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evious : 1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 13 : Next »

1. 라틴 알파벳의 위엄

오늘날 세계 문자들 중에 라틴 알파벳은 인지도와 실용성 면에서 단연 절대적인 '갑'임을 부정할 수 없다. 라틴 알파벳은 다음과 같은 여러 장점과 유리한 점이 있다.

  • 어느 한 국가나 민족만의 문자가 아니다. 물론 나라의 정서법마다 알파벳을 읽는 방식에 대동소이한 차이가 있어서 혼동스러운 면모도 있지만, 어쨌든 가장 국제적이다.
  • 음소문자여서 나름 다양한 언어의 말소리에 대응하기 유리하다. 또한 풀어쓰기를 하는 구조여서 언어의 다양한 음절 구조에 대응하기에도 유리하다.
  • 글자 수가 적어서 간편하며 활용하기도 쉬운 구조이다. 가령, 세계의 문자들 중에 기계식 타자기로도 만들고 또 겨우 8*8 크기의 비트맵에 각 글자의 모양을 다 담을 수 있는 문자는 얼마 되지 않을 게다.
  • 각각의 글자들이 들쭉날쭉하고 개성이 뚜렷해서 한데 뭉쳤을 때 시각성이 뛰어나며, 기호로서의 역할도 하기 좋다.
  • 타이포그래피 관점에서는 문자 차원에서 대소문자 구분이 존재하고, 또 이탤릭체 같은 같은 방식으로도 호소력을 높일 수 있다.

물론 라틴 알파벳은 표음· 음소문자라는 취지와는 달리 현실은 시궁창으로 언문일치가 개떡이며, 구조적으로 모음 글자가 너무 부족하다는 한계도 있긴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틴 알파벳은 신경 써야 하는 글자 수가 겨우 수십 개에 불과하기 때문에, 개개의 글자가 그야말로 왕이며, 서체 디자이너는 각 글자에 대해 완전 올인 몰빵 최적화가 가능하다. 이게 개인적으로 가장 부럽게 느끼는 점이다.
가령, A~Z까지 아주 정교하게 테스트된 수제 힌팅 프로그램을 집어넣는 여유를 부리는 건 이미 20여 년 전에 트루타입 글꼴이 처음으로 도입됐을 때부터 있었던 일이다.

그리고 요즘 글꼴이라는 건, 그저 코드값별로 고정된 글자의 폭과 벡터 이미지만을 기술하는 static한 데이터의 집합이 아니다. OpenType 기술 규격 덕분에 자기 옆에 무슨 글자가 오느냐에 따라서 다른 모양을 제공할 수 있고(GSUB), 폭을 미세하게 달리할 수도 있다(커닝.. 이게 개념적으로 더 확장되어 GPOS).

알파벳 정도야 문자 개수를 제곱해 봐야 몇백~몇천 정도까지의 조합밖에 안 나오니, 그 정도는 감당 가능하다. 한글이 '가' 할 때 ㄱ과 '고'나 '강' 할 때 ㄱ의 모양이 서로 달라지는 게, 알파벳으로 치면 W 다음에 A가 올 때와 W 다음에 P가 올 때의 간격을 미세하게 달리 설정하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 무슨 뜻인지 아시겠는가?

이런 기술은 이런 게 반드시 있어야만 정서법 차원에서 제대로 표시가 가능한, 복잡한 외국어 문자(complex script. 태국어나 아랍어 문자 같은)를 위해서 개발된 것이다. 그런데 라틴 알파벳은 원래 그런 기술의 도움을 받아야 할 정도로 복잡한 문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더 정교하고 아름다운 타이포그래피를 위해 서체 디자이너가 그런 최신 기술까지 적용하여 시쳇말로 가히 잉여짓을 하고 있는 것이다. 가령, 라틴 알파벳도 아주 정교하고 미려한 필기체 중에는 그렇게 다이나믹한 표시 조건이 필요한 것도 있으니 말이다.

2. 반대편 극단에 있는 한자와 가나

이렇게 소수의 유한한 글자들이 왕인 라틴 알파벳 문화권에 비해, 글자 수가 엄청 많은 CJK는 상황이 굉장히 다르다.
한자는 전세계의 문자들 중 유일하게 '열린-_- 집합'인 무지막지한 문자 시스템이다. 덕분에 가변폭-_-이라든가 글자간의 다이나믹한 상호작용 같은 개념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도 각각의 글자 자체가 워낙 그림처럼 생겼기 때문에 그 특성을 살린 타이포그래피가 존재한다.

거기에다 일본어 정서법은 한자에다가 자기네만의 간단한 표음문자가 더해져서 상황이 또 달라진다.
일본어는 입력하기가 굉장히 복잡하고 어려운 축에 든다. 그리고 '가나'라고 불리는 고유 문자는 구조적으로 불완전하며 한글에 비해 스케일이 작고 표음 능력에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일본어 정서법은 가나 전용이 현실적으로 무리이다. 한자를 쓰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며, 한글하고는 분명 상황이 다르다.

그러나 이런 형태가 단점만 있는 건 아니다. 굵직한 의미를 강조하는 한자와, 비교적 단순한 모양인 가나가 어우러지면 그것도 또 개성이 있으며 시각성이 살아나서 읽기도 꽤 좋다. 유식한 용어를 동원하자면 function word와 content word가 딱 잘 구분돼 보인다.
또한 입력이 어려운 대신, 한번 입력된 일본어 문장은 문자 차원에서 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같은 적지 않은 양의 NLP 정보가 담기기 때문에, 형태소 분석이나 번역을 의외로 유리하게 만들기도 한다. 히라가나-가타카나 구분이 라틴 알파벳으로 치면 대소문자에 얼추 비슷하게 대응한다고 볼 수도 있다(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3. 한글은 멀티 패러다임

자, 이렇게 라틴 알파벳 쪽의 정황과 한자 및 일본어 정서법의 정황을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세종대왕이 창제한 그 우수하고 독창적인 문자라는 '한글'을 사용하는 우리는 상황이 어떨까?

한글과 관련해서 우리가 절대로 간과해서는 안 되는 점은, 한글은 단일 패러다임만으로 설명이 되지 않는 문자라는 점이다. 단적인 예로, 단일 패러다임으로 설명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한글이 총 몇 자냐는 질문에 24자부터 시작해 67자, 11172자, 심지어 160여만 자 같은 사람마다 뒤죽박죽인 대답이 나오는 것이다. 각각의 숫자가 한글의 규모를 어떤 관점에서 측정한 것이겠는지는 독자 여러분이 알아서 생각해 보시라.

차라리 한자는 총 몇 자냐는 질문에 대해 “아무도 모른다”라는 대답이라도 곧바로 나오지, 한글은 대단히 특이한 경우가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유니코드에는 고육지책으로 한글이 자모와 글자마디가 모두 등록되어 있으며 이것은 내가 보기에 나쁜 선택이 아니다. 그러나 한글을 바라보는 패러다임의 대립은 심지어 컴퓨터 전문가 사이에서도 거의 종교적인 신념의 대립에 가깝다. 이 말이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으면, 본인에게 개별적으로 물으면 대답해 주겠다.

한글이 이런 유별난 위치에 있는 이유는 두 말할 나위도 없이 초-중-종성을 모아서 한 글자를 이루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만약에 한글이 IPA의 지위를 노리는 범용 음성 부호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다면, 굳이 모아쓰기를 할 필요가 없다. 로마자의 예에서 볼 수 있듯, 풀어 쓰는 게 자음이나 모음의 중첩 같은 각종 외국어들의 변화무쌍한 음운 구조의 대처에 더 유리하다. 지금의 모아쓰기 체계는 모음의 발음이 분명하고 받침이 자주 등장하는 한국어의 음운 구조에 좀 더 최적화/로컬라이즈 전략을 선택한 귀결이다.

그래서 한글은 한국어의 음절 구분이 분명하며 시각성과 개성이 더 뛰어난 문자가 되었으며, 구조적으로는 알파벳 같은 계열보다 한자 계열과 좀 더 비슷한 형태가 되었다. 이 선택은 매우 큰 장점과 개성과 자부심을 가져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우리가 기술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도 많이 만들었다. 로마자처럼 소수의 글자를 최적화하고 품질을 다듬는 데 투자될 수 있는 기술과 노력이, 한글 조합 그 자체의 문제만을 푸는 데 다 소비되어 버리게 되었다. 입력이든 출력이든 모두에서 말이다.

