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왜 시발이었을까

이 블로그에서 몇 번 다룬 적도 있었던 우리나라 최초의 자국 생산 자동차 '시발'을 생각해 보자.
아무리 좋은 뜻을 담았다고 해도 그렇지, 자동차 이름을 왜 비속어가 연상되는 '시발'이라고 지었을까 지금 우리로서는 궁금증이 들 것이다. 마치 극악의 저출산 때문에 고민인 지금의 관점으로는 과거에 정반대로 "아들 딸 구분 말고 둘만 낳아 잘 키우자" 구호가 나오던 배경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것과도 비슷하다.

저 시절을 직접 겪은 옛날 분의 증언에 따르면.. 시발 자동차가 다니던 195, 60년대에도 한국어에 C-bal이라는 욕설 자체는 멀쩡히 존재했었다고 한다.
하지만 옛날의 언어 습관은 여러 정황상 말소리보다 한자 뜻을 훨씬 더 중요하게 따졌던 것 같다. 始發이라는.. 요즘으로 치면 '오리진, 제네시스'나 마찬가지인 좋은 뜻만 가졌으면 됐지, 굳이 "C-bal이 연상되는데?"라고 문제를 제기하는 것 자체가 마치 성에 대한 금기만큼이나 금기시됐던 것 같다. 천한 욕설은 공식적으로는 한국어에 존재하는 걸로 간주되지도 않는 어휘였다.

물론 공개 석상 말고 사석에서는 그런 고매하신 선비질 따위 없었다. 그러니 비단 시발 자동차 말고도, 한자로 뜻은 괜찮지만 소리가 이상해서 어린 시절에 흑역사급 별명을 달고 다녔던 사람이 많았다. 인명 외의 분야를 봐도 야동 초등학교도 있었고, 죽음(대나무 그늘) 마을도 있었다.

야동 초등학교의 경우, 인터넷으로 유명세를 타는 바람에 개명을 해 버린.... 줄 알았으나 그렇지 않고(단, 시골에 학생 수가 너무 적어져서 폐교 위기라고 함)... 후자의 경우 본인이 아주 어리던 시절에 TV를 통해서 봤는데, 노인들이 시골길에서 차에 치여 세상 하직하는 일이 잦아지자 불길하다면서 뒤늦게 개명했다.
(아 그러고 보니 야동 초등학교야.. 학교 이름을 짓던 시절에는 야동이라는 것 자체가 지금처럼 존재하지 않았을 테니 C-bal과는 상황이 좀 다르긴 하다.. ^^)

생각을 해 보라. '죽음'(竹陰)은 멀쩡하게 지명으로 썼으면서, 순우리말과 아무 관계 없는 한자 (중국어)와 소리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다른 멀쩡한 숫자 4는 훨씬 더 적극적으로 기피했던 것이 한국의 언어 문화였다.
개인적으로 이게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말과 소리가 먼저이고 그 다음이 문자이지, 말이 문자에 끌려가서 꼭 뭘 봐야만 뜻이 통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언어 현상이 아니다.

한글로만 쓰니까 뜻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네 하는 면모가 분명 있을 것이다. 하지만 뒤집어 생각하자면 말이 그 따위로 돼 버린 게 문제가 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서유럽· 미국 같은 나라는 표음문자 알파벳만 갖고도 넘사벽 급의 학문이고 사상이고 철학이고 과학 기술을 이룩했지 않은가?

본인 역시 그런 맥락에서 20년 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없는 한글 전용 지지 소신이다.
물론 지금은 그렇게 옥편 뒤지면서 듣보잡 벽자를 찾아내서 이 소리는 이런 뜻이라고 갖다붙이는 짓 대신, 온통 영어 외래어를 갖다붙이는 게 유행이 돼 있다. 어느 게 절대적으로 더 바람직한 현상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후자가 차라리 전자보다는 더 나은 것 같다. 듣는 것만으로 뜻이 변별은 되니까 말이다..

2. and는 접속부사인가

그럼 다음으로 잠시 한국어와 영어를 좀 비교해 보겠다.
한국어에는 체언을 잇는 '과/와' 접속조사, 용언(=구, 절 모두)을 잇는 '며/고' 연결어미, 그리고 문장을 잇는 접속부사(그리고)가 전부 따로 논다. 그러나 영어는 전부 간단하게 접속사 and 하나로 끝이다.

그런데 전통적으로 and는 접속부사로 취급되지 않았는가 보다. but, then, however, moreover, meanwhile 등은 명백히 영어의 접속부사이지만 and는 X and Y로만 쓰는 것을 정석으로 쳤던 듯하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치면 말 그대로 이항 연산자. ㄲㄲㄲ and는 or과 같은 급이지, but과 호응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먼 옛날에 MS Word의 스펠링+문법 검사기도 문장을 And로 시작하면 틀렸다고 지적하던 게 내 10대 시절 기억으로 남아 있다. 그 대신 "콤마+소문자 and"로 문장을 길게 이어야 했다. 왜 반드시 저래야만 하는지를 본인은 그 당시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갔다. 성경만 해도 And로 시작하는 문장이 부지기수이고, 특히 옛날 고전 텍스트인 KJV는 훨씬 더 많이 쓰였다. And 금기가 왜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글쎄, 이런 게 아닐까? 원래 '보다'는 조사이기 때문에 "A보다 B가 더 낫다" 형태로만 쓰는 게 맞는데.. 요즘은 그게 부사처럼 쓰여서 건방지게 앞에 나오는 경우가 많다.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하여"

옛날에 우리말 바로 쓰기 운동하던 분들이 저건 잘못됐다고 번역투와 더불어서 왕창 지적했었다.
나도 굳이 '더'가 멀쩡히 있는데 '보다'를 일부러 바꿔서 쓸 필요는 느끼지 않기 때문에 자제하고 지낸다.
대문자 And가 한국어로 치면 저런 느낌이 들지 않을까 생각이 문득 든다.

한편, 뉴스 앵커 멘트에서 종종 쓰이듯이 "김 씨는 그러나 사실을 부인했습니다"처럼 접속부사가 문장 맨 앞이 아니라 주어와 도치(?)되는 것도 문법에 어긋난다고 얘기가 많다.
나 역시 어감상 어색해서 개인적으로는 저렇게 안 쓴다. 하지만 저걸 비문으로까지 간주하는 건.. 좀 문법 나치스러운 발상 같다. 영어로도 Mr Kim, however, denied the fact 처럼 콤마와 함께 접속부사를 중간에 잘만 집어넣는걸...

3. 동작상(動作相)

언어에는 제각기 동작상에 대한 관점의 차이가 있어서 한국어로는 ‘죽었다’ 하나뿐이지만 영어로는 you died와 you are dead가 더 세분화돼 있다. (그리고 보통 전자보다는 후자로 번역되는 일이 더 많음)

‘죽다/죽었다’뿐만 아니라 한국어의 용언 중에는 ‘맞다’처럼 동사인지 형용사인지 굉장히 헷갈리고 동사 과거 시제가 사실상 현재 시제의 형용사처럼 돼 버린 물건이 좀 있다.
‘미치다’, ‘틀리다’도 생각해 보자. You are crazy/wrong이 “너 미쳤다/틀렸다”이지 않은가? “미친다/틀린다”는 동작상이 꼬여서 용례가 겉돌고 있으며, 그 와중에 ‘틀리다’는 ‘다르다’의 영역을 야금야금 침범하는 중이다. 총체적인 무질서인 것 같다.

여담이지만 영어 have는 동명사 내지 현재진행형인 having이 존재한다. 하지만 단순히 ‘가지다, 소유하다, 내게 있다’라는 1차 의미일 때는 현재진행형 시제를 사용할 수 없다는 독특한 규칙을 초등학교 영어 수준에서 배우게 된다. have가 현재진행형인 것은 좋은 시간을 보낸다거나 경험하는 등, 2차 파생 의미일 때에만 가능하다.

이런 것도 동작상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용례 차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원래 원칙은 저렇지만 관계대명사 앞에서는 "~를 가진"이라는 뜻으로도 is having에서 is가 생략된 꼴이 잘만 쓰인다.;;;.

4.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난해함

  • -ㄹ수록: 의존명사 '수'(할 수 있다)를 떠올려서 그런지 '그럴 수록'처럼 띄어 쓰는 경우가 주변에서 많이 보인다. '-수록'은 뭐 다른 형태로 활용되는 게 전무하며 그 자체로 연결어미로 분류된다. 그러므로 붙이는 게 맞다. '그럴수록'
  • -ㄹ지: 역시 어미인데.. 문제는 얘는 좀 명사화 접사처럼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할지 말지를 결정한다, 할지 말지가 문제이다). 그래서 사람들이 역시 '지'를 의존명사처럼 인지하고 띄어 쓰려는 경향이 있다. 진짜 의존명사인 '줄'도 같이 떠올리는 것 같다. (너 그럴 줄은 몰랐다)
  • -ㄹ까 봐: 얘는 '할까 보다'라고 분할이 가능하기 때문에 '봐' 앞을 띄운다. "네가 사고라도 당할까 봐 두려웠다" 그래도 다른 띄어쓰기에 비해서는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덜한 띄어쓰기에 가깝다.
  • - 왜냐하면: 단독으로 부사이다. '왜냐 하면'이라고 띄울 필요가 없다.
  • - 못하다: "저는 그 일을 못 합니다" / "그렇게 되지는 못합니다"
    '못'은 부사이고 '못하다'는 동사, 형용사, 보조용언이 다 되는 정신나간(?) 단어이다.

영어 정서법에 비해 우리말의 한글 맞춤법이 더럽게 복잡하고 띄어쓰기가 어려운 건 모든 사람들이 공감하는 현실이다. 왜 그럴까? 이를 원론적으로 따져보면 이렇다.

일단 (1-1) 한국어가 언어 구조적으로 어미 접사가 어간 뒤에 덕지덕지 복잡하게 붙는 걸 좋아하는 교착어이고 애매한 품사통용어가 많기 때문이다.
이 한 글자짜리 형태소를 접사나 어근이라고 보면 붙이고, 고유한 부사나 명사라고 보면 띄운다. 그런데 그 기준과 경계가 엿장수 마음대로가 되기 십상이다..;;.

가령, 본인은 내 개인 블로그 한정으로 성과 이름도 띄어 쓰고 어지간한 사람들보다 띄어쓰기를 더 하면 더 하지 결코 덜 하지는 않지만.. '전세계'에서 '전'과 '세계'를 띄어야 하는 건 개인적으로 좀 납득이 안 된다. 全 정도면 그냥 접두사로 보거나, 쟤만이라도 거의 한 단어로 굳은 것을 인정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1-2) 게다가 띄어쓰기 말고 사이시옷도 말이다. 왜 '물고기'는 '꼬기'이고 '불고기'는 '고기'인가,
'볶음밥'은 '밥'이고 '비빔밥'은 '빱'인가,
그럼 '김밥'은 밥인가 빱인가 이런 거는.. 정말 랜덤이고 개연성이 없다. 규칙을 찾을 수 없다. 한국어가 원래 그런 언어다.

그리고 (2-1) 문자 차원에서는 역설적으로 모아쓰기 때문이다.
글자가 단독으로도 적당히 음절 경계 변별이 뛰어나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띄어쓰기를 안 해도 알아보는 데 지장이 없다. 그런데 그렇다고 띄어쓰기를 전혀 안 할 수는 없다.
그러니 한 단어로 붙여 쓰는 예외를 정하는 게 난감하고 띄어쓰기 규칙이 복잡해지는 것이다.

(2-2) 사이시옷은 말부터가 제멋대로인데 그건 음절 단위로 딱딱 떨어지지 않는 초분별 요소에 속하며 한글이라는 체계 하에서 표현하기가 몹시 난감하다. 사이시옷 규정이 캐 더럽고 구린 이유가 이 때문이다. 한자어의 경우 "숫자 횟수 곳간" 등의 몇 개만 예외로 인정하고 나머지는 그냥 표기하지 않기로 정해 버렸다.

알파벳 같은 풀어쓰기형 문자를 썼으면 띄어쓰기는 약간이나마 더 쉬워졌을 수 있다. 체언과 조사도 띄우고 좀 헷갈린다 싶은 건 몽땅 띄우고, 좀 아쉬운 건 하이픈으로 연결하고.. 사이시옷이나 축약은 ' 점 하나 찍어서 해결해 버리면 된다.

