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옛날 자동차와 컴퓨터의 성능 수동 조절 버튼
요즘으로서는 실감이 안 가지만 30여 년 전 엄청 옛날 1990년대에 286이나 386급 컴퓨터에는 자신의 클럭 속도를 저/고로 조절하는 버튼이 본체에 있었다. 일명 '터보' 버튼..
그래서 컴퓨터 본체에 달린 버튼이 전원, 리셋, 터보.. 요렇게 3개였다.
(아 맞다, 그러고 보니 옛날 컴터는 본체에 저렇게 현재의 클럭 속도가 숫자로 표시되어 나오기도 했고,
하드디스크 동작 램프도 저렇게 있었다.. 완전 까먹고 있었다!! ㄲㄲㄲㄲㄲ 하드 동작 램프는 SSD 시대가 되면서 완전히 구시대 유물로 전락한 듯하다.)
단, 터보에 대해서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는데..
터보를 켰을 때 컴터가 무슨 애프터버너.. 아니, 오버클럭 모드로 진입해서 평소보다 더 빠르게 동작하는 게 아니었다. 정반대..
터보를 끄면 리미터가 걸려서 제 성능보다 느리게 돌아가고, 터보를 켰을 때 원래 속도대로 동작했다.
그리고 이런 저속 모드가 존재했던 이유는 무슨 발열이나 전력 소모 같은 이유 때문이 "아니었다". 느린 컴터를 기준으로 돌아가는 기존 프로그램과의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였다.
일례로, 프레임 수 조절을 정교하게 안 하는 일부 옛날 게임은 클럭이 빠른 컴퓨터에서는 너무 빠르게 돌아갈 수 있었다. 매번 현재 시각을 측정하면서 컴터 클럭과 무관하게 프레임 수 조절을 정교하게 하는 것도 "1클럭이 아까운 CPU 자원을 소모하는 번거로운 '일' "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 작업을 생략했던 것이다.;;
겨우 이런 호환성 유지를 위해 꼴랑 16MHz짜리 286 컴퓨터를 도로 8이나 12MHz 클럭으로 동작하게 하고, 56MHz짜리 386 컴퓨터를 33MHz로 너프 시켰다니.. 옛날은 참 암울하던 시절이었다.
그에 비해 요즘은 노트북 컴퓨터가 배터리만으로 동작할 때 화면 밝기와 CPU 속도를 살짝 낮추는 옵션이 있는 정도이다. 절전을 위해서..
요즘 자동차가 연비를 굉장히 신경 써서 만들어지는 것만큼이나 요즘 컴퓨터는 고성능에다 전력 소모와 발열을 굉장히 신경 써서 만들어진다.
하긴, 486은 아키텍처야 386과 동일하지만 그래도 캐시 메모리라는 게 처음으로 도입되고 부동소수점 코프로세서가(80387) 옵션 액세서리가 아니라 완전히 포함돼 들어갔고, 저런 터보 나부랭이도 완전히 없어졌다. 아마 냉각팬도 이때쯤 들어갔나?
생각해 보니 단순히 클럭만 빨라진 게 아니었고 386 대비 바뀐 게 생각보다 많았다.
이렇듯.. 옛날 컴퓨터에 터보 버튼이 있었다면, 동시기의 자동 변속기 초창기 차량에는 파워/이코노미, 오버드라이브 따위의 버튼들이 있었다.
이때는 자동 변속기가 꼴랑 4단까지밖에 지원되지 않았고, 변속 알고리즘이 지금만치 똑똑하고 효율적이지 못했다. 킥다운이나 락업 클러치, 스포츠 모드 같은 기능의 구현도 미숙했다.
그래서 이때는 파워 버튼을 눌러서 차가 평소보다 높은 rpm까지 저단을 더 오래 유지하다가 고단으로 넘어가라고 동작 방식을 강제로 바꿀 수 있었다. 당연히.. 앞차를 추월할 때, 노란불 켜진 교차로를 필사적으로 통과해야 할 때 등, 수동 몰듯이 저단에서 일부러 확 밟아야 할 때 쓰는 용도였다.
옛날 자동차, 옛날 컴퓨터에만 있었던 추억의 '모드 전환' 버튼이 문득 떠올라서 회상을 늘어놓아 보았다.
2. 쌍팔년도 PC의 그래픽 카드
- IBM에서는 CGA (320*200 4색), EGA (640*350 16색), VGA (640*480 16색, 320*200 256색)의 순으로 표준 그래픽 카드를 내놓았다.
그러나 한글· 한자 때문에 글자 높이가 최하 16픽셀급이 돼야 하는 한중일에서는 모노크롬 허큘리스 다음으로 곧장 컬러 VGA로 갈아탔다. 허큘리스는 3rd파티 싸제 규격이었다.
- 하긴, 8비트 컴퓨터는 비디오 쪽 성능이 많이 딸려서 저런 고해상도 그래픽을 표현하기가 난감했다. 우리나라에서 국가 차원에서 컴퓨터들을 교통정리를 할 때 8비트를 일찌감치 배제하고 최하 16비트부터 선택한 이유도 이 때문이었다.