다시 말해, 1만 개, 1백만 개, 심지어 1억 개의 글자를 조합해서 생성할 수 있다고 하는 한글의 그런 잠재성은, 알파벳처럼 개개의 글자마다 완전 정교한 힌팅, 커닝, 이탤릭, 필기체 따위로 최적화가 가능한 면모와 기술적으로 공존할 수가 없거나, 최소한 상호 조화시키기가 대단히 매우 어렵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모아쓰기라는 걸 현실에서 반드시 절대적으로 일방적인 장점이라고만 간주해도 되는 것일까?

그래서 옛날 한글 선각자 중에는 로마자의 직관적인 기계화 기술과 먼치킨 급의 타이포그래피 최적화에 너무 한이 맺힌 나머지, “우린 안 될 거야 아마”라는 비관적인 결론으로 빠져서 아예 <글자의 혁명> 급으로 한글을 풀어쓰기 형태로 마개조할 생각을 한 분까지 있었다. 다중 패러다임이 독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물론 그 의도는 이해하지만 그건 너무 과격하고 비현실적인 주장이다. 개개의 한글 낱자는 마치 일본어 가나만큼이나 완성도가 부족하다. 가나가 한자와 섞어 쓰라고 만들어진 문자라면, 한글 낱자는 모아 쓰라고 만들어진 문자인 것이다. 한글 낱자만으로 풀어 쓰려면 진짜로 모음 ㅡ라면 U처럼 바꾸는 식으로, 글자 자형을 좀 더 변별성 있게 고쳐야 하고 맞춤법까지 대대적으로 손을 봐야 한다. 위험 비용이 너무 클 뿐만 아니라, 풀어쓰기를 실제로 오랫동안 시행해 본 분의 증언에 따르면, 한글 풀어쓰기의 시각적 능률은 모아 쓴 한글 음절을 도저히 따라갈 수 없었다고 한다.

4. 이제는 한글 자체의 고유한 특성을 살려서 입출력 기술을 발전시켜야

결국 이 모아쓰기에 따른 다중 패러다임은 우리가 한글을 고유 문자로 사용하는 한, 우리가 언제까지나 지고 가야 하는 숙제이다. 예전에 컴퓨터의 성능이 열악하던 시절에는 한글 같은 복잡한 문자를 심을 길이 안 보여서 풀어쓰기라도 생각해야 할 것처럼 상황이 암울했다. 그보다 상황이 약간 나아졌을 때에도 겨우 일본의 자국 문자 로컬라이즈 방식을 모방한 2바이트 한글 코드에다 전/반각 문자 따위밖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기술적인 제약이 없다. 유니코드에, 화려한 OpenType 기술까지 완비되어 있는데 뭘 더 바라겠는가? 한글은 기계화가 유리한 문자인 건 명백한 사실이다. 그러나 딱 그거 하나만 믿고, 기계화 수준이라는 게 과거의 타자기 내지 2바이트 한글 코드 시절의 기술적 수준에서 멈춘 채 발전이 정지해 있다. 그런 낙후된 기술 수준은 한글에서 제한된 일부 패러다임밖에 수용을 할 수 없다.

일례로 입력부터 먼저 살펴보면, 15년도 더 전의 윈도우 95의 마소 한글 IME의 설정 대화상자와, 지금 윈도우 8의 한글 IME의 설정 대화상자는 제공하는 기능이 차이가 거의 없다. 이거 좀 문제가 있다.
어차피 조합이 필요하고 IME 같은 계층이 필요하다면 그걸 살려서 IME 계층이 있어야만 할 수 있는 일을 추가로 많이 지원해 줘야 한다.. 이것은 내가 <날개셋> 한글 입력기를 통해 어느 정도 기술적으로 실현시켰으며, 이 분야의 발전에 대한 필요성은 내 석사 논문에다가도 충분히 언급해 놨다.

출력 쪽도 마찬가지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라틴 알파벳은 적당히 꼬불꼬불하고 스스로 들쭉날쭉해서 보기가 좋으며, 일본어는 한자와 가나가 어우러져서 보기 좋다. 그렇다면 한글은 단일 종류의 문자가 빽빽하게 모였을 때 어떤 미를 추구해야만 할까?
이제는 한글도 한자 중심의 획일적인 정사각형 타이포그래피를 벗어나서 커닝도 생각하고, OpenType 기술을 적극 활용한 다이나믹 글꼴이 더 많이 나와야 한다. 한글은 굳이 한자가 섞일 필요가 없는 stand-alone, self-contained 문자이기 때문이다.

한글은 각 낱자는 직선 아니면 원밖에 없어서 기하학적으로 의외로 무척 추상적이고 단순하다. 그러면서 초중종성의 개성이 아주 분명하니, 한자나 로마자와는 달리 각종 로고타입이나 픽토그래픽으로 형상화하기가 좀 까다로운 면모가 있다(여전히 그림이나 아이콘 같아 보이지 않고, 글자처럼 보임). 그러나 그런 식으로 모아 쓰는 한글의 특성 때문에 오로지 한글에만 적용할 수 있는 글꼴이 나올 수도 있다. 모아쓰기를 그저 거추장스럽게 한글 자모를 정사각형에다가 예쁘게 끼워 넣는 overhead, burden으로만 받아들이지 말고 좀 더 창조적으로 활용할 수는 없을까? 이것이 내가 현재 고민하고 있는 분야이다.

요컨대,

  • 한글을 굳이 여타 문자와 더 비슷하게 만들어서 단점을 상쇄하려 하기보다는, 한글의 개성과 장점을 더 살린다. “넌 그걸 할 수 있냐? 난 그걸 못 하는 대신이 완전히 새로운 이걸 할 수 있다. 놀랍지?”를 지향한다는 뜻이다.
  • 한국어의 특성은 배제하고 오로지 한글의 형태 자체만을 생각한다.

이것이 내가 전통적으로 생각해 온 연구 방향이다. 입력기도 그렇고 글꼴도 그렇다.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구 결과물이 다 나온 뒤에 빵! 터뜨려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비밀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렇게 심하게 거창한 건 아니고.. <날개셋> 한글 입력기도 겨우 1.x~2.x 시절에는 아이디어만 새로웠지, 기술적으로는 그다지 거창하지 않았으며 허접함 그 자체였었다.

이런 식으로 입력과 출력 모두에서 한글의 기술적 가능성을 한 걸음 확장하는 시도를 골고루 달성하고 나면, 그것이 대중적으로 성공하든, 아니면 너무 과격하거나 시장성이 없어서 실패하든 난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서 태어난 보람을 느낄 것이고 죽어도 여한이 없을 것 같다.

Posted by 사무엘

2013/03/27 19:38 2013/03/27 19:38
,
Response
No Trackback , 13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811

윤곽선 글꼴과 아이콘 이야기

1. 윤곽선 글꼴의 기술 디테일

옛날에 인쇄가 물리적인 활자로 행해졌고 컴퓨터에서도 비트맵 글꼴이 대세이던 시절에는, '폰트 한 벌'이라 하면 여기에는 서체뿐만 아니라 고정된 크기라는 개념까지 포함되어 범위가 더욱 제한적이었다.
진짜 말 그대로 활자 한 벌이다. 그 폰트가 제공하는 서너 종류의 크기로만 글자를 쓸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컴퓨터용 서체의 경우 화면용과 인쇄용이 따로 있기도 했고 말이다. 한 서체를 나타내는 그런 각 크기별 폰트들을 모두 통틀어서 자족(font family)이라고 불렀다.

오늘날처럼 트루타입, 오픈타입 같은 베지어 곡선 기반의 윤곽선 폰트 기술이 보편화된 관점에서 보면, 다양한 크기를 얻는 건 너무 당연하고 하나도 특별할 게 없는 특성이지 않은가. 과거의 관행은 상상조차 하기 어려운 것 같다.
허나 과거에는 오히려 한 폰트가 혼자서 다양한 크기의 font family의 역할을 다하는 게 보통일이 아니었다. 그래서 글꼴 대화상자를 보면 트루타입 글꼴을 선택했을 경우 “이 글꼴은 트루타입 글꼴로, 화면과 프린터에서 동일한 글꼴이 사용됩니다”가 떴었다.

