 글자 수가 약소하고도 그 소리가 풍부하며, 그 학습이 쉽고도 그 응용이 광대하여 글자로서의 모든 이상적인 조건을 거의 다 갖추었다 할 만하니, 이 글자를 지어낸 세종대왕 한 사람 당대의 밝은 슬기가 능히 천고만인의 슬기를 초월하였다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래서 이 글자를 보는 이로 하여금 저절로 찬탄을 금치 못하게 하니 이는 고금이 다름없고 안팎이 한가지이다.”

한글을 ‘민주의 근본’이라고 칭한 것도 단어를 아무렇게나 선택한 게 아니다. 외솔의 평소 지론이 담겼다.
배우기 쉽고 편리한 글자로 문맹을 퇴치하고 국민들을 똑똑하게 만들어야만 민주주의도 실현된다는 그분의 철학은, 유고작인 <한글만 쓰기의 주장>을 읽어 보면 더욱 실감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 3절로 가자.
전통적인 기독교 찬송가를 보면, 앞부분은 예수님이나 크리스천의 삶에 대해서 노래하다가도 마지막 절은 재림, 천국, 내세 같은 거시적인 주제로 바뀌는 경우가 많다.
코레일의 사가 Oh Glory Korail도 보아라. 마지막 절은 한국 철도가 대륙을 넘어 세계로 뻗어간다고 스케일이 확 커지지 않던가. ㄲㄲㄲ

그런 맥락에서 한글 노래의 마지막 3절은, 한글을 통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김 동길 전 연세대 교수가 1980년대에 한글 문화권에 대해서 글을 썼듯이 말이다.

물론 21세기가 된 지금, 현실은 시궁창이다. 굉장히 시궁창이다.
외국어는 범람하고 국어 문법은 갈수록 잡-_-탕이 돼 간다.
그리고 미래가 안 보이는 경제 불황과 영적 배도와 타락, 그리고 막장으로 치닫는 사회 시스템 앞에서는... 한글이고 나발이고 답이 없다. -_-
나도 솔직히 육신적인 심정으로는 한글 문화권 나부랭이 따위를 바라느니(교리적으로 다분히 후천년주의적이기도 하다ㅋㅋㅋ), 차라리 하늘나라를 바라고 말겠다.

허나, 그래도 한국보다 더 못 사는 나라들로부터 이민자는 꾸준히 유입되고 있고,
생업을 위해서든 한류 열풍 때문이든, 오늘날은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도 비록 진짜 메이저급 언어의 학습자에 비할 바는 못 되더라도 은근히 ‘많다’.
신토불이니, “가장 한국적인 게 가장 세계적이다” 식의 구태의연한 드립을 동원하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중국과 일본에 끼인 우리나라가 우리만의 개성을 내세워서 세계에 얼굴을 내밀려면 미우나 고우나 한글을 들고 나가야 한다.

그리고 한글이 ‘생활의 무기’란다. 최 현배 박사는 공 병우 한글 세벌식 타자기의 가치를 알았고, 문자를 다루는 기술을 기계화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았던 사람이다. 그랬기 때문에 ‘무기’라는 단어를 썼다. 자, 이 정도로 풀이하니 한글 노래의 가사가 정말 외솔스럽다는 게 와 닿으시는지?

이 글로 이 나라의 힘을 기르기 위해서 주 시경 선생은 그 옛날에 불모지이던 국어학의 기초를 닦고 한글 맞춤법의 근간을 마련해 놓았다.
최 현배 박사를 비롯한 조선어 학회의 학자들은 언어학의 결정체인 국어사전을 만들었다.
공 병우 박사는 기계와 사람의 편의성을 기가 막히게 조화시킨(=C언어스러운?ㅋㅋ) 전대미문의 한글 타자기를 발명했다.
그리고 아래아한글을 만들어 낸 프로그래머들은 음..;;
아놔 다들 너무 천재들이다..;;

그 다음으로 본인은 지금까지 해 놓은 일이 그 ‘한글탑’ 위에다가 벽돌 한 장 정도 올려놓은 수준은 되려나..? ㅋㅋ
(연세 대학교 캠퍼스 안엔 연세 한글탑이 있다.)

9월 18일 철도의 날과 10월 9일 한글날은 딱 3주 간격이며, 둘은 같은 요일이다.
고로 올해는 철도의 날과 한글날이 모두 일요일이다.
이 사실을 발견하고는 본인, 무릎을 쳤다.
철도와 성경이 만나듯, 철도와 한글 쪽도 이렇게 만날 필요가 있다. ㅋㅋㅋㅋ

예전의 글에서 소개한 적이 있는 김 진우 교수님은 이번 학기에 연세대 국문과 학부에서 <언어학의 이해>를 강의하고 계시는데, 한글날 근처의 주엔 이례적으로 여타 단원을 건너뛰고 ‘문자의 발달사’ 단원을 강의하신다. 당연히 한글을 기리기 위해서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1/10/09 08:33 2011/10/09 08:33
, , , ,
Response
No Trackback , 7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582

Trackback URL : http://moogi.new21.org/tc/trackback/582

Comments List

  1. 소범준 2011/10/09 08:51 # M/D Reply Permalink

    1. <한글 노래>는 완전 <한글 사랑가>라고 불러도 되겠군요. ㄲㄲㄲ
    한글의 순수성과 아름다움을 역설하여 가사만 보더라도 가슴이 벅찬 노래 아아아~~~

    2. (논외로 벗어난 여담ㅋㅎ;) 연세대는 정말로 한글과 많은 관련이 있는 학굔것 같습니다.
    고등학교가 그 옆(이대 뒤껸)에 있던 터라 한두어 번 연대 교정을 들락날락 거려보면서
    외솔 박사의 흉상 같은 것도 볼 수 있었습니다만.