다시 말해 모아쓴 한글의 덩어리 단위가 '초분절적 변별요소'까지 포함한 한국어의 형태소· 음운 단위보다 크기 때문에 이 모든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한글의 큰 장점인 동시에 그로 인해 얻는 부작용인 셈인데, 쉽지 않은 문제이다.

여담이지만, 영어권에서는 심지어 숫자와 단위 사이도 꼬박꼬박 띄운다. 100MB, 50kg라고 안 하고, 우리로서는 어색하게 느껴지겠지만 100 MB, 50 kg라고 쓴다는 것이다.
숫자와 알파벳 이렇게 문자의 종류가 달라지기 때문에 붙여도 전혀 모호하지 않을 것 같은데, 이는 단어와 띄어쓰기에 대한 인식이 서양 언어 문화권과 동양의 그것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0/12/08 08:35 2020/12/08 08:35
,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828

only에 대한 생각

한국어에는 '단 하나뿐인 / 유일한'이라는 말이 있고, 영어에도 only one이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수학이나 논리학 같은 데서는 one과 only를 더 엄밀하게 구분해서 표현해야 할 때도 있다. 둘은 서로 독립된 별개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는 표현도 only one이 아니라 one and only가 된다. one은 이때 명사/대명사가 아니라 형용사임을 주의할 것.

only라는 속성을 지닌 유니크한 개체라고 해서 반드시 단수 형태여야 할 필요가 없다. 복수이고 집단이지만 우주를 통틀어 그 물건이 이것밖에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은 상황도 생기는 법이다.
이럴 때 영어는 the only 복수형 명사가 자연스럽게 붙는다. 그러나 only의 한국어 번역인 '유일한'에는 일(一)이라는 글자가 들어가 버려서 그냥 only가 아니라 one and only라는 의미가 추가된다. 그래서 의미의 범위가 더 좁아진다.

이건 마치 "one of the ...-est(최상급) 복수형 명사"가 의미상 잘못됐다는 관점과도 비슷해 보인다. "1등이라면 하나뿐이지 웬 '가장 뛰어난 물건들 중 하나'.. 이딴 식이냐"라는 식으로 트집을 잡을 수 있다.
하지만 좁게는 공동 1위도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저런 표현은 단순히 가상의 등급 하에서 최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학력고사 전국 수석이 아니라 그냥 수능 1등급을 가리킨다는 것이다.

하물며 only는 이것 말고 다른 건 없다는 뜻이므로 등수도 아니고.. 얼마든지 복수가 존재할 수 있다.
그렇다고 유이한 존재, 유삼한 예외, 이렇게 얼치기로 말을 만들 수는 없으니, '유일'은 글자 단위로 쪼개서 생각하지 말고 one을 배제한 only라는 의미만 생각해서 통용해야 할 것 같다.

'이름'이 full name과 first name이라는 중의성을 지니듯, '유일'은 only와 one and only의 뜻을 모두 지닌다는 것이다. 얼치기 같지만 이런 식의 다의 중의성은 영단어에도 얼마든지 존재한다. man (남자 vs 사람)이나 day (낮 vs 날)처럼 말이다.
한국어에서 one and only를 꼭 강조하려면 앞에 '단일'을 추가해서 '단일 유일'이라고 표현하면 되지 않을까?

성경에서 요 3:16 '독생자'가 영어로 어떻게 표현돼 있는지 생각해 보자. 하나이면서 또 다른 아들이 없음을 나타내야 하니 only begotten Son 내지 one and only Son이다.
일반적으로는 only son이라고만 해도 외아들이라는 뜻이 통하지만, one and only는 그걸 더 강조해 준다. begotten은 하나님으로부터 직통으로 났다는 의미를 강조한다는 차이가 있다.
(영어는 씨를 준 아버지의 관점에서 누구를 낳은 건 beget이라고 표현하며, 씨를 받아서 아이를 실제로 출산한 어머니의 관점에서 낳은 것은 bare이라고 표현한다는 점 역시 생각할 사항..)

only와 관련하여 one 다음으로 살펴볼 단어는 if이다.
if A then B는 "A이면 B이다"라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매우 즐겨 등장하는 문장 구조이다. only if는 "A여야만, A일 때만" 정도와 대응한다. 둘의 차이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수학의 집합과 명제 시간에 다들 배우게 된다.

  • A^2=1 if A=1 (A=1이라면 A^2의 값이야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이 무조건 1임. 하지만 A^2를 만족시키는 값 자체는 1 말고도 더 있음. 충분조건)
  • A=1 only if A^2=1 (A^2=1이라고 해서 100% 반드시 A=1이라는 보장은 없지만, 최소한 A^2의 값이 1이 아니라면 A가 1일 가능성은 전혀 절대 존재하지 않는다. 필요조건)

그러므로.. 둘은 관점이 서로 다르다.

  • A=1은 A^2=1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A^2=1에 대한 정밀도가 100%이다.
  • A^2=1은 A=1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A=1에 대한 재현율이 100%이다.

이런 식의 포함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계약서 같은 법적 문서엔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를 하나 제시하지만 A만 맞다는 건 아니며, 다른 가능성도 있음) 라는 조건 문구가 즐겨 등장하는 것이다.
"A^2=1을 만족시키는 수를 하나 찾아 준다고 했지, 이것밖에 없다고 말했거나 전부 찾아 준다고 말한 적은 없습니다~ 나는 거짓말 안 했어요" 이런 식의 면피를 위해서이다.

if와 only if를 합쳐서 if and only if (iff)가 돼야만 두 명제가 완전히 필요충분 동치가 된다.

  • 정사각행렬 A는 판별식 값이 0이 아니다. if and only if Ax = O을 만족하는 열벡터 x가 trivial solution밖에 없다.

이런 식으로 말이다.
그런데 iff는 우리말로는 어떻게 표현해야 좋을까? "-이고 -이어야만 / -이고야만" 본격적으로 우리말로 학문을 하려면 뭐 이런 식으로 짤막하게 말을 만들어야 할 것 같다.

이상이다.
어떤 사물이나 조건이 있는데 그게 여러 개체들 중의 한 인스턴스(!!)일 뿐인지, 아니면 이것밖에 없는 유일한 개체인지를 따지는 것은 언어의 저변 사상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꽤 크다. 0이냐 1이냐, 아니면 다수이냐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어에는 정관사와 부정관사가 있고 단수와 복수도 깐깐하게 따진다. 한국어는 그런 관념은 딱히 없지만 '-가', '-는', '-만', '-도' 같은 조사들이 세밀하게 발달해 있으며, 생물이냐 무생물이냐 여부를 영어보다 더 따지는 편이다.

한국어는 용언과 부사가 발달해서 no(없음)라든가 more(더 이어지는, 더 있는) 같은 개념이 관형어로 딱히 존재하지 않는 반면, '없다', '모르다' 같은 건 의외로 한 단어로 깔끔하게 존재한다.

only에 대해서도 이렇게 생각할 것들이 있다는 게 이 글의 요지이다. '유일' 말고는 의존명사 겸 조사인 '뿐', 부사 '오직', 그리고 관형사 '단' 따위로 나뉘어 번역되는데.. '단'은 사실상 숫자 앞에서만 붙기 때문에 제약이 큰 편이다(단 두 개..). "단, 조건이 있다" 같은 접속사하고 헷갈리지 말 것.

Posted by 사무엘

2020/11/12 08:35 2020/11/12 08:35
, ,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818

한국어의 오묘한 면모

1. 청자를 배제한 1인칭 또는 2인칭

언어 의사소통이라는 게 기본적으로 화자와 청자 사이에서 이뤄지는 것이다 보니, 인칭대명사도 나와 너, 1인칭과 2인칭은 좀 특별하게 취급된다. I나 You가 아닌 다른 모든 사람은 제3자, 말 그대로 3인칭이 되며, 영어에서는 3인칭 단수에 대해 현재 시제 동사는 뒤에 -s가 붙기도 한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1인칭이나 2인칭이지만, "청자를 배제"하는 효과를 내는 대명사 내지 동사 굴절(활용??)이 존재하면 도움이 될 때가 있다. 이런 건 아무래도 주어 생략 눈치 100단과 높임법이 존재하는 한국어가 영어보다 더 발달해 있다.

대표적인 예는 '우리'와 '저희'이다. 1인칭은 복수형이 되면 나뿐만 아니라 주변의 다른 사람까지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저희'는 '우리'와 달리 (1) 화자를 청자보다 낮출 뿐만 아니라 (2) 화자가 속한 집단과 청자는 서로 관계가 없는 별개라고 선을 긋는다.

이런 구분이 영어 we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언어학자에 따라서는 이건 가히 제4인칭이라고 보기도 한다. "저희나라는 틀린 말이니 우리나라라고 써야 한다??" 같은 성토가 존재할 수 있는 언어 자체가 한국어 말고는 거의 없을 것이다.

2인칭의 경우 화자에게는 you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가깝고 친근한 사람이지만 그렇다고 그 you가 청자를 의미하지는 않는 경우가 얼마든지 있다. 그래서 한국어는 '당신'이 웃어른에 대한 사실상 3인칭 높임말인데..
이게 2인칭일 때는 그다지 높이는 의도가 없고 낮잡아 부르는 말이라는 게 참 웃기는 짬뽕 같다. "당신이 뭔데 참견이야?"처럼.. 같은 단어가 2인칭과 3인칭을 오락가락 하는 건 한편으로 독일어의 Sie와 sie를 보는 것 같기도 하다.

CCM 가사에서 "당신은 평강의 왕"과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에서 '당신'이 가리키는 대상이 서로 완전히 다르다는 것은 결국 통사가 아닌 화용 계층으로 가야만 분별할 수 있다.
뭐, 영어는 인칭 호칭이 한국어보다 훨씬 더 간결하니 하나님까지 you라고 서슴없이 가리키는 언어이다. 그나마 문자로 표기할 때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써 주는 게 고작이다.

그리고 끝으로.. 한국어는 어휘 차원에서 청자 들으라고 하는 말이 아닌 '혼잣말'이 구분되는 굉장히 독특한 언어라고 한다. "그게 뭐였더라?"와 "그게 뭐였냐/뭐였니?"의 차이를 생각해 보자.
둘 다 똑같이 의문문이고 굳이 따지면 전자도 문맥에 따라서는 남에게 답을 듣고 싶을 때 쓸 수 있는 말이다. 하지만 골똘이 생각하면서 청자를 응시하지 않고 혼잣말로 중얼거릴 때 후자처럼 말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국어에는 이런 세밀한 문법적 기능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어떤 언어로든지 청자를 배제하는 1/2인칭, 높임법이나 성별에 구애받지 않고 단· 복수만 구분하는 간편한 대명사가 존재한다면 불필요한 오해를 줄일 수 있고 좋을 것 같다. 우리말 성경이 하나님이나 윗사람을 가리키는 2인칭 대명사를 '너, 그대'라고 번역하지를 못해서 몽땅 '주, 왕' 등으로 3인칭화하는 것은 상당히 불편하게 느껴지며 의미 왜곡까지 발생할 여지가 있는데.. 참 난감한 문제이다.

2. 용언들

한국어에서 활용되거나 접사가 붙는 양상이 좀 이상하게 꼬이고 있는 대표적인 용언을 몇 가지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뭐, 수 년 전에 이미 언급한 적이 있는 식상한 아이템도 포함해서 말이다.

(1) 바라다
개인적으로 ‘바랐는데’까지는 원리원칙대로 쓰지만, '바라요', '바람'(명사화된 형태)는 도저히 입에 익지 않아서 불가피하게 ‘바램’과 '바래요'가 튀어나온다. wind 바람과 구분하려는 심리도 있고, 또 ‘자라다, 발하다’ 같은 유사 형태의 다른 용언들은 그런 파생 명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교도 된다. 쉽지 않은 문제이다.
‘바라다’는 “-(시)기 바랍니다”라는 형태로.. 평서문(통사)을 가장한 사실상의 정중한 명령문(화용)으로 쓰이고 있다. “-(시)면 고맙겠습니다/감사하겠습니다”는 명령에서 한 단계 내려가서 화용론상의 청유, 부탁에 가깝고 말이다.