윤곽선 기술을 통해 크기 문제가 해결되고서야 영문 서체의 경우, font family는 다양한 크기의 집합이 아니라 bold나 italic 같은 변형의 총칭을 일컫는 개념으로 변모했다. 트루타입 글꼴이 도입되기 전엔 bold/italic은 그냥 원글꼴을 산술 연산으로 변형해서 구현했을 뿐, 별도의 글꼴로 만든다는 걸 생각하기 어려웠다. 조합 가짓수가 감당을 못 할 정도로 너무 많아지니 말이다.

인간이 쓰는 글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생각보다 꽤 정교한 벡터 드로잉이다. 수많은 윤곽선 글꼴 자형을 화면에다 래스터라이즈 하려면 비트맵 글꼴만 상대하면 될 때보다 훨씬 더 많은 계산량과 메모리가 필요하다. 쉽게 말해 게임에서 2D 스프라이트가 3D 폴리곤으로 바뀌는 것과 비슷하다.

(지금이 아무리 컴퓨터의 성능이 좋아져도 3D 폴리곤으로 옛날의 스타크래프트 같은 수십· 수백 마리의 저글링 개떼 블러드를 구현하는 건 좀 찰진 맛이 안 난다. ㄲㄲㄲㄲㄲㄲ 또한 둠 2에서 둠 3으로 넘어가면서 가장 먼저 사라진 게, 예전 같은 광활한 개방된 맵에서 쏟아져 나오던 몬스터 개떼들이지 않던가. 뭐 어쨌든..)

그래서 자동차에 변속기가 필수인 것처럼 윤곽선 글꼴을 찍는 시스템은 운영체제든 무슨 프로그램이든간에 글꼴 캐시(font cache)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쉽게 말해 자주 쓰이는 윤곽선 글꼴은 래스터라이즈된 비트맵 결과를 미리 저장해 놓고 재사용하라는 소리다.

제아무리 강한 엔진이라도 3~4단 기어에서 바로 출발 가능한 자동차는 없듯, 제아무리 날고 기는 고성능 폰트 엔진이라도 글꼴 캐시 없이 윤곽선 글꼴을 비트맵과 별 차이 없는 속도로 찍을 수는 없다.
폰트 캐시는 각종 운영체제나 소프트웨어가 잡아먹는 메모리에서 생각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PC의 성능이 시원찮던 1990년대 중반에는 운영체제의 한글판과 영문판의 요구 시스템 사양의 차이를 만들 정도였다.

2. 힌팅

윤곽선 글꼴을 찍는 시스템은 이것만으로도 굉장히 복잡해지는데 또 하나 간과할 수 없는 것은, 바로 저해상도에서 심각하게 보기 안 좋아지는 품질 문제였다.
수백~수천 픽셀의 EM 크기에서 만들어진 매끄러운 윤곽선 패스를 수~수십 픽셀대로 축소하여 래스터라이즈하다 보면 획이 빠지거나 뭉개지거나 굵기가 뒤죽박죽이 되어 버린다. 컴퓨터의 래스터 디스플레이는 연속적인 실수가 아니라 유한한 정수 개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으니 말이다.

요즘 유행하는 서브픽셀(ClearType)이라든가 그레이스케일은 한 픽셀에 담을 수 있는 정보량 자체를 흑백보다 더 늘려서 글자를 좀 더 부드럽게 보이게 하는 anti-aliasing 방법이다. 그러나 그 전에는 monochrome 디스플레이에서도 최대한 글자가 예쁘게 래스터라이즈 되게 하려면...

일단, 싱거운 결론이지만 이것은 원론적으로 100% 완전한 해결이 불가능한 문제이다.
래스터라이저를 아무리 귀신같이 잘 만든다 해도 이 획과 저 획이 어느 크기로 scale했을 때 간격이 같고 굵기가 같아야 할 기준을 스스로 찾을 수는 없다. 그 기준 자체가 아주 모호하고 인위적이기 때문이다.

결국, 서양에서 만들어 낸 것은 '힌팅'이라고 불리는 기술이다.
트루타입 폰트의 경우 이 힌팅이 특허로 등록되어 있었을 정도로 고급 핵심 기술이었다.
폰트 래스터라이저의 동작 알고리즘을 다 안다고 가정하고, 특정 크기에서 특정 글자는 윤곽점을 빼거나 추가하거나 위치를 옮겨서 인위적으로 이런 식으로 래스터라이즈되게끔(= 사람 눈에 보기 좋게) 윤곽선을 변조한다.

쉽게 말해 부가 정보를 덧붙인다는 뜻이다. 그래서 명칭도 힌트, 힌팅이다. 이건 100% 자동화를 할 수 없으며 장인의 정교한 수작업이 동원해야만 넣을 수 있다.
Times New Roman 같은 서체를 6~11포인트 크기로 anti-aliasing이 없이 보면 정말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비트맵을 만든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모양이 예쁜 걸 볼 수 있는데, 그건 내장 비트맵이 아니라 힌팅만으로 주어진 윤곽선을 변형하여 만들어 낸 결과물이다. 래스터라이저의 범용적인 알고리즘만으로 만들 수 있는 결과물이 결코 아니다!

오늘날은 픽셀 자체를 anti-alias하는 기술이 발달하여 예전보다는 힌팅의 필요성이 줄어들었지만, 그래도 힌팅을 해 주면 윤곽선의 제어점이 래스터라이즈 기준 지점에 더 가까이 옮겨지기 때문에 뿌옇게 찍힐 것이 더 깔끔하고 배경과 글자 사이가 더 높은 채도로 찍히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화면의 해상도까지 예전의 도트 프린터 수준으로까지 올라간다면 힌팅은 정말로 할 필요가 없고 그냥 anti-aliasing만으로 충분한 지경이 될 수 있다. 힌팅은 마치 옛날의 256색 팔레트 제어 기술만큼이나 legacy로 전락하는 날이 올지도 모른다.

그리고 한글이나 한자처럼 문자 집합의 크기가 커서 일일이 수제 힌팅을 도저히 줄 수 없는 문자는.. 애시당초 크기별로 내장 비트맵을 일일이 만들어 넣는 게 속 편하다. 뭐 요즘은 그 관행도 '맑은 고딕'을 시작으로 서서히 변하고 있긴 하지만 말이다.

3. 아이콘과 아이콘 패밀리

글꼴이 비트맵에서 윤곽선으로 넘어가면서 겪은 변화와 비슷한 맥락의 변화를 겪고 있는 곳이 또 있으니, 그건 바로 아이콘이 아닌가 싶다.

원래 응용 프로그램의 아이콘은 32*32 16컬러 크기만 있었다. 그러던 것이 Windows 95 이래로 16*16이 활발히 쓰이기 시작해서 메뉴나 작업 표시줄 같은 데서 좋은 인상을 주려면 오히려 16*16을 심혈을 기울여 잘 만들어야 하는 지경이 되었다. 아이콘 하나 때문에 Windows API에는 윈도우 클래스 등록용으로 WNDCLASSEX라는 구조체가 새로 만들어졌고 RegisterClassEx 함수가 도입되었다.

그러다 아이콘의 색깔은 256색 이상으로 늘고, 윈도우 XP에서부터는 트루컬러 정도가 아니라 알파 채널이 들어간 32비트 색상 아이콘이 등장했다. 덕분에 아이콘 하나도 크기가 수만 바이트로 늘고 프로그래머가 대충 발로 만들 수 없는 물건이 되어 버렸다. Visual Studio IDE는 최신 2012버전까지도 32비트 아이콘은 내용을 볼 수만 있지 고칠 수는 없다. 전용 그래픽 에디터가 필요해졌다.

그리고 윈도우 비스타부터는 32*32보다도 더 큰 48*48이 표준 크기로 또 추가되고, 아예 크기가 세 자리 수로 진입한 png 이미지가 아이콘 안에 들어가는 경지가 되었다. 이젠 아이콘 이미지도 예전 관행처럼 압축 없이 저장했다간 크기가 너무 커지기 때문이다.
XP까지만 해도 수만 바이트에 불과하던 간단한 메모장 프로그램이(notepad.exe) 별로 기능이 추가된 것도 없는데 비스타 이후부터 크기가 세 배로 뻥튀기 된 건 전적으로 아이콘 이미지 때문이다.

이렇게 아이콘의 크기가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아이콘은 역시나 본문 글자만큼이나 16*16의 작은 크기에서도 자신의 본분에 충실해야 한다. 이 점에서 아이콘은 글꼴과도 비슷한 구석이 있다. 단지, 크기뿐만 아니라 색상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차이가 있을 뿐.