16비트가 지금까지 사용되는 PC의 외형 근간을 완성했다면, 32비트는 넉넉한 주소 공간과 보호 모드 지원 덕분에 멀티태스킹/멀티스레딩/가상 메모리를 최초로 구현 가능하게 했다. 64비트는 32비트 구조에서 4G 한계만 극복한 것이고..
- CGA EGA VGA 하면 개인적으로 늘 같이 떠오르는 게.. 레코드의 규격 SP EP LP이다..;;;
- 각 그래픽 카드별로 뭔가 비공식 변조 모드가 있었다.
CGA는 해상도를 무려 160*100이라는 극악으로 떨어뜨린 16색 그래픽 모드를 지원했는가 보다.
VGA는.. mode X라고 해서 320*240, 400*300 같은 해상도를 지원했다. 마이클 압래시라는 사람이 이런 걸 발견하고, 도스용 퀘이크에서 이걸 적용해서 많이 알려졌다.
- VGA는 그 이전의 CGA,EGA와 달리..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단자가 D-sub라고 원래 아날로그 기반이었다. 그 시절의 기술로 그 해상도와 색상, 주사 횟수를 구현하려다 보니 디지털로는 버거움을 느꼈던 것 같다. 하지만 후대에는 DVI나 HDMI 단자가 등장하면서 다시 디지털로 돌아왔다.
그 시절에 주류였던 두툼한 브라운관 모니터도 아날로그 신호와 더 친했지 싶다. 브라운관은 아무 해상도에나 픽셀 뭉개짐 없이 유동적으로 대응 가능한 유일한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 각 그래픽 모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흉내 내어 주는 램 상주 프로그램이 있었다. simcga라든가, msherc 따위.. 단, simvga는 공식 프로그램이 아니라 낚시 악성코드였다.;;
- 1988년에 출시됐던 Splash! (Spinnaker software)라는 그래픽 에디터는 최신 VGA 저해상도 256색 그래픽을 채용한 거의 초창기 프로그램이었다. VGA는 1987년에 출시됐고, 그때는 아주 값비싼 최신식 그래픽 카드였으니까..
참고로 87~88년이면.. C++을 C로 전처리 거치지 않고 직통으로 번역하는 컴파일러가 업계 선구자에 의해 거의 최초로 등장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업계에서는 C++은 아직 듣보잡이었으며, C와 어셈블리가 당연시됐었다.
- 퀵베이식에서는 SCREEN 13 한 줄만으로 VGA 256색 모드로 바로 진입 가능한 반면, 그 당시 볼랜드의 개발툴(Turbo C/Pascal)이나 파워베이식은 그 당시 게임 프로그래밍에서 필수였던 이 mode 13h에 대한 지원이 유난히 인색했다. 그 이유를 난 아직도 모르겠다.
- 이 VGA 이후로 800*600 16색이라든가, 640*480 256색, 1024*768, 심지어 트루컬러 같은 발전된 모드는 IBM에서 더 중재를 하지 않고 업계 재량으로 넘어갔다. 사실, IBM은 XT/AT 이후에 80386부터는 표준 PC에도 더 관여하지 않고 손을 놨고, 운영체제 역시 OS/2가 Windows에 밀리면서 PC 시장과는 점차 인연이 멀어지게 됐다.
3. 전통적인 컴퓨터의 명가
- 크레이: 슈퍼컴
- IBM: 메인프레임
- 썬: 워크스테이션??
- HP: 서버
이들과 달리, PC는 뭔가 독보적으로 접수하고 있는 업체가 없다. 마소와 인텔?? 얘들은 물론 컴퓨터 완제품이 아니라 CPU와 운영체제 제조사이니 위의 예들과는 성격이 좀 다르다. 이제는 슈퍼컴이나 워크스테이션 같은 컴퓨터의 영역이 PC에 많이 흡수되기도 했고..
4. 하드웨어의 발전
(1) 마우스 포인터: 그림이 계속 그려지고 있는 곳에 마우스 포인터를 가져가도 포인터가 깜빡거리지 않게 됐다.
이건 뭐 30년 전 Windows 3.x 시절부터도 비디오 드라이버를 적절하게 잡으면 실현됐던 사항이다. 그 시절의 그래픽 카드도 마우스 포인터 정도의 스프라이트를 하드웨어 차원에서 직통 처리하는 기능은 제공했기 때문이다.
Windows 2000부터는 그래픽 카드를 잡지 않은 VGA 16색 안전 모드에서도 마우스 포인터가 깜빡거리지 않기 시작했다. 9x는 그렇지 않았다.
(2) 사운드: Windows 98쯤부터 여러 프로그램에서 사운드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게 됐다. 그 전에는 정말 믿어지지 않지만 사운드도 무슨 파일처럼 한 프로그램에서 열면 다른 프로그램에서 접근할 수 없는 리소스였다.;; 멀티웨이브 믹싱이 지원되지 않았던 것이다.
(3) 화면: print screen 키를 눌러서 동영상 재생 화면도 캡처가 가능해졌고, 일반 그래픽과 아무 차이가 없어졌다. 이건 나름 Windows Vista에서부터 실현된 기술 발전이다.
Posted by 사무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