(2) 날다
‘나는’이라고만 쓰면 체언+조사 형태와 구분이 안 되니 틀린 줄 알면서도 자꾸 ‘날으는’이라는 대체제가 쓰인다. 아니면 ‘하늘 나는’ 내지 ‘비행하는’이라고 말을 바꿔서 혼동을 줄여야 한다. UFO를 ‘미확인 비행 물체’라는 한자어 말고 순우리말로 도대체 어떻게 깔끔하게 설명할 것인가?

(3) 맞다
동사와 형용사의 경계가 완전히 난장판이다. 원래는 동사이지만 ‘알맞다, 걸맞다’ 같은 비슷한 형용사들이 용법에 영향을 주는 게 틀림없다.
그리고 반의어인 ‘틀리다’는 잘 알다시피 현재 과거 시제 경계가 완전 난장판이다. 이게 ‘다르다/틀리다’ 구분까지 난장판으로 만드는 데 일조하고 있다.

(4) 우습다
‘웃다’의 사동형 동사인 ‘웃기다’가 ‘우습다’라는 기존 형용사의 의미와 용법을 대체해 온 게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아직까지는 원래 있던 ‘우습다’가 더 격식 있는 점잖은 말투로 여겨지지만 그런 인식이 언제까지 유지될지?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 이건 옳다/그리다의 가치 판단이 필요한 현상일까? 내 역량으로는 정확하게 분석을 못 하겠다.

(5) 좋다/좋아하다, 싫다/싫어하다
good와 like의 관계, 그리고 "난 네가 좋다/싫다" 같은 말을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지를 생각해 보면 뭔가 묘한 느낌이 든다.
한국어는 영어와 달리 "덥다/춥다"(사람이 느끼는 결과)와 "뜨겁다/차갑다"(사람에게 느낌을 주는 공기, 물이나 다른 물체가.. 혹은 사람의 마음이)의 구분이 존재하는 언어이다. 저기서 "좋다/싫다"는 마치 "덥다/춥다"처럼 사람이 느끼는 결과 관점을 나타내는 형용사일 것이다.

(6) 모르다
내가 아는 언어들 중에 do not know가 타동사 한 단어로 딱 떨어지게 존재하는 언어는 모국어인 한국어 말고는 없다. 신기한 노릇이다.

3. 기억에 남는 단어들

  • 시력교정술인 '라식과 라섹', 폭염 속에서 발생하기 쉬운 '일사병과 열사병'. 요런 건 뭔가 비슷하면서 내부 디테일은 다른 용어쌍인 것 같다.
  • 충전은 일차적으로는 전기를 보충하는 것이지만 뭔가 리소스를 채운다는 뜻에서 교통카드 액수 보충, 휴식과 회복 같은 뜻으로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 물론 한자가 다른 充塡도 있다.
  • 포장도.. wrap과 pave는 서로 완전히 다른 뜻이긴 하지만, 도로를 포장하는 것도 노반을 싸매고 꾸민다는(?) 뜻과 그리 심하게 이질적이지 않은 것 같다. 앞의 '충전'의 의미 확장과 비슷하게 말이다.
  • 大/小가 쓰였지만 크다/작다의 의미가 많이 퇴색한 것이 좀 있다. 대학(고등교육) 대포(무기), 소설(문학..) 소포(우편물)

4. 스타크래프트 게임의 종족별 나레이션

스타크래프트가 출시된 지 20년이 훌쩍 넘었다는 게 믿어지지 않는다. 지금 2020년은 옛날에 PC 통신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소설 “환상의 테란”에서 상상하고 묘사하던 미래 배경이기도 하다.

스타는 처음 나왔을 때는 한국어 UI가 없었고 심지어 인게임 채팅창에서 한글 입력조차 되지 않았었다. Localization에 관한 한 불모지였다. 그러다가 스타 2라든가 리마스터 에디션이 나오면서 완벽하게 한국어로 번역되고 더빙까지 됐다. 컴퓨터 하드웨어 성능이 더 향상되었으며, 또 잘 알다시피 한국에서 스타가 넘사벽 급의 인기를 끌었기 때문이다. 처음에 스타가 로컬라이즈가 된 언어는 오히려 일본어였는데 그건 싹 묻혀 버렸다.

개인적으로는 3종족의 아나운서 나레이션을 모두 다른 문체로 번역했어야 했다고 생각한다. 자막은 합쇼체로 통일하더라도 음성 나레이션은 다르게 말이다. 몽땅 다 똑같이 합쇼체로 해 놓으면 너무 길기도 하고 종족별 개성이 살아나지 못한다.

  • 프로토스는 누가 봐도 점잖고 근엄한 분위기이니 디씨 같은 “핵 공격이 감지되었소. 파일런이 더 필요하오.”가 돼야 할 것이다.
  • 테란은 여성 부관이 사령관에게 보고하는 형태이니, 유구한 군대 말투 다나까를 반영하여 지금처럼 “핵 공격이 감지됐습니다. 서플라이가 더 필요합니다.”로 할 수도 있고.. 아니면 부관이 기계인간 사이보그인 걸 감안하여 무전 주고받듯이 뚝뚝 끊어서 “핵 공격 감지됨. 보급고 추가 요망”처럼 할 수도 있다.
  • 저그는 뭔가 공동체 같은 느낌이 드니 구어체 반말까지 생각할 수 있다. “핵 공격이 감지됐다! 오버로드를 더 뽑아야 돼.”

영어 원문은 주어가 다르다. 똑같이 미네랄이 부족해도 플토는 You’ve not enough minerals이지만 저그는 We require more minerals이지 않던가? 영어에 you와 we의 차이가 있다면 한국어는 합쇼체와 해라체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 합당하다.

스타크 세계관이 한국에서 주도적으로 창작됐고 스타라는 게임이 한국에서 만들어졌다면 세 종족의 특성과 개성에 맞게 나레이션의 형태도 저렇게 달라졌을 거라는 게 내 생각이다.
한국어에 기왕 복잡한 조사(체언)와 어미(용언)들이 존재한다면, 그것들을 제 역할을 발휘할 수 있는 곳에 최대한 잘 활용해야 할 것이다. 특히 번역을 할 때 말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0/08/01 08:35 2020/08/01 08:35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79

1. life 생명 or 삶

life라는 영어 단어는 잘 알다시피 생명· 목숨뿐만 아니라 삶· 인생이라는 뜻까지 포함하고 있다. 마치 heart의 의미가 심장에서 더 나아가 마음도 되는 것처럼 말이다.

"동사 live vs 명사 life"는 한국어로 치면 "그리다 vs 그림"과 비슷한 호응 관계인데, 같은 맥락에서 "살다 vs 삶, 일생, (한)살이"가 대응한다고 보면 정확하다.
그러고 보니 옛날에는 "배추흰나비의 한살이"처럼 '한살이'라는 단어도 있었는데 요즘도 쓰이나 모르겠다. 사전을 찾아 보니 아예 곤충의 일생 변태 과정만을 일컫는 전문 용어처럼 기재돼 있네..

생명을 갖고 있는 동안 누리게 되는 것이 삶· 인생이니 둘은 분명 별개의 개념은 아니다. 하지만 이들은 그래도 동일 개념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접근한 용어임이 틀림없다.
본인의 언어 직관이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목숨· 생명은 '하나'뿐이라고 말하고(개체, 개수), 인생은 '한 번'뿐이라고 말하는 경향이 있어 보인다(기간, 횟수).

기독교는 사후 세계와 혼의 불멸을 가르친다. 그렇기 때문에 하늘 아니면 지옥에서 시작되는 life after death라는 말도 있다. life가 오로지 이 세상에서의 생물학적 생명만을 가리키는 건 아니기 때문에 저런 용어가 모순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잠 4:23 issues of life를 좀 의학· 생물학적인 편견을 갖고 접근하면 지금 흠정역 성경 번역처럼 '생명의 근원'이라는 뜻이 들어온다. 그러나 인문· 사회학적 편견을 갖고 접근하면 '인생의 온갖 얘깃거리 이슈들'...;;이라는 뜻도 들어오게 된다. 뭐, 그래도 저건 다의어 관계이지, 무슨 동물 염소와 원소 염소 같은 동음이의어까지는 아니겠다.

약 4:14에서 말하는 '한낱 수증기나 다름없는 너희 life'도 그런 중의성을 지닌다. 일단 저기 문맥은 "실컷 잘 먹고 잘 살아도 죽어 버리면 말짱 헛일이다"라는 마 16:26, 눅 12:19-20과 비슷하다. 혼과 직접 대응하는 건 생명이지만, 정말 수증기· 이슬처럼 짧고 덧없다는 것을 강조하는 대상으로는 인생이 적합해 보인다.

사람이 예수 믿고 구원받으면 거듭나고 새로운 life를 얻는다고 하는데.. 이와 관련해서도 흥미로운 대조를 이루는 찬송가 쌍이 존재한다.
하나는 그 유명한 “나 이제 주님의 새 생명 얻은 몸”이다. 얘는 life를 생명· 목숨이라고 봤다. 작사자는 <부름 받아 나선 이 몸>의 작사자이기도 한 이 호운이며.. 작곡자는 오빠 생각, 제헌절 노래 등의 작곡자이고 포항제철 초대 회장과는 동명이인인 박 태준이다.

다른 하나는 “주님 품에 새 생활 하네”(John W. Peterson)이다. 얘는 아까 전자와 달리 외국곡 번역인데, 가사 내용을 보니 어째 life의 대응으로 '생활'이 쓰였다. 두 곡 다 과거의 죄악된 삶을 청산했다는 말과, "옛 것은 지나고 새 피조물이 되었다"(고후 5:17) 인용이 들어있다.
하지만 전자는 관점이 관점이어서 멜로디가 좀 웅장하고 감격스럽고 씩씩한 느낌인 반면, 후자는 그 뒤의 지속적인 생활(지구력)을 강조해서 그런지 평안하고 조용한 분위기이다. 흥미로운 차이점이다.

2. 순우리말

뭍(육지 land), 얼개(structure), 고장(기계 고장 말고, 지역 region), 연모(도구), 까닭(이유), 미련하다, 미쁘다...
내가 초딩 꼬맹이였을 때 책에서 봤던 단어들인데, 21세기에 태어난 애들은 저런 단어를 들어 본 적이 있을까?
이런 식으로 안 쓰이고 사라지는 순우리말이 좀 더 있는 것 같다. 멸종 위기 동물처럼..

한국어에서 '짜장'은 짜장면의 재료가 아니라.. 원래 지금으로 치면 'indeed, 레알'에 가까운 부사였다! {... 그것은 짜장 그 손에 넘는 짓이니, “아 웬 궐련은 이래.” 하고 슬쩍 눙치며, “성냥 있겠나?” 일부러 불까지 거 대게 하였다.} 김 유정의 소설 <만무방>(1935) 중에서..
하지만 이제 짜장은 '자장면'의 현실화 표기로 바뀌었다. 부사 '짜장'은 '바이'(전혀 never)만큼이나 사어가 된 셈이다.

'물매'는... 내 기억이 맞다면 정말 의외로.. 정석 책에서 한번 본 적이 있다. 그런데 그걸로 끝.. 다시는 출판물에서 저 단어를 접하지 못했다.
안 그래도 일본 책 베꼈다는 논란이 있는 교재에서 만약 그 의혹이 사실이라면, 그래도 번역 로컬라이징은 최소한의 신경을 썼다는 뜻이 되겠다.

참고로 '거리'도 순우리말은 street이고 한자어는 distance이다. 뭐, '거리'는 멸종 위기는 아니다.
'구조'는 structure과 rescue 모두 한자어임.
한편, '지레', '도르래' 같은 물리 장치는 어째 한자어 없이 순우리말이 정착해 있다.

3. 땀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이 남긴 말 중에 “천재는 99%의 노력과 1%의 영감으로 이뤄진다”가 있다.
이 말의 진짜 의미가 대외적으로 심하게 왜곡됐다는 식으로 얘기가 많은데.. 이 글에서는 그런 뉘앙스 말고 단어와 관련된 얘기만 좀 늘어놓도록 하겠다.
위의 말의 영어 원문은 1% inspiration과 99% perspiration이라고 한다. 즉, 1%가 99%보다 먼저 언급되며, 후자도 직접적인 의미는 노오오력이라기보다는 땀이다. (뭐, 그 말이 그 말이긴 하지만)

또한, 한국어 번역으로는 전혀 느낄 수 없지만 두 단어가 -spiration이라는 라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매우 인상적이다. 땀이라 하면 sweat밖에 모르는 본인 같은 사람에게 perspiration은 좀 생소한 단어이다.