요즘은 굳이 16색까지 갖출 필요는 거의 없어졌지만, 프로그램의 한 아이콘은 똑같은 컨셉이더라도 자고로 최소한 256색과 32비트 트루컬러, 그리고 16, 32, 48과 심지어 경우에 따라서는 24나 40 같은 그 중간 크기까지 따로따로 갖추고 있어야 한다. 옛날에 크기별로 비트맵 글꼴을 따로 만들던 거랑 정확히 같은 맥락이니, 그야말로 font family에 착안하여 icon family라는 말을 만들어야 할 판이다.

그리고 작은 크기일 때는 수제 도트 노가다 말고는 정말 답이 없다. 큰 이미지를 무식하게 축소시켰다가는 품질이 그야말로 개판이 되기 때문. 아이콘에 무슨 힌팅 같은 게 있는 것도 아니니 말이다.
오늘날 아이콘은 점점 벡터 이미지처럼 되고 있는 면모가 있지만, 그렇다고 도트 노가다가 필요하지 않은 것도 아니니 참 오묘한 존재가 되어 간다는 생각이 든다.

language bar에 표시되는 각종 IME 아이콘들의 경우, 담겨 있는 정보는 단색이더라도 무조건 32비트 알파 채널 이미지로 만들지 않으면 운영체제가 아이콘을 화면에 제대로 표시해 주지를 않는다(Vista 이상 기준). 아이콘 출력을 재래식 GDI가 아니라 GDI+ 같은 다른 계층으로 하는 것 같다.

Posted by 사무엘

2013/03/16 19:31 2013/03/16 19:31
, ,
Response
No Trackback , 3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807

명조(바탕)체의 역사

오늘날 인쇄물에서 본문용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압도적인 지위와 인지도를 자랑하고 있는 한글 서체는 명조, 혹은 바탕체이다.

너무 흔하게 보는 서체여서 잘 모를 뿐이지, 명조는 상당히 미려하고 잘 만든 서체이다.
붓글씨 계열과는 미묘하게 다르고 그렇다고 펜글씨 계열과도 완전히 같지는 않은 그 획과 삐침들은, 명조와 같은 계열로 곁들여져 쓰이는 알파벳이나 한자 서체와는 성격이 다르다. 예를 들어, 한자의 삐침을 그대로 적용한 한글 서체는 '순명조'라고 따로 있지, 일반적인 명조가 아니다. 한글의 명조와 조형이 가장 비슷한 계열을 찾자면 차라리 일본 문자의 명조인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이 명조체는 생각보다 역사가 굉장히 짧다. 역사가 100년도 채 안 됐다.
영문의 Times체가 1931년에 나와서 Garamond나 Bodoni에 비해서 굉장히 젊은 서체 소리를 듣는다만, 명조는 더 어리다.

한글 서체는 20세기 이전에는 전부 흔히 말하는 옛체든 궁서체든 목판체든 어쨌든 붓글씨 형태가 전부였다.
그러다가 일제 강점기 때 흔히 말하는 성경체(산돌성경체..!) 같은 궁서와 명조 사이의 짬뽕 과도기를 거친 후,
1939년에 소년조선일보를 통해 발표된 '박경서체'에서 그나마 명조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이 나왔다.
이제야 붓글씨 서체가 아닌 활판 인쇄용 한글 서체가 논의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 후 1958년에 국정 교과서 활자체로 지정된 '최정순체'가 오늘날의 모든 명조 파생형의 원조라 할 수 있는 명조다운 명조로 자리잡았다.
그리고, 한글 서체 디자인의 아버지인 최 정호가 원도를 그린 '동아출판사체'도 비슷한 시기에 나와서 해당 출판사에서 나온 책과 사전의 본문에 쓰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출처: 명조체의 역사를 한눈에 잘 정리해 놓은 곳

아하! 나 이 서체 기억한다. 'SM세명조'는 이 '동아출판사체'를 얇게만 고친 버전과 거의 일치한다. 어쩐지 비슷하더라. 옛날에 동아 출판사의 책들만 본문 서체의 모양이 약간 다른 게 이유가 있었다.
훗날 1991년에는 명조 계열 한글 표준 서체라는 타이틀로 '문화바탕체'가 나온다. 문화바탕은 동아출판사체 이래로 ㅈㅊ의 세로 꼭지가 오른쪽 끝이 아니라 중앙에서 시작하는 명조 계열을 계승했다.

1990년대엔 PC에서는 아래아한글이 보급한 한양 시스템 명조가 히트를 쳤으나, 출판계의 대세는 최 정호의 원도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SM계열 명조였다.
그러다 21세기에 들어서야 더 동글동글한 명조인 윤명조 시리즈가 유행을 주도하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는 중. 그 전에는 산돌이나 윤 디자인 서체들은 사실상 매킨토시에서나 볼 수 있었다. PC에서도 그런 서체들을 쓸 수 있게 된 건 빨리 잡아도 90년대 후반부터이다.

2000년대 이후부터야 최 정순의 명조 원도에서 더욱 변화를 준 나눔명조, 함초롬바탕 등 여러 본문용 서체들이 계속해서 발표되고 있는 중이다.

이런 우리나라에 비해, 북한은 서체 하나만 봐도 정말 시간이 수십 년 전에서 정지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북한 서체는 여전히 남한으로 치면 1970년대 같고, 틀에 박힌 동일한 조합 로직에다 글자 꼴만 양산형으로 바꿔서 찍어 내는 것 같다. =_=;;
글쎄, 이런 것도 우열이 아니라 문화적 상대성이라고 존중해 줘야 하는 건가..?

북한에서 쓰이는 본문용 서체는 청봉이나, 역시 우리나라 서체와는 형태가 살짝 다르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순명조에 해당하는 서체로 북한에는 '광명'이 있다.
남과 북은 글꼴도 서로 이질적으로 바뀌고 있는 셈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3/01/17 08:33 2013/01/17 08:33
, , ,
Response
No Trackback , a comment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784

몇몇 언어 현상 관찰 -- 下

* 上에서 이어짐

5. 동사와 형용사가 오락가락 하는 단어

영어의 correct/incorrect 및 right/wrong은 형용사이다. 그 반면, 국어의 '맞다/틀리다'는 영어에서 같은 의미에 대응하는 단어들과는 달리, 품사가 동사이다.

국어에서 동사와 형용사는 똑같이 활용이 일어나는 용언으로 분류되나, 서로 차이점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동사는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인 '-ㄴ-/-는-'이 붙을 수 있지만 형용사는 그렇지 않다. '맞다'는 동사이기 때문에 “맞은 답을 고르시오”라고 안 하고, “맞는 답을 고르시오”라고 쓰인다. 형용사인 '낮다'(low)는 '낮은 언덕'이라고 활용된다는 점을 같이 생각해 보시라.

그런데 '맞다'와는 달리 '알맞다'는 형용사이다. '맞다'일 때는 “맞는 답을 고르시오”인데, '알맞다'를 쓰면 “알맞은 답을 고르시오”라고 써야 한다는 뜻이다.
또한 '맞다' 역시, 동사임에도 불구하고 가끔 형용사처럼 즐겨 쓰이기도 한다. “A가 하니라 B처럼 하는 게 맞다”라고 표현하지, “B처럼 하는 게 맞는다”라고 쓰면 굉장히 어색한 건 나만의 생각인지?

반의어인 '틀리다'도 마찬가지여서 '틀리다', '틀린다', '틀렸다' 등의 쓰임이 오늘날은 굉장히 뒤죽박죽이 돼 있다. 그런 와중에 잘 알다시피 '다르다'의 의미까지 들어왔으니 카오스 그 자체. 최신 말뭉치를 통해 용례를 뽑아 보면 아주 가관이지 싶다.

동사와 형용사가 오락가락 하는 단어로 또 '웃기다'가 있다. 원래는 누구를 웃게 한다는 뜻의 사동사인데, '웃긴'이라고 하면 '우스운'이라는 형용사로 사실상 보편적으로 통용 중이기 때문이다. 이런 예가 국어에 좀 더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6. 영단어 발음의 한글 표기와 관련된 혼란

첫째, 음절 말미의 자음을 별도의 음절로 빼내느냐 마느냐 하는 문제가 있다. 내가 아는 한 규칙성 따윈 없으며, 진짜 case by case이다. 이 요소를 이용해 똑같은 영단어의 다의성을 구분하는 경우까지 있다.