    3. 우리글이 억압받던 시절을 보면 정말 우리는 그 시절의 선조들에게 깊은 감사를 표함이 마땅할 것입니다.
    신앙빨로 짬밥(!)하자면 중세에 피흘리며 신앙과 바른 성경을 전수해 준 침례 선조들에게 감사를 표하는 것이나 다를 바 없겠지만요.

    1. 사무엘 2011/10/09 23:42 # M/D Permalink

      네, 그렇습니다. 연세대는 최 현배 박사 흉상, 외솔관, 연세 한글탑 등 이쪽으로 명물(?)이 많이 남아 있고, 조만간 이곳에 글로도 올리겠지만 자체 국어 사전을 편찬하고 언어 정보학 대학원 협동 과정을 개설해 있는 등 이쪽으로 남다른 관련이 있습니다. 이미 학교 구경을 해 보셨군요. ^^

  2. 특븩 2011/10/09 09:42 # M/D Reply Permalink

    1. 한글.. 개인적으로 과대한 순수주의 망상에 시달린 나머지, 일제에 우리 겨레에 맞게 한다고 조금 짜집기한 한글보다야 정음(14세기)을 선호합니다. 뭐 그 분들이 한 게 다 헛짓이라는 건 아니고요.

    결정적으로, 가사에서 스물 넉 자가 아닌 스물 여듧 자(정음 기준) 입니다. 이것 때문에 특븩은 한글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는 슬픈 전설이 있지요.. 하지만 난 전설따위 믿지 않아.. ㄱ.. ㄲ.. ㅋ.. ㆁ..

    ※블로그에 옛한글 특강을 쓸 예정입니다. ㆁ(옛이응)은 시범껨이었고, 다음은 ㆆ(여린히읗)입니다. 왜냐?
    사무엘님이 나에게 근성어투를 알려 주었기 때문에 그렇지(JO)? 근데 왜 ㆆ과 근성어투와 관련이 있는지는 그 포스팅을 올리고 나서 보는 게 옳을 것 같은데(JO)?

    2. 그러고 보니, 언제부터인가 메인 홈페이지에서 한글 관련 글들을 다 빼 버리셨더군요?
    날개셋-(한글)-철도-복음-성경 이런 구도였는데 말이죠.

    다시 복구해 주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참고할 게 있어서 말이죠. ㄲㄲㄲㄲㄲ)

    1. 사무엘 2011/10/09 23:44 # M/D Permalink

      오늘도 그야말로 네오 한글 체계를 만들려는 날카로운 매의 눈이 느껴지더군요.
      특강 기대하겠습니다.
      한글 관련 글들 중에 중요한 건 이곳 대문에서 "옛날 자료실"에 가 보면 여전히 상당수 남아 있습니다.

      아, 그러고 보니 형제, 그럼 이곳을 2009년과 그 이전부터 알고 있었다는 얘긴가요? 초등학교 시절부터?

    2. 특백 2011/10/10 12:23 # M/D Permalink

      2009년이요?
      분명히 올해 5월이었나? 그때쯤이었나 까지는 있었는데 언제였는진 모르겠는데 선생님이 홈페이지를 약간 수정하셨어요. 바로 그때 메인 페이지에서 한글 이야기가 사라졌는데.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전 올해 1월 타자 벼락+_+을 맞고 세벌식을 찾다가 사무엘님의 존재를 알게 된 겁니다..

    3. 사무엘 2011/10/10 17:42 # M/D Permalink

      아... 몇몇 옛날에 썼던 글들이 지금은 유효성이 떨어진 것 같아서 그걸 홈페이지에서 내리긴 했습니다. ㄲㄲㄲ
      사실, 2010년에 홈페이지 시즌 4를 개설하면서 잉여스러운 글들 정리를 많이 하기도 했지요.
      특백 님은 제 홈페이지 서열로는 정말 파릇파릇한 2011년 군번이군요. ㅋㅋㅋㅋ

    4. 소범준 2011/10/10 18:45 # M/D Permalink

      ㄲㄲㄲ 2011년 군번으로는 저도 있다는 것을..... 잊지 마시길...ㅎㅎ;;

Leave a comment
« Previous : 1 : ... 1703 : 1704 : 1705 : 1706 : 1707 : 1708 : 1709 : 1710 : 1711 : ... 2204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987360
Today:
397
Yesterday:
2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