말이 나온 김에 관련 썰을 좀 더 풀자면..

  • : ‘포카리스웨트’는 마치 애니콜처럼 영어권 본토인이 들으면 고개를 갸웃거리게 하는 작명이라고 한다. 맑고 시원한 이온 음료의 이름에다가 하필 더럽고 찝찝한 느낌이 드는 땀이라는 단어를 넣었으니 말이다. 교회의 이름이 누룩 교회, 소프트웨어 개발사의 이름이 버그 소프트, 블루스크린 시스템즈인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ㅡ,.ㅡ;;
  • 영감: 내가 지금까지 들은 영감이라는 단어를 들은 곳은 (1) 저 에디슨의 격언, (2)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에서 우사미짱이 눈깔 모양이 변하면서 쿠마키치를 범죄 용의자로 잡아내는 영감, 그리고 (3) 딤후 3:16이 말하는 성경의 영감 정도이다. ㄲㄲㄲㄲ

4. 영어 어휘

다음으로, 영어에서 좀 므흣하게 느끼는 면모를 개인적으로 발견한 걸 더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다.

  • 학창 시절 이래로 지금까지 한 번도 진지하게 생각한 적이 없었는데.. toward와 towards의 차이는 과연 뭘까? 신기하다. 하는 일은 거의 같고 어감상의 차이만 존재하며, 비슷한 예로는 upstair / upstairs 쌍도 있다! 마치 한국어에서 도트와 닷이 나뉘는 것 같은 현상이 영어에서 저런 게 아닐까 싶다.
  • gold는 그 자체가 금속 명사와 금색/금 재질이라는 형용사가 되지만, golden이라는 말이 또 따로 있다. silver는 그렇지 않은데 말이다. 황금도끼 고전 게임이 golden이라는 단어를 크게 대중화시켰다. 방향에도 east+ern, north+ern 같은 형용사 바리에이션 쌍이 존재하는 게 인상적이다.
  • behalf, sake 같은 단어는 for the sake of, for one's sake 이런 식으로만 쓰이는 게 한국어 문법 용어로 표현하자면 영어의 의존명사나 다름없는 물건으로 보인다.
  • shall은 뭐.. should/will과 비교했을 때 고어체로 치부되면서 거의 죽어가는 게 확실하고.. 현재로서는 shall I/we 같은 의문문에서나 쓰이는 불완전동사처럼 돼 간다.
  • behind는 '바하인드'라고 읽히는 경우가 굉장히 잦은 것 같은데 사전에 딱히 반영돼 있지는 않아 보인다. 정관사 the는 굳이 모음이 아니어도 '더'가 아닌 '디'라고 읽는 경우가 많다.
    다른 언어를 공부해 보면 영어처럼 정관사가 더/디 바리에이션 정도밖에 없는 건 굉장히 단순하고 쉬운 양반이란 걸 알 수 있다.

5. company

영어로 '기업, 회사'를 나타내는 단어 company는 "빵(pany) 을 함께 나누다(com-)"라는 어원에서 유래되었다는 것..
알 만한 분들은 아실 것이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 이스트 인디아 컴퍼니 등..

쉽게 말해 저 com은.. 공산주의를 가리키는 코뮤니스트, 베트'콩',
경성 '콤'그룹(일제 말기 때 만들어졌던 공산주의 성향 항일 비밀결사 단체) 할 때 그 '콤'과도 같은 어원이다.

난 컴퍼니의 어원이 저렇다는 것을 먼 옛날에 오 성식 생활영어 교재에서 처음 접했다.
'빵'은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된 단어이며, 저분이 원래 외대 포르투갈어 전공 출신이기도 하니 어원이 더욱 쉽게 눈에 들어왔지 싶다.
지금처럼 지식과 정보가 인터넷으로 넘쳐나지 않던 옛날엔 그런 소소한 팁이나 유래 잡학, 외국 경험담도 희귀했었다.

상표명인 '꼼빠니아'는 동일 어원의 단어를 스페인어식으로 읽은 것인데, 회사뿐만 아니라 영어로 companion에 가까운 '동반자'라는 뜻도 있다. 저 상표가 의도한 의미는 '동반자'이다.

성경에 행 2:42,46을 보면 회사가 아니라 초대 교회 지체들이 company의 정의에 완벽하게 부합하게 한 빵을 떼어서 같이 나눠 먹었다고 나온다. 본문의 주변 문맥을 보면, 이때는 공교롭게도 교회도 일면 사회· 공산주의스럽게 재산을 전부 한데 공유하던 시절이었다. 다만, 이건 체제 전복 혁명 과업, 인민 해방 이러는 흉악한 공산주의와는 아무 상관 없는 사건이었다.

아무튼, 인류 역사에서 회사· 기업이라는 조직의 첫 시작과 취지· 이념은 교회나 공산주의 만만찮게 "함께 빵을 나누는 조직"이었다. ㅎㅎ 한국어의 '식구'와 비슷한 개념이다.

6. 세부적으로 구분하는 것과 구분하지 않는 것

  • give vs 줘/내놔: 강도가 피해자를 털 때는 "돈 내놔"라고 하지, "돈 줘"라고는 절대로 말하지 않는다. 전자는 더 적극적으로 강압적으로 빼앗겠다는 뉘앙스가 담겨 있다.
  • wear vs 입다 쓰다 신다 끼다 착용하다: 흠..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 한국어로는 다 똑같지만 영어로는 먹는 독 poison과 동물에게 물려서 주입된 독 venom을 구분해서 표현한다. 그리고 화상을 입어도 불에 데이는 burn과 물에 데이는 scald를 구분해서 표현한다.

7. 외래어

집에서 바깥과의 경계가 벽이 아닌 난간으로 구성돼 있고, 장판이 아닌 타일이 깔려 있고 집안이라기보다는 반쯤 바깥인 그 공간을 우리는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베란다와 발코니가 정말 별 구분 없이 섞여 쓰이는 것 같다. 원래는 둘은 어묵과 오뎅만큼이나 서로 다른 개념을 가리키는데 말이다. 발코니가 더 영어에 충실한 단어이지만 개인적으로는 베란다가 더 자주 들었고 더 친숙하다.

하긴, 가방· 담배· 구두조차도 원래는 외래어라는 게 놀랍기 그지없다. 껌은 영어 어원이 분명하니 외래어라는 인식이 있지만, 비슷한 단어인 빵은 외래어라는 인식이 우리의 기억 속에서 상대적으로 덜하다. 이렇게 생각하면 외래어라는 것도 의외로 별것 아니고 정하기 나름인 개념일 뿐인 건지도 모르겠다.

8. 틀리기 쉬운, 혹은 틀린 채로 굳어져 버린 외래어 표기

  • algorithm: 어쩌다가 '-듬'이 '-즘'이라고 바뀌어 버렸는지 모르겠다. 음악 용어 리듬을... 리즘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데..
  • basic: 원어 발음엔 Z 소리가 전혀 들어있지 않다. 스펠링 그대로 '-식'이 맞는데 현실에서는 '-직'으로 굳어져 버린 것 같다.
  • message, sausage: 스펠링이 A여서 좀 혼동의 여지가 있어 보인다만.. '-세-'가 절대 아니고 '-시-'가 맞다. 메시지, 소시지.
  • super-: 원어 발음엔 반모음이 들어있지 않다. 슈퍼마켓, 슈퍼맨..이 아니라 원래는 그냥 수퍼마켓, 수퍼맨이 맞는데 저건 흠..
    비슷한 예로 비젼이 아니라 비전, 캡쳐가 아니라 캡처, 쥬스가 아니라 주스(juice), 죠스가 아니라 조스(jaws)이다.

자음이 ㅈ 소리로 바뀌는 구개음화라는 건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현상은 아니다. 일본어는 더해서 TR 소리조차 츄리닝 츄레라 같은 식으로 바뀌어 왔다.
쿵 퓨리에서 히틀러가 "전화기 내놔" 이럴 때 give me the phone을 "더 폰"이 아니라 "저(ze!!) 폰"이라고 발음하던 게 생각난다. ㅋ

Posted by 사무엘

2020/05/20 08:35 2020/05/20 08:35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53

성경, 언어, 시력 이야기 등

1.

  • "즉시 그(바울)의 눈에서 비늘 같은 것이 떨어지고 그가 곧 시력을 받으니라. 그가 일어나 침례를 받고" (행 9:18)

요즘 scale이라고 하면 크기, 규모라는 뜻이 더 와닿지만 scale에는 비늘이라는 뜻도 있다. (동음이의)
구약 성경의 율법에서 포유류는 굽과 되새김질 여부가 식용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면, 어류는 비늘과 지느러미의 존재 여부가 그 역할을 한다.
아울러, 사전을 찾아보면 피부병 딱지, 갑옷의 미늘, 물통 안에 낀 물때 같은 것도 다 저 scale이다.

치아 스케일링은 치아 주변에서 저런 비늘처럼 덕지덕지 붙은 치석을 떼어낸다는 뜻이다. 무슨 크기 조절과 관련된 뜻이 아니다.
그러니 사실 descale이라고 해야 말이 더 정확할 것이다. 컴퓨터 저장 장치에서 defragment, 비행기에서 deicing처럼 말이다. 뭔가를 제거하여 정리한다는 뜻의 단어에는 대체로 접두사 de-가 붙어 있다.
다만, void/be devoid of, press/depress 이런 관계를 생각해 보면 de-가 언제나 뒤의 어근을 없애거나 부정하는 것 같지도 않다.

2.
기왕 말이 나온 김에 성경을 더 찾아보면, 예수님이 행하신 기적 중에 눈먼 사람에게 시력을 되찾아 준 것이 여럿 나온다.
예수님이 당하신 고난 중에는 남이 뱉은 침을 맞는 극도의 치욕· 모욕이 있었다. 그런데 반대로 예수님도 침을 뱉으신 적이 있다. 두 번인데.. 모두 다 맹인의 눈을 고치실 때이다. 치과 다음으로는 안과 얘기네..

  • "그분께서 그 눈먼 사람의 손을 잡고 그를 고을 밖으로 데리고 나가사 그의 눈에 침을 뱉으시며 그에게 안수하시고 그가 무엇을 보는지 그에게 물으시니" (막 8:23)
  • "이렇게 말씀하시고는 그분께서 땅에 침을 뱉고 침으로 진흙을 이겨 그 눈먼 사람의 눈에 진흙을 바르시며" (요 9:6)

모욕하고는 억만 광년 떨어진 정반대 일을 하는 상황이었음을 알 수 있다.

3.
구약 외경 중에 토비트.. 개역성경식 외래어 표기법이라면 아마 '도빗' 정도 됐을 사람의 이야기가 있다.
이 사람은 놀랍게도 공중에서 떨어진 새똥(정확히는 참새의..)을 눈에다가 정통으로 맞는 바람에 눈에 막 같은 게 끼고 시력을 완전히 잃었다고 한다. 그리고 나중에 결말부에서는 물고기의 쓸개를 환부에다 발라서 눈을 치료받는다.

눈 영양제 '토비콤'의 이름이 혹시 토비트에서 유래된 게 아닐까? 안국 약품의 창업주나 중역 중에 혹시 가톨릭 신자가 있나.. 라고 나만 생각한 건 아닌 것 같다. 그냥 추측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0/05/03 08:34 2020/05/03 08:34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47

국어에서 ‘만’은 굉장히 요주의 품사통용어이다. 다음 예문을 통해서 구체적인 용례와 띄어쓰기 요령을 익혀 보자. 국어 정서법에서 띄어쓰기는 한자 없이 한글 전용을 주장하는 사람일수록 더욱 잘 숙지해야 하는 개념이니 말이다.

  1. 시간을 사흘만 주십시오.
  2. 사흘 만에 일을 다 끝내겠습니다. (이거 얼마 만인가!)
  3. 그건 충분히 할 만한 일입니다.
  4. 소일거리로 이것만 한 게 없습니다. (집채만 한 파도. 짐승만도 못한..)