타이프, 타입(type): 전자는 인쇄 분야 용어, 후자는 그냥 보통명사
네트, 넷(net): 전자는 스포츠 분야 용어, 후자는 컴퓨터 쪽 용어
태그(tag), 백(bag), 랙(lag), 개그(gag)
빅(big), 버그(bug)


둘째, 단모음을 읽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일본이나 영국, 심지어 독일의 영향을 받아서 A는 쿨하게 ㅏ로, O는 ㅗ로 표기하는 색이었지만, 지금은 미국식 발음에 더 가깝게 A는 ㅐ로, O는 ㅏ로 바꾸는 추세이다. 특히 단모음 O의 혼란이 심하다.

도트, 닷(dot): 전자는 그래픽 용어(도트 노가다, 도트 프린터), 후자는 인터넷 용어(닷컴, 닷넷 등)
톱, 탑(top) / 톰, 탐(Tom)
알레르기, 앨러지 / 게놈, 지넘 같은 예도..


셋째, 모음을 장모음으로 읽느냐, 단모음으로 읽느냐이다. 한 단어에 모음 두 개가 있을 때 첫 모음을 장모음으로 읽을지 단모음으로 읽을지 문제는, 로마자 알파벳을 쓰는 영어권에서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혼란으로 남지 싶다.

프로필, 프로파일(profile): 전자는 누구의 신상 정보인 반면, 후자는 정밀 검사를 뜻한다.
디렉트, 다이렉트(direct): 전자가 영어권에서 더 널리 쓰이는 발음이지만, DirectX는 유독 후자의 발음으로 불린다.
ASUS: 아수스, 에이서스
Radeon: 레이디언, 라데온
LATEX: 라텍스-_-, 레이텍. 전자 발음을 꿋꿋이 고집하는 분들도 국내에 여럿 계신다.


인도 식 영어에는 data도 라라 크로프트(Lara)를 읽듯이 자기네끼리 '다타'라고 읽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믿거나 말거나.

7. 숫자의 한자음에 존재하는 두음법칙

국어의 한자어 숫자 0(영)부터 9(구) 중, 유일하게 자음이 ㄹ이어서 두음법칙이 적용되는 숫자가 있으니, 바로 6(륙)이다. 얘는 원래 육이 아니라 륙이 맞는 독음이지만, 이게 어두에서의 대표음이다 보니 '륙'은 존재감이 굉장히 줄어들어 있다.

이번 <날개셋> 한글 입력기 6.7은 '숫자를 한글로' 텍스트 필터의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천 단위와 소숫점 단위에서 처음 등장하는 6은 '육'으로, 그리고 그 단위 안에서 그 뒤부터 등장하는 6은 '륙'으로 변환하게 했다.

숫자 하니까 떠오르는 여담이다만, 영어 number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양 내지 개수를 나타내는 '수'를 뜻하지만, 한편으로는 이산적인 개체를 식별하는 '번호'도 된다(telephone number).

성경에서 이런 이중적인 개념 때문에 중의적인 심상이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예가 바로 계 13:18의 그 이름도 유명한 짐승의 수 666임이 틀림없다.
666은 짐승의 number라고 하는데 수일까 아니면 일련번호의 성격이 더 강할까?

8. 접두사와 접미사

같은 접사나 단어라도, 단어나 문장의 앞에 등장할 때와 뒤에 등장할 때의 뉘앙스는 서로 달라진다. 예를 들어 女를 생각해 보자.

여형사(female)
형사녀(-ess 여성형 접미사)


요즘 '쩍벌남', '된장녀'처럼 남-녀를 꼭 접미사처럼 쓰는 게 유행이다 보니 위의 두 단어는 뭔가 쓰임이 달라져 있다. 접두사 '여'는 전통적인 female이라는 관형어 역할을 하는 반면, 접미사 '녀'는 웬지 단어 뒤에 붙은 여성형 접미사 역할을 하는 듯이 느껴지지 않는지?

난 영어에서 비슷하다면 비슷한 현상을 발견하는 게 뭐냐 하면 대명사에서 주격과 목적격의 관계 같다.
영어는 SVO형 언어라는 특성상, 도치 형태가 아니라면 주어는 언제나 문장의 처음에 나오고, 목적어는 언제나 문장의 끝에 등장한다. 그러다 보니 주격이 문장의 말미에 등장하는 게 되려 어색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바로 이런 심리 때문에 “나예요”가 It's I 대신, 구어를 중심으로 자꾸 It's me로 바뀌는 게 아닐까?
“He's taller than I.” 같은 문장도 자꾸 than me라고 말하고 싶어진다. I는 문장을 시작하는 단어이고 me는 문장을 끝내는 단어라는 편견이 내게만 있는 건 아니라 생각된다.

그러고 보니, 옛날에 봤던 월트 디즈니 만화영화에서 둘의 차이를 보여주는 좋은 예가 발견된다. <미녀와 야수>와 <알라딘>은 1991년과 1992년, 아주 비슷한 시기에 발표된 장편 애니메이션이다.

전자는 결말부에서 저주의 마법이 풀린 야수가 벨에게 “자기야, 나야!” 정도의 뉘앙스로 말할 때 “Bell, it's me!”라고 me를 썼다.
그 반면 후자에서는, 갓 잠에서 깨어나 심기가 불편한 신비의 동굴(Cave of Wonders)이 “Who disturbs my slumber?”이라는 아주 유명한 질문을 할 때, 알라딘이 쫄아서 “어.. 접니다. 알라딘이에요.”라는 의미로 “It is I, Aladdin.”이라고 me가 아닌 I를 써서 대답한다. I가 me보다 격식을 차린 말투라는 뜻 되겠다.

Posted by 사무엘

2012/11/08 08:30 2012/11/08 08:30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753

몇몇 언어 현상 관찰 -- 上

철도, 컴퓨터, 교통 덕질에 밀려서 너무 오랫동안 먼지가 쌓여 있던 언어 카테고리에 오랜만에 글 나가신다.

1. 이다

영어에서 be 동사는 존재를 나타내는 아주 독특하고 중요한 단어이다.
한국어에는 be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개념으로 '이다'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 역시 문법적 역할을 분류하기가 꽤 까다로운 단어이다. '다'로 끝나니 용언 같아 보이긴 하나 그러기에는 존재감이 너무 없고.

요즘은 '이다'를 '서술격 조사'로 분류하는 게 대세여서 학교 문법을 포함해 어지간한 사전에도 그렇게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조사가 아닌 단순한 종결어미라고 보는 학자도 있다.

be는 한국어로 치면 '이다'와 '있다' 사이를 함축적으로 감싸는 단어라 볼 수 있다. (이것도 영어로는 have를 쓸 걸 한국어로는 그냥 '있다'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어서 더욱 미묘한 구석이 있지만..) 게다가 I am이라고 하면 하나님의 타이틀과도 관계가 있어서 성경 번역에 민감성을 한층 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런 것 말이다.

Before Abraham was, I am. (요 8:58; 아브라함이 있기 전부터 나는 있느니라)
I AM THAT I AM. (출 3:14; 나는 곧 나니라;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니라. 등~)
I AM hath sent me unto you. (엥, I AM 자체가 명사로!)


그리고 셰익스피어의 <햄릿>에도 아래와 같은 너무나 유명한 문장이 있다. 한국어는 영어 표현의 함축성을 그대로 표현할 수가 없어서 한 단계 의역되었음을 알 수 있다.

To be, or not to be: that is a question.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물론 영어권 사람들에게 와 닿는 의미는 한국어 번역과 동일하다. 그들에게 본디 문장에 대해 paraphrase를 시켜 봐도 to live, or to die가 들어간다.

이뿐만이 아니라 영어의 be 동사는 한국어의 '이다'와 크게 다른 점이 하나 발견되는데, 그것은 바로 시제이다.

공 병우 박사는 세벌식 한글 타자기의 [발명가이다].
내가 [어릴 때는/어렸을 때]는 인터넷도 없었고 스마트폰 같은 것도 없었다.
세종대왕은 조선의 [성군이다].


이런 문장을 영작하게 되면 모두 현재 시제가 아니라 반드시 과거 시제인 was가 붙는다. 공 박사건 세종대왕이건 2012년 현재는 죽고 없는 사람이라는 관점에서 과거 시제를 쓰는가 보다.

그러나 한국어는 지금도 그분들에 대한 역사적 행적이 변함없는 사실이라는 점을 중점에 두고 '이었다'보다는 '이다'를 선호한다.
“세종대왕은 조선의 [성군이었다]”라고 쓰면 꼭 “명왕성은 태양계의 아홉째 행성이었다”처럼 역사가 번복되었거나, 아니면 세종대왕이 말기에는 폭군으로 흑화했다는 여운을 강하게 남기게 된다.

혹시 내 언어 직관과 다른 생각을 갖고 계신 분 있으면 의견 기다리겠다.

2. '-이/가'와 '-은/는'의 차이는 무엇일까?

간단한 것 같아도 둘은 개념적으로 서로 꽤 다른 단어이다.

전자는 격(格)을 갖는 조사로, 주격 조사와 보격 조사의 역할을 겸한다. 다시 말해 선행사가 주어임을 나타내거나 보어임을 나타낸다는 뜻이다.
그에 반해 후자는 격이 없는 보조사 또는 특수 조사라고 불리며, 문맥 독립이 아니라 문맥 의존적인 문법을 구성한다. 보조사는 대체로 주격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으나, 문맥에 따라 목적격도 되고, 사실은 보격도 안 되라는 법이 없다. '-은/는' 말고도 보조사로는 '-만', '-도' 같은 것 게 더 있다.

보조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문법적으로 굉장히 wild하고 어려운 개념이다.
격조사는 국어 통사론의 맨 첫 단원에서 문장의 필수 요소로 곧장 다뤄지는 반면, 보조사는 통사론이 다 끝나고 화용론으로 넘어가기 직전에 다뤄진다. 그 정도로 서로 차원이 다르다.

마치 스타크래프트에서 스포닝 풀을 짓고 나면 저글링의 발업(격조사)은 해처리 수준에서 곧장 가능한 반면, 아드레날린업(보조사)은 무려 하이브까지 올린 뒤에야 가능한 것과 비슷한 맥락이랄까. 난 그런 생각이 들었다. 스타크래프트 세 종족을 통틀어서 한 유닛의 업그레이드 사이에 이 정도로 기술 격차가 존재하는 건 저것밖에 없다.

3. '없다'와 '아니다'

'없다'와 '아니다'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용법과 의미를 지닌 개념이다. 이게 구분이 아예 없으면 '없는 것보다는 낫다'와 '도대체 나은 구석이 전혀 없다'를 언어적으로 분간할 수가 없게 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

영어에서 no는 감탄사로도 쓰임과 동시에 두 의미를 문맥에 따라 적당히 지니며, none이나 nothing 같은 파생어에도 그 형태가 살아 있다. 그 반면, not은 '아니다'의 의미만이 더 부각되는 것 같다.

No trespassing 무단 침입 금지
No way 길 없음 / 안 돼(not at all과 비슷)

... There is [none righteous, no, not one]. (롬 3:10)
의로운 자는 [없다, 정말 하나도 없다.]

And Enoch walked with God: and he [was not]; for God took him. (창 5:24)
에녹은 하나님과 걷다가 [사라졌다/없어졌다.] ...

For my thoughts [are not your thoughts, neither are your ways my ways], saith the Lord. (사 55:8)
내 생각은 너희의 [생각이 아니며/생각과 같지 않으며/생각과 다르며] ...


이런 부정문은 한국어와 영어가 서로 일대일 대응하지 않고 형태가 크게 달라지는 대표적인 문법이라 볼 수 있겠다.
한국어는 void처럼 공허함을 뜻하는 無에 해당하는 단어가 토박이말에 없는 반면, '없다'라는 용언이 따로 존재하는 건 때에 따라서는 굉장히 편리하다. 물론, 영어의 no처럼 '없음'이라는 의미를 넣어 주는 관형사가 없기 때문에, 한국어에서는 없다는 의미는 주어가 아닌 서술어에서 반드시 전달되지 않으면 안 되기도 하고 말이다.

잘 알다시피 킹 제임스 이외의 변개된 성경에서는 신약 성경에서 13개 구절이 삭제되어 있다. 한국어 성경은 행 8:37이나 막 9:44, 46 같은 유명한 구절을 펴면 '없음'이라는 간결한 표현이 있지만, 영어 성경은 그런 게 없다.  굳이 '없음'을 표현하려면 그 문맥에서 none, gone을 쓸 수도 없는 노릇이고 missing, omitted이라고 '누락됨'이라는 단어로 돌려서 표현을 해야 할 것이다.

한국어가 부정문도 서술어 형태를 좋아하는 것은, '알다'의 반대말로 '모르다'가 동사로 존재하는 것을 봐도 알 수 있다. 내가 알기로 '-에 무지한, 무식한'이라는 형용사 말고, '모르다'가 동사로 딱 존재하는 언어는 의외로 흔치 않다.

'전혀'라는 부사와 잘 어울린다는 특성상, '모르다'는 '아니다'와 '없다'와 더불어 부정의 의미가 담긴 대표적인 단어이다. M의 OST인 <나는 널 몰라>가 생각나는군.. 한국어를 가르칠 때 “모른다”와 “모르겠다”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도 꽤 쉽지 않을 것 같다. 참고로 영어로는 똑같이 둘 다 그냥 I don't know로 번역 가능하다.

4. 우편향

언어가 그 자체적으로 왼쪽보다 오른쪽을 더 좋아하는 현상은 우연인지 필연인지 난 모르겠다.
한국어의 경우 오른쪽은 두 말할 나위도 없이 '옳은 쪽'에서  유래된 말인 반면, 왼쪽은 '외다'라는 '뭔가 정상 궤도에서 이탈하고 뒤틀림' 같은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오른쪽과는 달리, 무슨 뜻이더라도 좋은 어원은 절대 아니다.

이말년이 이런 성향을 잘 간파하여 '외길'이라는 브랜드를 좋아하는 것이 틀림없다. ㅋㅋㅋㅋ. 물론 최 현배 박사의 호 '외솔'은 속세를 초월한 빳빳한 지조, 강직함, 대쪽같음을 나타내려고 '외'라는 형태소를 긍정적으로 해석한 것이겠지만 말이다.

왼쪽과 오른쪽의 관계는 신기하게도 영어도 마찬가지여서, 오른쪽이 아예 right와 동음이의어도 아닌 다의어 관계이다! 글쎄, 반대로 left는 그렇게 안 좋은 심상이 담긴 걸까? 혹시 잉여? -_-
내가 제대로 아는 언어가 저 두 개밖에 없어서 다른 언어는 어떤지 궁금하다.

성경을 보면 물론 우리더러 좌로나 우로나 편파적으로 치우치지 말라는 권고(신 5:32, 잠 4:27 등)도 있다. 그러나 하나님 자신은 우편향이기도 하다는 것이 성경을 통해 분명히 발견된다.
여러 근거들이 있지만 한 가지 예만 들면, 하나님의 권능과 구원을 찬양하는 문맥에서 등장하는 하나님의 손은 열이면 열 모두 무조건 오른손이다. 시편에 '주의 오른손'은 수도 없이 등장하지만 왼손은 단 한 번도 안 나온다.

그렇다고 해서 왼손잡이가 무슨 동성애에 필적하는 나쁘고 가증스럽고 죄악된 기질이라는 말은 결코 아니다. 하지만 그런 특수한 경우를 빼면, 일반적으로는 사람이 오른손으로 숟가락을 들고 오른손으로 글씨를 쓰며 왼쪽과 오른쪽에 대해 그런 편견을 갖고 사는 게 아무 근거 없는 인습은 아니라는 말을 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 이념에서 좌익과 우익이라는 구분이 역사적으로는 무슨 프랑스 의회에서 좀 진보 성향이 왼쪽, 보수 성향이 오른쪽에 앉은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하지만, 이 역시 아무 근거 없이 정립된 개념은 아니라고 본인은 생각한다. 비록, '뉴 라이트'인가 뭔가 하는 진영에서 '오른쪽'의 의미를 모독하고 있는 걸 생각하면 좀 한숨이 나오긴 하다만...

* 다음 下에서 다른 소재로 이야기는 계속된다. 기대하시라.

Posted by 사무엘

2012/11/05 08:29 2012/11/05 08:29
, ,
Response
No Trackback , 4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752

두벌식과 세벌식 한글 입력 방식을 제각각 가장 극단적인 FM 형태로 디자인해 보면,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세벌식은 초성 결합 지향적이고,
두벌식은 종성 결합 지향적이다!