해설.
1. 주격 또는 목적격으로 only, just의 뜻을 담고 있는 보조사이다. 제일 쉽다.

2. 이때는 의존명사이기 때문에 띄어 쓴다. 괄호 안의 문장처럼 쓰이기도 한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명사라는 게 감이 올 것이다. 접사인 '쯤'하고는 상황이 다르며(이제 얼마쯤 왔지?), '오래간만/오랜만'도 그 자체가 한 단어 명사이다.

3. ‘만하다’가 보조형용사이다. “할 만하지?”처럼 활용도 된다.
참고로, 중간에 ‘도’가 붙어서 “그럴 만도 하다”라고 쓰면 이때 ‘만’은 의존명사이다. 사실상 ‘도’밖에 붙는 게 없는 어정쩡한 의존명사인데, 아까 2번 의존명사와는 별개인 다른 의존명사이다.. ㅡ,.ㅡ;;

4. 이 ‘만’은 1번과 마찬가지로 다시 보조사이다. 다만, ‘-하다/-못하다’와 연결됐을 때는 do ONLY this가 아니라 뭔가 no/nothing more than 같은 비교의 뜻이 될 뿐이다.
심리적으로는 자꾸 ‘만하다’가 한 단어인 것 같이 느껴지는데, 솔직히 나도 그렇다. 하지만 일단 규정상으로는 ‘만하다’는 3번처럼 용언이 이어질 때에만 허용되고, 체언 뒤에서는 ‘하다’뿐만 아니라 ‘못하다’도 올 수 있다는 점이 감안되어 둘을 띄우게 되었다.

끝으로, 위의 모든 규정에도 불구하고 형용사 ‘볼만하다, 이만하다, 쥐방울만하다, (고만)고만하다, 웬만하다’ 같은 단어는 용례가 굳어진 한 단어로 간주되어서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고, 몽땅 붙여 쓴다. ㅡ,.ㅡ;;

그러므로 한 단어가 아닌 일반적인 상황에 대해서 총정리를 하자면..

  • 기간 한도를 나타내는 체언 뒤에서는 띄우고(2번)
  • ‘-ㄹ’로 끝나는 용언 뒤에서도 띄운다(3번).
  • 그 밖에 한정이나 비교의 뜻으로 체언 뒤에 나올 때는 보조사이기 때문에 붙인다고 생각하면 되겠다(1, 4번).

그러고 보니 '뿐'도 조사(너뿐..)도 되고 의존명사도 돼서(그럴 뿐) 띄어쓰기를 아주 복잡하게 만드는 단어이며, '한', '못' 이런 것도 어디서는 각각 독립적인 관형사와 부사였다가 어디서는 그냥 한 단어의 어근/어간이어서 사람 헷갈리게 하기 딱 좋은 단어이다.
글이 좀 짧은 것 같으니, 보너스로 이런 문법 놀이를 몇 가지 좀 더 하고 글을 맺겠다.

(1) 가량: 접미사이다. '쯤'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명사가 아님.

  • 사람이 열 명쯤 모였다.
  • 사람이 열 명가량 모였다.
  • 사람이 열 명 정도 모였다. (정도程度: 일반명사)
  • 사람이 열 명 남짓 모였다. (남짓: 의존명사 겸 형용사! '남짓한'일 때는 형용사이지만 '남짓 되는'일 때는 명사이다.)

(2) 커녕: 이것 자체가 조사(보조사)이다. 부사가 아님.

  • 사람커녕 쥐새끼 한 마리 안 보인다. (원래 이렇게 쓰는 단어임.)
  • 사람은커녕 쥐새끼 한 마리 안 보인다. (강조의 의미로 앞에 은/는이 붙었음)
  • 사람은 물론 쥐새끼 한 마리 안 보인다. (물론: 부사)
  • 사람은 고사하고 쥐새끼 한 마리 안 보인다. (고사하고: 부사. 학교 문법에서는 이건 불완전동사도 아니고, 통째로 단독으로 부사로 친다.)

오늘날은 '막론'도 '막론하고'의 형태로만 쓰이는 것 같지만 이건 '고사하고'처럼 완전히 이 형태만으로 굳어졌다고 보지는 않는 듯하다.

그리고 기왕 생각난 김에 보너스로...
언어학에는 구(phrase)와 절(clause)처럼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르고 헷갈리는 용어 pair가 있다. 어근과 어간도 그런 예에 속하는데..

어근(뿌리 root)
단어에서 접사를 제외한 핵심 부분을 말한다. 어근은 단독으로도 쓰일 수 있지만 접사는 그렇지 않다. 접사는 붙는 위치에 따라 접두사(un-, de-, en-) 또는 접미사(-less, -ness)로 나뉘며, 접사가 붙은 단어를 흔히 파생어라고 부른다.
영어의 경우, 화자가 생소한 파생어를 일부러 필요에 따라 창조해 냈다면 접사와 어근을 하이픈으로 연결하거나, 둘 중 하나를 대문자로 쓰곤 한다. 이게 한국어 관행으로 치면 한자를 괄호 안에 병기하는 것과 비슷하다.

어간(줄기 stem)
얘는 한국어에서 동일 용언(동사와 형용사)이라면 온갖 활용 형태와 무관하게 변함없이 고정돼 있는 앞부분을 말한다. 어절에서 어미를 제외한 핵심 부분이다. 가령, ‘먹으면, 먹어서, 먹다’에서 ‘먹’ 부분이다.
어간은 그 자체가 접사과 어근으로 더 쪼개지는 파생어일 수 있다. 그러므로 어간은 어근보다 더 큰 구분 단위이다.

근이니 간이니 하니까 소리도 비슷하게 들리고 헷갈린다. 하지만 용어가 모두 식물의 외형을 본따서 만들어졌다는 걸 생각하면 곧바로 직관적으로 이해가 될 것이다. 지하의 뿌리에서 지상의 줄기가 자라고, 줄기로부터 가지들이 뻗어 나가는 걸 떠올려 보라.

어근과 어간은 말 그대로 언어의 ‘근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내장 간(肝)도 아니고 줄기 간(幹)은 좀 생소한 한자 같지만 우리 주변에서 생각보다 자주 볼 수 있다. 뿌리-줄기뿐만 아니라 줄기-가지 관계도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교통에서 얘기하는 간선-지선 말이다.

Posted by 사무엘

2020/03/02 08:35 2020/03/02 08:35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23

인간이 입으로 만들어 낸 창작물 내지 정보 중에, 말은 문자를 통해서 글의 형태로 보존되곤 했다. 그러나 말은 노래라는 형태로 표현되기도 하는데 거기서 말을 감싸던 음악, 멜로디, 선율은 제대로 전해지지 못한 것이 적지 않다.

먼 옛날(지금으로부터 수백 년 이상 전)에는 아시다시피 물자가 몹시 비싸고 귀했으며, 종이와 필기구도 예외가 아니었다. 선율은커녕 말을 받아 적는 것조차 아무나 함부로 하기 어려웠으며 아예 글을 모르는 문맹도 부지기수였다.
그런 시절에 모든 사람이 알고 대대로 전수해야 하는 텍스트는 전수 방법이 '구전'밖에 없으니, 최대한 규칙성을 띠고 외우기 쉬운 형태로 텍스트를 마개조해야만 했다. 그래서 운율이라는 개념이 생겼고 운문이 등장했다.

그리고 운문을 넘어 아예 노래를 만들어 흥얼거리기 시작했다. 노래를 기억하면서 가사도 덤으로 기억하게 되기 때문이다. 사람은 유전자 차원에서 음악을 즐기는 본성이 새겨져 있는 게 틀림없어 보인다.

옛날에는 음반이란 게 없었고, 평범한 사람들이 단순히 길거리 악사 이상 수준의 프로페셔널한 음악을 접할 일이 그닥 없었다. 그러니 싸제 야메 노래를 흥얼거리는 것에 대한 자괴감도 현대인보다는 적었으리라 여겨진다.
지금처럼 트루타입 윤곽선 글꼴이 널리 쓰이기 전의 도스 시절엔 싸제 야메 비트맵 글꼴들이 수십 종 이상 만들어져 쓰였던 것처럼 말이다.

그러니, 옛날 사람들은 암기용이든 단순 감정 분출 한풀이용이든.. 음악이라는 걸 스스로 더 창의적으로 활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이 자연스럽게 만들어 부른 노래는 역사적으로 귀한 자료가 됐을 텐데, 정작 그 귀한 자료들은 등장을 촉진했던 이유(기록 수단 부재)와 동일한 이유 때문에 소실도 많이 됐다는 것이 아이러니이다.

노래들을 전수받은 마지막 세대들은 그게 그렇게도 귀한 자료라는 걸 전혀 인지하지 않고 있었는데.. 시대가 바뀌면서 그런 노래를 부를 일이 없어졌고(산업화, 정권 교체 등), 그렇게 세월을 보내다가 전수자가 죽고 생존한 피전수자도 당시 기억을 망각하면서 음악 정보가 사라진 것이다.
문학 시간에 배울 정도인 구지가(龜旨歌), 청산별곡(!!) 등의 진짜 옛날 노래들뿐만 아니라 비교적 최근까지 다음과 같은 예가 있었다.

1.
3· 1 운동 때는 유 관순처럼 서대문 형무소에 투옥됐던 어린 여성 독립운동가들이 여럿 있었다. 그 중에는 심 명철(1896-1983)이라는 분이 있었는데, 감옥에서 동지들과 이런 노래를 숨죽여 지어서 불렀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분의 아들인 문 수일 씨는 어머니가 살아 계실 적에 그 노래를 들으면서 가사를 적어 놨다. 그러나 멜로디는 콩나물로 미처 그려 놓지도, 녹음하지도 못했기 때문에 소실됐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지는 이미 35년이 훌쩍 넘었고..

"대한이 살았다 대한이 살았다, 산천이 동하고 바다가 끓는다, 에헤이 데헤이 대한이 살았다"


이런 가사인데.. 이게 최근에 알려져셔 가수 박 정현이 그 가사에다가 곡을 자기 스타일로 새로 붙여서 노래를 불렀다. 이 영상이 유튜브에 공개돼 있다.

가사를 구성하는 어절들이 전반적으로 3글자 단위인 걸 보니 원래 멜로디도 3박자 계열이었지 싶다.
물론 이론적으로 꼭 그래야 할 필요는 없다. 4/4박자에다가도 ♪♪♪가 아니라 ♪♪♩ 같은 식으로 3글자 단위는 얼마든지 집어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민요풍 박자들이 전반적으로 6/8 같은 3박자 계열인 것까지 감안하면 원래 멜로디 역시 그 범주를 벗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박 정현의 리메이크곡도 들어 보면 아시겠지만 응당 3박자 계열이다.

옛날에는 '대한'이라는 단어가 대중적으로 익숙하지 않아서 "대한 독립 만세"가 아니라 "조선 독립 만세"라고 외쳤다는 말도 어디선가 들었는데.. 정말 그랬는지는 잘 모르겠다. 저 가사에도 멀쩡히 '대한'이라는 단어가 쓰이긴 했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 관순만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징역 3년으로 형량이 유난히 무거웠으며, 매우 단명하기까지 해서 겨우 1920년에 순국한 것을 알 수 있다. 유 열사가 법정에서나 형무소에서 간수나 법조인들에게 굉장히 많이 저항하고 밉보였기 때문일 것이다.
몰년이 미상인 사람도 둘 있지만 그들은 유 관순이 죽기 전에 이미 만기 출소했을 정도로 형량이 가벼웠다.

참고로 심 명철 여사는 맹인이었다! 저 유튜브 영상에서 그 사실이 직접 언급돼 있지는 않지만, 저분은 사진에서도 검은 안경을 쓴 걸 볼 수 있다. 평생을 점자 아니면 기억에만 의지해서 의사소통을 해야 했으니 수십 년 전에 불렀던 노래도 생생하게 기억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2.
자, 다음으로는 엄격 진지 근엄한 시절 말고 해방 이후 1955년의 일이다.
우리나라에서 시발 자동차라는 게 나왔을 때.. 믿기 어렵지만 이런 CM쏭까지 있었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발, 시발, 우리의 시~발 자동차를 타고 삼천리를 달리자"


195, 60년대에 이런 CM쏭을 대중적으로 퍼뜨릴 매체는 텔레비전은 어림도 없고, 라디오 아니면 극장 영화 상영 전 광고에 의지해야 했을 것이다.
이거 멜로디가 전해졌다면 인터넷 시대에 병맛 개그로 재조명되어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으리라 여겨지나..
아쉽지만 악보도, 음반도, 증언자의 기억에서도 몽땅 다 소실됐다고 한다. 아마 팬암 CM쏭의 "You can't beat the experience -- Pan Am!" 같은 느낌이지 않았을까?

이상이다.
수십 년 전에 본인의 외할머니께서 사용하시던 찬송가 책이 문득 떠오른다. 거기에는 가사만 세로쓰기로 쭉~ 적혀 있고 악보가 인쇄돼 있지도 않았다. 복잡한 악보는 아무래도 저렴하게 인쇄하기 어려울 테니.. 가격 문제 때문에 옛날엔 가사만 적힌 책도 쓰였던가 보다.

멜로디는? 당연히 구전이었다. 보존의 우선순위가 아무래도 가사보다 뒤로 밀릴 수밖에 없다. 원래 조가 무엇이었는지, 혹은 4부 합창 파트 같은 건 생각할 수 없었다. 지금도 북한의 지하 교회에서는 성경과 찬송가 가사를 급히 베끼고 찬송가 멜로디 정도는 그냥 외워 와서 몰래 예배를 드린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찬송가만 해도 열악하던 시절엔 이런 식으로 전해졌으니, 하물며 민중에 의해 만들어진 노래는 더 격식 없이 의식의 흐름대로 만들어지고 전수되다가 잊혀지고 사라지기를 반복했을 것 같다.

끝으로, 성경도..
홍해 바다를 건넌 뒤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부른 노래를 포함해 시편까지 전부 원래는 곡이 붙어 있는 노래였다! 허나, 하나님은 말씀을 보존해 주신다고 했지 멜로디를 보존해 주신다고 약속하시지 않은 관계로... 후손들이 접할 수 있는 건 오로지 가사뿐이다. 곡을 붙이는 건 전적으로 후대 작곡자들의 재량 영역이 됐다.

"그들이 왕좌 앞과 네 짐승과 장로들 앞에서 새 노래 같은 것을 부르더라. 땅에서 구속받은 십사만 사천 외에는 아무도 능히 그 노래를 배우지 못하더라." (계 14:3)


이것도 도대체 무엇을 들은 것일지 굉장히 궁금해진다. 뭔가 새마을호 로고송이나 Looking for you에 근접하는 멜로디였을 것이다.

이번 기회에 무슨 마음에 드는 시, 짤막한 문구, 표어 같은 거 놓고 곡을 붙이는 연습을 스스로 해 보자. 생각보다 재미있다. 심지어 저 시발자동차 광고카피라도 말이다~! ㅎㅎ

Posted by 사무엘

2020/01/28 08:36 2020/01/28 08:36
,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710

성경의 '언어' 관련 이슈들

1. 주기도문

주기도문이란 건 지금 말고 과거에 본인이 다니던 교회에서 예배가 끝났을 때 으레 습관적으로 눈 감고 기도문처럼 암송하던 텍스트였다.
주일 오전 예배는 격이 제일 높기 때문에 마지막에 무려 목사님의 축도로 인증을 꽝 찍어야 끝났다. 그때 말고 목사님이 안 계셔서 축도를 받을 수 없는 모임을 끝내는 절차는 주기도문 암송이었다.;; 끄응..

과거 한글 개역성경은 "나라이 임하옵시며"(마 6:10, 눅 11:2)라고 조사가 어긋난 게 있었다.
중세 국어에 주격조사 '가'가 아직 없어서 '바다이 되어' 같은 문구가 있다는 건 옛날에 학교에서 배워서 알지만.. 성경 본문에 몇 부분만 표기 오류가 있는 건 그냥 편집상의 실수 때문이었다.
시편 23편에는 그 유명한 "물 가으로 인도하시는도다"(시 23:2)도 있다. 이것 말고 또 조사가 어긋난 구절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개역개정판은 이게 다 바로잡혔다.

그런데 "나라이 임하옵시며"라고 써 놓으니 난 어린 시절엔 "나라에 임하옵시며"라고.. 조사가 '에'인 것으로 오랫동안 착각하고 있었다. 문장의 주어가 뭔지는 모르겠고 말이다. 하나님 아버지가 우리나라에 임하신다는 뜻이겠지..

그리고 주기도문 끝에 나오는 '대개'도 오해의 소지가 아주 많은 단어였다.
저 대개는 大槪, usually, mostly, 대체로, in general이라는 뜻이 아니다..;;;
大蓋 "일의 큰 원칙으로 말하건대"라는 뜻이고, 원래 의미는 영어의 접속사 for (전치사 for 말고)... "이는 ~ 하기 때문" 정도에 대응하는 단어이다.

그리고 여기에 나오는 나라들도 그냥 country, nation이라기보다는 왕정국가 kingdom을 가리킨다. 저건 여호와의 증인들이 좋아하는 용어이기에 앞서 엄연한 성경 용어이다.

마 6:33은 산상설교 중에서 노래로도 굉장히 많이 만들어져 있는 유명한 구절인데.. "하나님의 왕국"이 "그의 나라"라고 바뀌어서 의미 왜곡이 꽤 심하다. 우리말에서 '의'는 발음하기 어렵고 생략도 잘 되는 관계로 아예 '그 나라'라고 곡해되기도 했다. "그 나라 갈 때에 우리들은 예수님과 만나 얘기해" 라는 어린이 찬양도 있으니 심상이 그리로 연결돼 버리는 것이다.

끝으로.. 이 주기도문은 마태복음 6장뿐만 아니라 누가복음 11장에서도 비슷한 형태로 한번 더 등장한다. 누가복음의 "기도 요령"에서까지 나온다는 것은 주기도문의 패턴을 굳이 환란기 유대인으로 국한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그런데 킹 제임스 외의 다른 성경들은 누가복음 버전이 마태복음 버전에 비해 짤린 내용이 많다. '아버지'에 대해 "하늘에 계신 우리"라는 수식어가 빠지고,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 이뤄진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같은 문구도 몽땅 짤려 있다. KJV 외의 성경을 본다면 누가복음의 기도문은 마태복음 기도문의 속성 요약본(?)처럼 읽힌다.

2. 동음이의어

사도신경 "... 하늘에 오르사 전능하신 하나님 우편에 앉아 계시다가 ..."
진담인데.. 난 초딩 시절에 교회에서 사도신경을 암송할 때는 빨간 우체통 위에 하나님이 걸터앉아 계신 모습을 생각했었다.
이런 걸 꼼꼼히 생각하지 않으면 좀 극단적으로는 "하나님이 사자를 보내셔서"라는 문구를 보고도 messenger일까 lion일까 황당한 오해가 생길 수 있다.

이 21세기에 그것도 한글 같은 문자를 놔두고 굳이 구닥다리 그림문자를 쓰는 법까지 무식하게 익혀야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최소한 이미 있는 동음이의어들이 도저히 대안도 없는 경우, 이것들이 무슨 그림문자에 근거해서 만들어진 단어이고 그 그림문자를 쓰는 다른 단어로는 무엇이 있는지 같은 감 정도는 부디 익혀 놓을 필요가 있다.

신앙만큼이나 언어도.. 일단 무조건 외워야 하는 것 이후로는 체계와 원칙이 있다는 점이 비슷하다. 이것은 언어의 특성 중에 각각 임의성과 체계성이라고 용어까지 정립돼 있으니 말이다.

3. 칭호

성경 구절을 노래로 옮긴 찬양들 중에는 예수님 내지 성도의 칭호를 다룬 것이 있다. 교리 공부와 성경 암송의 관점에서 유익해 보인다.

예수님의 칭호에 대해서는 His name is Wonderful (놀라운 그 이름)이라고 꽤 좋은 곡이 있다. Wonderful, Lord, mighty King, God, Great Shepherd, Rock 정도가 나온다. 한국어로 번역된 건 접해 보지 못한 어느 영어권 찬송에서는 Ancient of days (단 7:9)라는 칭호가 나오는 것도 본 적 있다.

하나님/예수님의 칭호 중에는 영어의 입장에서 품사 통용 중의적인 표현이 좀 있다.
앞의 칭호들 중에서도 Wonderful은 이름에 대한 수식어· 관형어가 아니라 그 자체가 명사이다. (사 9:6) Wonderful, Counsellor, The mighty God.

I AM도 명사절 같은 게 아니라 그냥 그 자체가 고유명사이다.
I AM THAT I AM(출 3:14)만 봐서는 해석을 어찌 해야 될지 모르겠지만, 그 다음의 I AM hath sent me unto you를 보면 저거 전체가 명사라는 걸 알 수 있다.

신의 칭호뿐만 아니라 신약 성도의 칭호도 있다.
어린이용 동요급인 "주 나의 사랑 나 주의 사랑"도 칭호가 여럿 담겨 있어서 유익하며, 일명 축복송으로 알려진 "때로는 너의 앞에"는 2절에 이례적으로 '택한 족속, 왕 같은 제사장'(벧전 2:9)이라는 칭호가 나온다.

칭호를 소재로 더 창의적인 찬양이 또 만들어졌으면 좋겠다.
참고로 가지(branch)는 예수님의 칭호(렘 33:15)와 성도의 칭호 내지 비유 대상(요 15:2,4)으로 모두 등장한다.

4. 오다/가다 문제

한국어가 영어와 다른 특징 중 하나는 1인칭 자기 자신이 '오다'의 주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너 좀 이리 와 줄래?" / "응, 가는 중이야"(I'm coming)이지, "오는 중이야"가 아니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건 성경 번역에서도 꽤 미묘한 차이를 만들어 낸다.

지면 관계상 모든 예를 다 열거할 수는 없지만, 마 8:7에서 예수님은 백부장의 종을 치료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을 때 "ㅇㅇ, 내가 가서 고쳐 주마"라고 대답하셨는데.. 이거 영어 원문은 "I will come to him"이다. 그런데 NIV를 비롯해 일부 구어체 현대어 영어 성경은 go to him이라고 써 놓기도 했다.

이것 말고 고전 4:19 "내가 곧 너희에게 가서" (But I will come to you shortly)
계 2:5 "내가 속히 네게 가서" (I will come unto thee quickly)
이런 건 괜찮은 반면..

  • 요 14:18은.. "내가 너희를 위로 없이 버려두지 아니하고 너희에게로 오리라." (I will come to you.)
  • 계 22:7 "보라, 내가 속히 오리니" (Behold, I come quickly)
  • 계 22:20 "내가 반드시 속히 오리라" (Surely I come quickly)

뭔가 발로 걸어서 물리적으로 이동하는 게 아니라 심오하고 거창한 재림 문맥이어서 그런지.. 이런 건 흠정역도 옛날 개역성경의 표현을 그대로 차용했다. 게다가 come을 좀 심오하고 거창하게 번역하는 단어로 '임하다'도 있다.

생각보다 골치 아픈 문제 같아 보이지 않는가? "진리가 너를 자유케 하리라 / 두려워 말라"처럼 성경에만 존재하는 시적 허용이 될지, 아니면 이로 인해 한국어도 번역투 영향 때문에 '가다/오다'의 구분이 문란해질지도 모르겠다.
공동번역이나 표준새번역은 그래도 국어 전문가가 많이 개입해서 그런지 저런 원초적인 비문은 존재하지 않는다.

5. 마리아와 예수님 사이의 높임 관계

요한복음 2장에는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예수님이 물을 포도즙으로 변화시키는 기적이 기록되어 있다. 우리말로는 여기서 포도즙이냐 포도주냐 하는 wine의 번역 문제가 불거지곤 하는데, 이 글에서는 그건 논의하지 않겠다.

예수님은 자라서 성인이 되면서 단순한 아기· 어린이이다가 성육신한 하나님으로.. 자신의 원래 지위가 서서히 드러났다. 육신의 모친인 마리아와의 관계도 자연스럽게 역전되었다. 쉽게 말해, 마리아가 아들을 부르는 호칭이 "얘야, 예수야"이다가 어느 샌가 "예수님, 주님"이 된 것이다. 그런 드라마틱한 전환이 어떻게 진행되었으며 느낌이 어떠했을지에 대해서는 성경이 딱히 자세히 기록하지 않으며, 우리 역시 당사자의 기분을 상상하기가 쉽지 않다.