공 병우 세벌식에서 가장 극단적인 FM을 추구한 입력 방식은 바로, 이중모음 정석이 강요되고 겹받침 조합이 없이 모든 겹받침을 반드시 Shift+한 타로만 치게 되어 있는 세벌식 최종이다.

즉, 이 입력 방식에서는 초성 쌍자음을 해당 자음의 연타로 입력하고, 중성 겹모음은 겹모음용 전용 ㅗ와 ㅜ를 통해서만 제한적으로 입력한다. (ㅢ도 반드시 8로만 한 타에 입력해야 하고, ㅡ+ㅣ로는 입력할 수 없음) 끝으로 종성에는 낱자 결합 규칙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제약이 존재하는 덕분에 이 입력 방식은 기계식 타자기와 100% 싱크가 가능하다.
세벌식 기계식 타자기는 글쇠가 종이에 찍히는 초점이 두 군데 있으며, 글쇠도 부동(不動)키와 동(動)키로 나뉜다. 초성과 일반 모음들은 동키이고, 겹모음용 ㅗㅜ와 종성은 부동키이다. (한 글쇠에서 아랫글쇠는 동키, 윗글쇠는 부동키가 되는 경우를 대비해 복잡한 지침이 있긴 한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 자리에서 생략)

부동키는 글쇠를 찍은 뒤에도 종이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당연히 기계식 타자기에서 낱자 결합용으로 쓰일 수 없다. 초성이야 동키이기 때문에 연타로 아쉬운 대로 쌍자음을 표현할 수 있는 반면, 종성은 그렇게 할 수 없는 것이다. 게다가 이미 중성과 종성을 모두 왼손이 담당하고 있다는 특성상(글쇠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는 배열인 것도 기계 친화적인 이유가 있음), Shift+한 타로 겹받침을 누르는 것은 왼손의 연타 부담을 경감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이런 심오한 이유 때문에 공 병우 세벌식은 초성 쌍자음만을 연타로 입력하고 나머지 중성과 종성은 연타를 최소화하는 쪽으로 발전했다.

그에 반해 가장 FM에 충실한 두벌식은 <날개셋> 한글 입력기 6.7에서 추가된 종성 지향 두벌식처럼 자음은 모든 문맥에서 종성과 같은 형태로 결합하는 입력 방식이다.

아래아한글 같은 일부 프로그램의 한글 입력 방식에서는, 두벌식도 마치 세벌식처럼 초성과 종성의 낱자 결합 규칙이 따로 적용되어서 쌍자음을 해당 자음의 연타로 입력할 수 있는 구현체가 있다. 그러나 FM대로라면 초성이든 종성이든 쌍자음은 반드시 Shift+한 타로 입력해야 한다. 애초에 '국가'와 '구까'를 모두 구분하여 연달아 입력하려면 쌍자음은 그렇게 입력해야만 한다.

따라서 두벌식은, 겹받침을 Shift+한 타로 입력하는 세벌식과는 정반대로 초성 쌍자음을 Shift+한 타로 입력하며, 초성에 낱자 결합 규칙이 존재하지 않는다. 흥미로운 사실이 아닐 수 없다.

다만, 세벌식은 그런 극단적인 이념을 추구함으로써 컴퓨터와 기계식 타자기 사이의 글자판 통일을 이루었으며, 기계적으로 유리한 점과 빠르고 편한 타자 사이의 상당히 괜찮은 합의점까지 잘 찾아 낸 반면, 두벌식은 그런 일관성과 통일성이 없다.

두벌식 타자기는 어차피 받침은 Shift부터 반드시 먼저 누르고 쳐야 하기 때문에 치는 방식이 컴퓨터와 다를 뿐만 아니라, 결국은 ㄲ과 ㅆ, 그리고 자주 쓰이는 겹받침이나 겹모음은 예쁜 자형으로 찍기 위해 별도의 글쇠로 따로 있어야 할 수밖에 없다.

단적인 예로, 똑같이 한 타로 입력하는 겹자음이라도 ㄲ과 ㅆ은 초성과 종성에서 모두 쓰이지만, 나머지 ㄸ, ㅃ, ㅉ은 초성에서만 쓰인다. 이것을 기계식 타자기로 어떻게 구분하겠는가? 게다가 Shift+ㄱ은 어차피 ㄲ이 아니라 초성 ㄱ과 받침 ㄱ을 구분하는 데 써야 하는데? 결국은 겹자음의 처리가 두 그룹이 서로 달라질 수밖에 없다. 두벌식으로는 기계간의 글자판 통일을 이루는 게 불가능하다는 게 이 말이다.

두벌식에 대한 이해도가 깊어지니 그 반대편에 있는 세벌식에 대해서도 예전보다 더 잘 알게 되는 것 같다. 내가 다시 말하는데 그 알량한 글쇠 수 좀 줄이려고 PC에서 한글을 두벌식으로 쓰는 건 너무 아깝다.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너무 많다.

두벌식이 완전 백해무익한 쓰레기라는 말이 아니라, 가능한 한 세벌식이 엄연히 main이 되고 두벌식은 sub가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세벌식으로는 간단한 기본 오토마타를 토대로 하여 더 발전하는 응용이 가능한 반면, 두벌식은 지금 있는 꼼수를 체계화하는 데에만 온갖 노력을 들여야 한다. 내 학위 논문이 주장하고자 한 바가 바로 이것이다.

여담이지만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아이콘에서 '한글'을 나타낼 때 쓰는 한글 글자는 대개 '가' 아니면 '한'이다. <날개셋> 한글 입력기는 이를 모두 활용하며, 현 글자판이 세벌식으로 판단되면 '한'이 나오고, 두벌식이면 '가'가 나온다. 꽤 옛날 버전부터 이어져 온 관행인데 이게 나름 합리적인 디자인인 것 같다.

Posted by 사무엘

2012/10/24 08:18 2012/10/24 08:18
, ,
Response
No Trackback , 11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747

※ <날개셋> 한글 입력기의 개발자가 알기 쉽게 요약한 우리나라 한글 기계화의 간략한 역사이다.

실용성을 떠나서 어떻게든 모아쓰기 형태의 한글을 찍을 수 있는 타자 기계를 완전히 최초로 만든 사람은 재미 교포 이 원익(1914)이다. 이건 세로쓰기 형태였다.
그 후 1949년에 잘 알다시피 공 병우가 최초의 세벌식 쌍초점 타자기를 발명하고,
1958년에는 김 동훈이 다섯벌식(자음 2, 모음 2, 받침 1) 타자기를 발명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일한 정사각형 공간에 한글을 모아쓰기 형태로 보기 좋게 찍으려면 잘 알다시피 한글 자모의 벌수가 많아져야 한다. 그러나 벌수가 많아질수록 기계 구조가 복잡해지고 치기가 어려워지는 등 타자 능률에는 여러 모로 애로사항이 꽃핀다.

공 병우는 미려한 자형을 과감히 포기하고, 자형은 그냥 알아볼 수만 있는 정도의 빨랫줄 샘물체 형태로 찍히지만 타자 능률 하나는 정말 기가 막히게 좋은 한쪽 극단을 선택하여, 세벌식이라는 글쇠배열 이념을 고안했다. 이때가 이분이 환자의 안과 진료까지 때려치우고 기계 덕질을 하던 시절이다.

세벌식은 외형만 약간 희생하면, 굳이 풀어쓰기까지 안 가고도 한글 역시 영문 뺨칠 정도로 기계로 편하게 칠 수 있는 문자라는 걸 최초로 입증해 보였다. 구조가 간단한 덕분에 한영 겸용 타자기까지 만들 수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처음에는 왼손에서 오른손으로 흐르는 배열을 생각했는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종이가 진행되는데 글쇠가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과 같이 오른손에서 왼손으로 흐르는 배열을 선택하게 되었다고 공 박사 자서전을 찾아보면 나온다. 기계식 타자기를 배제한다면 어느 방향이 더 좋을지에 대한 견해는 여전히 떡밥인 듯하다. R2L은 오른손잡이의 손에 유리한 반면, L2R은 시각적으로 무척 직관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니 말이다.

이렇게 세벌식 타자기는 성능이 좋은 덕분에, 닥치고 능률이 짱인 군대에서 아주 환영받았다. 뭐, 군대에서도 백 선엽 장군처럼 한글 기계화에 대한 관념이 없이, 여전히 세월아 네월아 한자를 섞어서 손으로 쓴 문서를 좋아하는 지휘관도 없지는 않았지만 말이다.
다만, 세벌식 타자기는 글자 모양이 심하게 보기 안 좋고 이질감이 심했던지라, 민간에서는 김 동훈 다섯벌식도 여전히 공존하여 쓰였다.