가나의 혼인 잔치가 벌어질 무렵에 마리아는 이미 예수님의 지위와 권능에 대해 잘 인지하고 있었던 듯하다. 그래서 포도즙이 다 떨어지자 "지금 잔치의 흥이 다 깨지게 생겼는데 너님이 좀 어떻게 도와줄 수 없을까(요)?"라고 물었다.
그러자 예수님은 이미 공과 사를 철저히 구분하여, 모친인 마리아에게도 "여자여"라고.. 한국어로 치면 "자매님, 아주머니", 군대 용어로 비유하면 '아저씨' 같은 남 취급하는 호칭을 사용했다(4절). 이 호칭은 나중에 십자가에서도 다시 등장한다(요 19:26).

사실, '여자여'라는 호칭 자체가 성경 전체에서 사복음서에서만 등장하며, 그 중에 요한복음이 제일 많이 등장하는 책이라는 게 흥미롭다. 간음하다 붙잡힌 여인 장면도 포함해서 말이다(요 8:10).
이런 식으로 대부분이 예수님 말씀의 인용이지만, 베드로의 말 "어허, 이 여자가 정말.. 난 진짜로 저 사람이 누군지 모른다니까(요)?"에서도 동일 호칭이 한 번 쓰였다. (눅 22:57)

다시 가나의 혼인 잔치 장면으로 돌아오면.. 4절 다음으로 5절에서 마리아가 하인들에게 "그분(예수님이)이 말씀하시는 대로만 그대로 하세요"라고 지시한다. 이 기적은 구원이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이뤄진다는 영적 진리를 내포한다. 참조 구절로 벧전 1:23을 보시라.

기독교에서 사용하는 성경들은 마리아의 말이지만 예수님에 대해서 높임법을 사용했고, '말씀하시다'라는 용언을 꼭 살려 놓았다. 이게 맞다. 그 구닥다리 한글 개역성경도 저렇게 돼 있다.

그러나 천주교용 성서 내지, 별 생각 없이 의역 현대어 문체만 추구한 성경 역본에서는 이 상황에서 높임법을 절대로 사용하지 않았다. 하나님의 어머니인 마리아가 예수보다 서열이 더 높은데 왜 굳이 예수님에게 높임법을 사용하겠는가? 공동번역이나 표준새번역 같은 걸 직접 보시기 바란다. "그가 시키는 대로 하세요."
또한, '말씀하시는 대로'(say)도 함부로 '시키는 대로'라고 바꿔 버리면 당장 이 문맥에서 본문을 읽는 건 문제가 없겠지만, 앞서 얘기했던 벧전 1:23 '말씀'과의 연결 고리가 깨지게 된다.

성경의 근간이 된 히브리어, 그리스어, 영어 같은 언어는 하나님조차 you라고 간단히 부를 수 있을 정도로 높임법 따위 신경 안 쓰는 언어이다. 그 반면, 하나님끼리는 존댓말을 썼을까 말을 놨을까(히 1:8; 10:5-7) 하는 문제는.. 수학에다 비유하자면 마치 ∞ - ∞의 극한과 비슷한 문제이다. 한국어 번역을 위해서는 그런 데서 근본적으로 번역자의 주관과 해석이 들어갈 수밖에 없으며, 천주교와 기독교는 십계명뿐만 아니라 이런 데서도 차이가 존재한다는 걸 알 수 있다.

* 마리아가 성경에서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곳은 행 1:14이다. 하나님의 어머니고 뭐고 그런 거 없이, 그냥 여러 신실한 여성 크리스천 중 한 명으로서 말이다.
또한, 예수님이 자신의 육신의 어머니나 이복(?) 형제라고 해서 딱히 특별 대접을 하지 않았다는 것은 눅 8:20-21, 눅 11:27-28 같은 다른 구절에서도 거듭 확인 가능하다. (꼭 찾아서 확인해 보시라)

Posted by 사무엘

2019/11/22 08:34 2019/11/22 08:34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686

1. 로마 숫자

전세계가 말과 글은 서로 달라도 숫자만은 아라비아 숫자로 사실상 완전히 통일되어 있다. 문자도 아닌 숫자야 무슨 민족 정체성이니 뭐니를 논할 여지 없이, 편리한 것만 냉큼 받아들여서 쓰면 그만이다. 자릿수마다 번거롭게 일일이 새로운 기호를 도입하지 않고 숫자 자체만 쭉 늘어놓는다는 점, 그리고 0을 사용한다는 점이 정말 획기적인 발전을 이룩했다. 아라비아 숫자 없이 수학이란 학문이 지금처럼 발전하기란 절대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 전에 동양에서 쓰이던 한자 숫자, 그리고 서양에서 쓰이던 로마 숫자는 실용적인 용도로는 완전히 도태했다. 하지만 예스럽고 간지 나고 권위 있어 보인다는 점 덕분에 책에서 제일 큰 단원(챕터)의 번호, 그리고 아날로그 시계의 숫자 같은 용도 정도로는 아직도 쓰이고 있다. 또한 저작권 문구 같은 데서 MCM 어쩌구 하는 것도 19xx하는 연도 숫자이더라. 로마 숫자 자체가 사실상 천 자리까지만 표현 가능하기도 하니까..

로마 숫자와 아라비아 숫자 사이를 상호 변환하는 알고리즘은 꽤 재미있는 코딩 주제이다. 뭔가 100원, 500원, 1000원 등 다양한 화폐로 특정 액수를 표현하는 문제 같기도 하다. 그리고 로마 숫자와 한자 숫자를 비교해 보면 이런 표기법조차 동양과 서양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발전했다는 게 느껴진다.

가령, 동양은 세로쓰기, 서양은 가로쓰기이다. 이 때문인지 1~3도 한자는 가로줄이지만 로마 숫자는 I가 반복되는 세로줄이다. 그리고 동양은 10000 단위로 끊지만 서양은 언어 차원에서 1000 단위가 보편적이다.

2. 숫자: 수량 또는 번호

숫자 얘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기계에서 똑같이 숫자를 입력하는데 계산기와 컴퓨터 키패드는 글쇠배열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789 456 123 순인 반면, 전화기나 도어록의 버튼은 123 456 789의 순이다.

이런 차이는 역사적인 사연 때문에 생기긴 했지만 나름 일리가 있다. 숫자라는 게 사칙연산의 대상인 수량을 표기할 때 쓰이지만, 그런 의미가 전혀 없이 그냥 문자의 연장선으로서 식별 번호를 표기할 때도 쓰이기 때문이다.
789 456 123은 전자용이고 123 456 789는 후자용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전자는 0과 1이 가까이 있는 반면, 후자는 9와 0이 가까이 있다.

컴퓨터는 계산기의 연장선으로서 발명된 기계이다 보니, 키패드의 숫자 배열은 응당 계산기 방식을 따랐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정반대 방식의 숫자 배열이 혼재해 있으니 좌측· 우측통행만큼이나 사용자에게 혼동을 주는 것 같다.
더구나 컴퓨터도 키보드의 1줄짜리 숫자 배열은 수학 친화적이고 문자 코드의 배당 순서와도 일치하는 012..789가 아니라, 번호 지향적인 123..890이다! 엄밀히 말하면 키보드와 키패드의 배열 원칙이 서로 다른 셈이다.

회계· 경리처럼 다량의 숫자를 취급하는 업종에 종사하지 않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전자 숫자보다는 후자 숫자를 취급할 일이 더 많을 것이다.
내 타자연습 연습글 중에도 원주율 소수점을 입력하는 숫자 전용 연습글이 있는데.. 이걸 숫자 전용 패드로 입력한다면 123 방식이 더 익숙할지, 789 방식이 더 자연스러울지 궁금해진다.

요즘은 안 그러는 것 같다만.. 옛날에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외래어를 순명조 같은 별도의 튀는 글꼴로 표기하고, 성경에서도 인명· 지명 고유명사는 고딕 같은 별도의 글꼴로 표기하곤 했다.
그 정도의 관행이라면 숫자도.. 산술 연산 수량용 숫자와 번호용 숫자를 글꼴을 달리하여 구분 표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을 것 같다. 번호용 숫자는 숫자계의 고유명사나 마찬가지일 테니 말이다. 계시록 13장에 나오는 짐승의 수 666은 어디에 속하는 걸까? 영어 nuumber는 두 의미가 모두 포함돼 있다.

하긴, 숫자 단독 나열에 대해서는 고유명사라는 관념이 희박하다 보니 과거에 80486 같은 CPU 이름은 상표권을 인정받지 못했으며, 인텔에서는 펜티엄, 코어 같은 별도의 작명을 하게 되기도 했다. 영화 제목인 300이나 1987은 또 어떨까?
고유명사 기능을 하는 숫자는 여느 숫자와 달리, 억· 만 같은 자리수를 일일이 따지지 않고, 한 자리나 두 자리씩(특히 영어) 각 숫자를 끊어서 읽는 경향이 있다.

그 외에..

  • 라틴 알파벳이야 W와 I 같은 글자의 특성 차이로 인해 가변폭 글꼴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그런 글꼴도 숫자까지 0과 1의 폭을 달리하는 가변폭으로 만드는 경우는 흔치 않다. 적어도 본문용 글꼴이라면 말이다. 숫자도 가변폭인 글꼴은 아주 특이한 장식용 한정인 것 같다.
  • 3579 같은 홀수는 아래로 삐치고, 2468 짝수는 위로 삐치게 만든 글꼴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위 아래로 들쭉날쭉 삐침이 있는 라틴 알파벳 소문자와 그럭저럭 어울리는 참신한(?) 시도인 것 같다. Constantia라는 글꼴은 모든 56789만 저런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3. 수사(數詞): 명사 또는 관형사

숫자 말고 언어의 수사 얘기를 하자면.. 영어는 한 숫자를 읽는 방법이 정말 오로지 원 투 쓰리 등 한 가지밖에 없어서 매우 단순하고 편리하고 직관적이다. 파생형으로는 몇 째를 나타내는 1st, 2nd, 3rd, -nth 바리에이션이 있는 것이 전부이다.
그 반면, 한국어는 숫자를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모두 읽을 수 있으며 그 원칙에 일관성이 없다(두 시 삼십오 분). 게다가 순우리말은 모든 숫자에 대한 대응이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1~4는 명사일 때(하나, 둘, 셋)와 관형사일 때(한, 두, 세) 형태가 달라지기까지 한다.

어디 그 뿐이랴? 뒤에 붙는 의존명사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서/석/세' 같은 쓸데없는 바리에이션도 있다.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정말 지저분한 난장판이 따로 없다.
저건 '다르다/틀리다' 같은 유의미한 구분도 아니고.. 종이가 세 장이건, 석 장이건 세상이 달라질 게 무엇인가? 구분이 문란해져도 아무 상관 없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4. 사병

군대에서 장교나 부사관 같은 간부가 아니고, 수가 제일 많고 계급이 제일 낮고, 명령을 내리는 게 아니라 받기만 해서(what) 훈련받은 대로(how) 수행하는 군인을 병(兵)이라고 한다. 그런데 한 글자로만 써 놓으면 질병(病)과 구분이 잘 안 되니, 앞뒤에 다른 글자를 붙여서 사병, 병사, 졸병 등으로 부르는 편이다.

이들에 비해 '병'이 들어가지 않은 '군사'는 좀 옛스러운 말 같다. "군사 정권", "그리스도의 군사" 이런 말밖에 안 떠오른다.
soldier를 가리키는 한자어에서 '사'는 모두 士이다. 장기에서는 兵과 卒이 한 칸씩밖에 못 움직이고 후퇴는 못 하는데, 士는 한 칸씩밖에 못 움직이고 궁궐 안만 돌아다닐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병이건 사건 졸이건 이동 능력은 비슷하게 최하이고 말이다..;;

그런데 '사병' 같은 단어에서 私가 떠오르는 경우가 있다.
이건 오늘날의 PMC 내지 일부 막장 국가에서 존재하는 군벌, 혹은 과거의 지방 호족, 영주들이 거느리는 싸제 군대에 소속된 병사를 가리킬 때에나 쓰일 법하다. 국가 소속의 정규 상비군과는 어울리지 않는 개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연의 일치이기라도 한지, 영어로도 이병/일병은 private이다. 그래서 私가 더욱 잘 연상되는 것 같다.
같은 일을 하는 조직이어도(기업, 학교 등..) '사'보다는 '공'이 붙은 게 더 안정적이고 뽀대 나는 건 만고불변의 진리이다. 그래서 영어의 private은 public과 반대로 '사사로운, 사적인'뿐만 아니라 '평민 양민인, 급이 제일 바닥인'이라는 의미가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한편으로 common은 '공통의, 공공의'라는 아주 public스러운 뜻이 있는데 거기서 부정적인 뉘앙스가 가미되어 '속된, 품위 없는, 졸렬한'이라는 뜻도 있다. private하고는 방향은 다르게 시작했는데 파생 의미가 비슷한 방식으로 꼬여서 형성된 것 같다.

5. 영어 이니셜

세상엔 영어 이니셜들이 굉장히 많이 쓰이고 있는데...
(1) 먼저, 영어 단어들로 구성되었지만 영어 어순대로 배열되지는 않은 이니셜도 있다. 어째 표준과 관련된 이니셜들이 그런 편인데.. ISO와 UTC가 대표적인 예이다. 영어 어순대로라면 각각 IOS와 CUT가 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ISO는 그나마 국제 표준화 기구라는 한국어 어순과 맞는 편이지만, UTC는.. 조금 므흣하다.

(2) 명칭의 이니셜을 구성하는 단어들이 훗날 바뀌었지만, 이니셜을 그대로 유지하고 오히려 새 단어를 이니셜에 맞춰 어거지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영상 매체의 이름인 VHS, DVD처럼 말이다.

(3) 또한, 이니셜이 자음-모음 순으로 어째 읽기 쉽게 배열되어서 그 자체가 연달아 읽는 단어처럼 되어 버리기도 한다. UNICEF, UNESCO 같은 국제 기구 명칭, 그리고 레이저, 레이더 같은 과학 기술 용어가 그 예이다.

6. 기관과 기관장의 명칭

동사무소는 한때 주민센터이다가 행정복지센터라고 더 복잡하게 이름이 바뀌었는데, 여기를 대표하는 최고 수장은 동장 또는 읍장, 면장이다.
시청/군청부터는 건물 뒤에 '청'이 붙기 시작한다. 시를 대표하는 최고 수장은 비교적 직관적인 '시장'이지만, 군의 최고 수장은 군장이 아니라 '군수'이다. 어감상 말을 따로 저렇게 만들었는가 보다.

그리고 도청의 최고 수장은 '장'도 '수'도 붙지 않고 '도지사'이다. 다들 어디서 유래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관성 없고 참 제멋대로라는 생각이 든다.;;
국회의원과 대통령이 전국구라면 시 의원과 시장은 지역구 개념인 거겠지? (지방자치)
그럼 국무총리는 뭐고 의전 서열이 어떻게 되는 건지.. 중학교 사회 공부를 다시 해 보게 된다.

Posted by 사무엘

2019/07/12 08:32 2019/07/12 08:32
,
Response
No Trackback , No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639

1. 옛날 언어의 간결함

예전에도 한번 언급한 적이 있었지만.. 세상에 생명의 기원보다도 더 알 수 없는 게 바로 언어의 기원이다.
먼 옛날, 최초의 언어가 어떠했는지는 문헌 기록도 음성 녹음도 없고, 아예 문자조차 없으니 제대로 알 길이 없다. 이런 게 저절로 우연히 생겨날 수는 없다고 믿어 버리면 증명도 반증도 할 수 없고 그냥 개인 신념의 영역이 된다.

언어별로 차이가 있긴 하겠지만, 대체로 고대 언어는 현대의 언어보다 문법이 더 복잡하고 불규칙도 더 많고, 사용되는 음운도 더 다양했으리라고 추측된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반대로 옛날 언어가 어휘나 표현이 더 간결한 것도 있었다.

(1) 예를 들어.. 영어 고어에는 before보다 더 짧은 ere(air, heir와 같은 '에어')가 있고.. enemy보다 더 짧은 foe가 있다. 그리고 뻔한 문맥에서 목적어 같은 걸 생략도 많이 했다. 아래의 KJV 구절을 살펴보자.

  • Abimelech king of Gerar sent, and took Sarah. (창 20:2)
  • Bring these men home, and slay, and make ready. (창 43:16)

'사람을 보내어'인데 그냥 sent를 자동사인 듯이 썼으며
'가축을 잡아서'인데 그냥 slay 한 단어로만 씨크하게 표현했다.

(2) 그런데 영어 이전의 성경의 언어였던 히브리어· 그리스어 레벨에서는 이런 자비심 없는 축약이 더 많았던 모양이다.
그래서 KJV 영어 본문에서 이탤릭체 처리된 단어들을 찾아보면.. 없으면 단순히 문법적으로만 어색하거나, 아까 사람 내지 가축처럼 어렴풋이 유추 가능한 정도를 넘어서 뜻이 완전히 달라지는 것들도 있다.

시 12:5 끝부분의 "I will set [him] in safety [from him that] puffeth at him."에서 []로 둘러싸인 부분이 전부 이탤릭이다. 도대체 히브리어 원어 원문은 얼마나 암호처럼 짧게 기록됐길래 영어에서 저런 목적어와 수식어를 창작해서 집어넣어 줘야 했는지가 궁금해진다. (물론 KJV 외의 타 성경들도 동일하게 저렇게 번역했음)

(3) KJV는 they라는 짤막한 단어를 3인칭 복수 대명사로도 쓰고, people 같은 '일반적인 사람' 용도로도 쓴다. 이것 자체는 현대 영어에서도 존재하는 관행이지만, KJV는 중의성· 모호성이 느껴지기도 할 정도로 they를 즐겨 쓰는 감이 있다.
왕하 19:35를 보면.. "they가 아침에 일어나 보니 they는 모두 죽은 송장이 되어 있었더라"처럼.. 서로 다른 대상에 대해서도 똑같은 they가 쓰인다.

출 20:13 "살인하지 말라"도 타 성경들은 murder 정도를 넣었지만 KJV만은 그냥 짧은 kill이다.

(4) 영어를 비롯한 성경 언어 쪽 얘기가 길어졌는데, 반대편의 한국어도 마찬가지이다. 훈민정음 서문이라든가 이 윤탁 한글 영비 같은 걸 보면.. "영한 비라. 거운 사람은 재화를 입으리라" 말이 굉장히 짧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요즘 같으면 못해도 "이것은 신령한 비입니다. 이 비를 무너뜨리는 사람은 재앙을 당할 것입니다" 정도로는 풀어서 쓸 텐데? 띄어쓰기가 없는 고어체를 감안하더라도 주어 생략에다 '거우다?'라는 짤막한 단어.. 뭔가 현대 한국어의 화자는 알지 못하는 옛 한국어의 면모인 것 같다.

2. 의존명사

한국어에는 의존명사라는 게 있다. '리', '수' 같은 건 분명 고유한 뜻과 뉘앙스가 있긴 한데, 그게 구체적으로 뭔지를 설명해 보라고 하면 난감하다. 얘들은 '-ㄹ' 꼴로 활용된 용언으로부터 수식을 받은 바로 다음에만 등장하며(그럴 리, 할 수..), 특히 '리' 다음에는 '없다'만 쓰인다.

어처구니, 어이 같은 단어는 그런 통상적인 의존명사에 속하지는 않지만.. 뒤에 붙는 용언이 답정너 너무 뻔하고 다른 형태로 쓰이는 일이 없다시피하다. 그래서 '어이없다, 어처구니없다'가 그냥 한 단어로 인정될 지경이다. '쓸데없다'처럼 말이다.

한국어 맞춤법과 띄어쓰기가 너무 어렵고 일관성이 부족하다고 원성이 자자하지만.. 한국어가 단어와 형태소의 경계를 구분하는 게 그만치 어렵다. 이것 때문에 사전 편찬자와 국어 문법학자들도 고충이 많다. 용언에 극도로 제한된 뻔한 형태로만 활용되는 불완전동사가 있는 것만큼이나(더불다, 가로다, 달다) 체언에는 아주 제한된 형태로만 쓰이는 의존명사 같은 물건이 있는 셈이다.

그런데.. 이렇게 제한된 형태, 관용구 형태로만 쓰이는 명사가 영어에도 있는 것 같다. 유익· 편의라는 뜻인 sake 내지 behalf 같은 단어 말이다. 얘들은 오로지 one's sake, ?n behalf of .., for the sake of 형태로만 쓰이고 단독 내지 다른 형태로 쓰이는 일이 없다. 이것 말고 다른 예도 있지 싶다.

3. 일관성을 찾을 수 없는 혼돈의 카오스

(1) 외래어 표기법의 노답 문제

  • 자음 음절 경계: 플룻 플루트 로보트 백 태그..;; 답이 없다. ㅡ는 음가가 참 불분명한 모음이다.
  • 장모음: 윈도우 보우 리모트 보트 스노우.. [ou]라는 영어 장모음은 u를 무시하고 '오'로만 표기하는 게 원칙이지만 snow나 window 같은 단어는 여전히 '우'까지 표기한 형태가 더 익숙하다.
  • 모음 경계: washer는 와셔일까, 워셔일까? ㅏ~ㅓ, ㅗ~ㅓ 경계가 의외로 헷갈린다.

(2) 한글 맞춤법 및 발음에서 노답 문제

  • 사잇소리와 사이시옷: 비빔밥/볶음밥 중에서 왜 전자만 밥이 '빱'으로 바뀔까? 물고기/불고기 중에서 왜 전자만 '꼬' 소리가 날까? '김밥'의 발음은 밥과 빱 중에 무엇이 더 바람직할까?
  • 띄어쓰기: 한자어 복합명사들의 띄어쓰기부터가 아주 모호하다. 또한, 순우리말 중에도 '잘 만 듯 못' 요런 어절들은 단어도 되고 접사도 되기 때문에, 뒤에 '+하다' 같은 게 이어질 때 띄어쓰기 여부가 아주 구리다.

4. ㅐ와 ㅔ의 발음

이건 한국어 음운 체계에 남아 있는 희대의 미스터리이다.
원래 '아 다르고 어 다르다'만큼이나, I와 you를 구분할 정도로 완전히 다른 소리였는데 어쩌다가 요즘 사람들이 절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소리의 쌍으로 전락했나 모르겠다. 서로 다르게 발음도 못 하고, 알아듣지도 못한다. 장음· 단음 구분이 망가진 것처럼 말이다.

요즘 통용되는 그 소리는 원래의 ㅐ도, ㅔ도 아닌 중간의 소리라고들 한다. 그런데 그 소리가 영어나 일본어에서도 쓰이는 보편적인(?) 소리인 건지도 모르겠다.
ㅐ/ㅔ뿐만 아니라 ㅒ와 ㅖ의 구분도 완전히 사라졌으며, ㅙ/ㅞ/ㅚ도 서로 변별력을 완전히 상실했다. 덕분에 재련과 제련, 결재와 결제, 제제와 제재 같은 한자어의 표기도 굉장히 헷갈리게 되었다.

한글이 처음 창제되던 당시에는 저 모음들이 어떻게 구분되어 발음되었는지.. 몇백 년 전 사람을 만나서 물어 보고 싶기라도 한 심정이다.

5. 사라져 가는 순우리말

까닭(이유), 달걀(계란), 뭍(육지, 땅) 같은 순우리말 단어는 한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방송과 도서에서 종종 접할 수 있는 단어였는데 갈수록 용례가 줄어들고 있는 게 보인다. 특히 '뭍'의 경우, 옛날에 전래동화 책에서 봤던 기억이 남아 있기도 하지만 이제는 사전에서나 찾을 수 있는 단어로 전락했다.

이런 식으로 '미덥다, 미쁘다, 미련하다' 같은 단어도 사라지는 것 같다. 어째 다 '미'짜로 시작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콩팥은 신장에 밀려서, 허파도 폐에 밀려서 앞날을 장담하기 어려워 보인다.
지금 세대는 알아듣기라도 하지만 다음 세대 애들한테는 완전히 듣보잡이 되겠지?

Posted by 사무엘

2019/04/03 08:35 2019/04/03 08:35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1604

« Previous : 1 : 2 : 3 : 4 : 5 : 6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Site Stats

Total hits:
2671920
Today:
152
Yesterday:
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