기계식 타자기는 몇 벌식으로 만드느냐에 따라서 기계 구조가 완전히 달라져야 했다. 구조가 상이한 한글 타자기가 공존한다는 것은 사회 비용을 증가시키고 손실이 이만저만이 아니었기에 국가가 나서서 통일안을 만들었다.

그래서 다섯벌식과 세벌식을 절충한답시고 1969년 6월에 과학기술처가 내놓은 게 네벌식이다. 개그 만화 일화 씰 사장님의 표현을 빌리자면...

“그래서 너희들은 새로운 글자판을 제정했다. 그것이 이것과 이것과 이것의 네벌식이다.
팔릴까보냐! 세벌식의 능률도, 다섯벌식의 자형도 어느 것 하나 제대로 못 살린 글자판이 되어 버렸지 않나! 더 이상해! 게다가 왜 공청회 없이 졸속으로 후다닥 만든 거냐! 누가 고안한 거냐, 제정 위원들은 글자판 전문가이긴 하냐? 대체 누구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뭐 이랬다.
과거 영국에서는 비숍 성경과 제네바 성경을 통합하는 킹 제임스 성경 표준안이 아주 훌륭하게 정착하였지만, 한국의 타자기 글자판 표준화는 해피엔딩이 되지 못했다.

허나 그때는 때가 박통 시절인지라 표준화는 불도저 식으로 추진되었다. 비표준이 된 세벌식과 다섯벌식은 모두 상당히 무식한 정치적 탄압을 받으면서 시장에서 씨가 마르고 말았다.
세벌식 지지자들이 이를 가는 대목이다. 오늘날 세벌식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듣보잡 글자판으로 전락해 버린 가장 큰 계기가 이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시즌 1은 종료.

시즌 2는 컴퓨터와 함께 시작되었다.
1970년대 후반엔 몇몇 선구자들을 중심으로 Apple II PC가 국내에 도입되었으며, 이에 타자기가 아닌 컴퓨터용 한글 입력 방식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공 병우 박사 역시 당당한 Apple II 사용자였으며 그 후로도 매킨토시만을 애용하였다(오옷.. 1세대 앱등이).

컴퓨터는 전자식으로 동작하니 기계식 타자기를 만들 때와는 달리 여러 벌의 한글 자모를 갖추지 않아도 된다. 영문 글자판과 잘 어울리게 한글 자모를 하나씩만 곱게 집어넣으면 된다.

그 당시의 국내의 컴퓨터 전문가들은 한글을 어떻게 입력하면 좋을지, 한글이 조합 중일 때 시각적인 화면 피드백은 어떻게 만들면 좋을지 같은 것을 면밀히 연구하였고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자국 문자 입력을 어떻게 하는지도 적극 벤치마킹했다.

지금은 당연한 개념으로 여겨지고 있지만 오늘날의 컴퓨터용 두벌식 한글 입력 오토마타의 이론적 근간을 처음으로 마련한 분은 KAIST 전산학과의 최 광무 교수이다. 그분의 1978년도 석사 학위 논문 <한글 모아쓰기에 관한 연구>의 요지가 이것이다. “자음과 모음 한 벌씩, 그리고 쌍자음은 Shift로 한 타 만에 바로 입력하게 하면 음절 경계 모호성이 없이 모아 쓴 한글의 연속 입력이 가능하다”는 것.

그렇잖아도 과학기술처는 KAIST에 용역을 주어 컴퓨터용 한글 글자판을 고안하게 했고, 그래서 1982년엔 최 교수의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오늘날의 KS X 5002 두벌식 글쇠배열이 표준으로 자리잡았다. 그냥 자음 모음만 아무 생각 없이 한 벌씩 배치하면, 요즘 천지인 같은 일부 모바일 한글 입력 방식이 그러하듯이 음절 경계 모호성이 존재하게 된다.

이 두벌식 배열은 타자기용 네벌식 배열보다야 구조가 훨씬 더 간단하고 배우기 쉬웠다. 왼손은 자음이나 오른손은 모음이니 언뜻 보기에 얼마나 직관적인가? 숫자와 기호가 영문 글자판과 완전히 일치하며, 딱 알파벳 26개 자리에만 한글 자모가 들어있다.

하지만 초중종성 세 벌로 이뤄진 문자를 두 벌의 글자판만으로 치려다 보니 필연적으로 타자 도중에 원하지 않는 글자가 생기는 도깨비불 현상을 피할 수 없었고, 또 타자기와 컴퓨터의 치는 방식이 서로 다르다는 큰 문제도 있었다. 예전에는 타자기에서 세벌식과 다섯벌식 때문에 사용자가 헷갈렸다면 이제는 타자기의 네벌식과 컴퓨터의 두벌식 때문에 혼동이 생긴 것이다.

이 때문에 5공 시절이던 1983년에는 타자기용 네벌식 글자판이 공식적으로 폐기되었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네벌식을 웬수처럼 여기고 있던 세벌식 진영의 사람들도 이 순간만은 기뻐했다. 이제는 표준 글자판이 좀 개선되려나?

그러나 현실은 나아진 게 없었다. 컴퓨터용 글자판은 변함없이 두벌식이고, 타자기는 새로운 후속 표준이 정식으로 제정되는 게 없이 그냥 컴퓨터처럼 어중간한 두벌식으로 바뀌어 버렸다. 타자기에는 컴퓨터 같은 한글 입력 오토마타 장치가 없으니 그 대신 새로 무엇이 추가되었냐 하면 '받침' 키 신공이다. 여기서 또 씰 사장님의 절규 추가.

“그래서 너희들이 새로 만든 것이 이것과 이것과 이것의 두벌식 타자기이다.
무섭다구! 받침을 입력할 때마다 Shift를 눌러야 하는 기형 타자기를 도대체 누가 쓴단 말이냐! 이 기계로 타자를 해야 하는 타자수의 얼굴이 기분 나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마 그 당시 높으신 분들은, 어차피 글자판은 이 지경이 돼 버렸고 이제 대세는 타자기에서 컴퓨터로 넘어가고 있으니 타자기는 이 참에 완전히 손을 놔 버린 모양이다. 그래서 실제로 한글 타자기는 컴퓨터와 비교했을 때 단순히 기계적인 기능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글자판과 입력 방식 차원에서의 원론적이고 구조적인 차이로 인해 컴퓨터의 적수가 될 수 없어서 급속도로 몰락하고 말았다. 이것으로 시즌 2 종료.

오늘날 컴퓨터에서는 표준이 된 두벌식, 그리고 한글 구성 원리와 일치하는 세벌식만이 남아 있고 그보다 더 복잡한 벌수의 입력 방식은 완전히 역사 속으로 사라져 있다. 세벌식은 도깨비불 현상이 없고 타자 능률이 매우 좋다는 점, 그리고 기계간의 글자판 통일이 가능하다는 점이 두벌식이 흉내도 낼 수 없는 압도적인 장점이기 때문에, 한글이 남아 있는 한 절대로 없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비록 글쇠 수가 좀 많고 기호가 영문 자판과 다른 게 단점이긴 하지만 말이다.

하지만 처음부터 타자기와 컴퓨터가 모두 속 시원하게 똑같이 세벌식으로 갔으면 글자판 통일은 진작에 이뤄졌을 것이며, 타자기도 온갖 n벌식 입력 방식에 이리 저리 휘둘리다가 망하는 일이 없었을 것이다. 타자기도 자기가 할 수 있는 본분은 다 수행하면서 실제보다 더욱 늦게 현역에서 물러났을 것이다.

참으로 아쉬운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세상에 기계식 타자기로 저 정도로 칠 수 있는 문자가 라틴 알파벳 계열을 빼고 전세계에 얼마나 될까? 그런데도 고작 네모 글꼴 하나 건지려고 벌수 놀이를 한 것치고는 감수해야 한 사회적 손실과 치러야 한 대가가 너무 컸다. 기술이 발달하면 세벌식 타자기의 빨랫줄 모양 글꼴도 그 방향을 유지하면서 얼마든지 더 미려하게 개선할 수 있었을 텐데 말이다.

세벌식이 확고하게 타자기와 PC의 주 입력 방식으로 자리잡았다면, 두벌식은 세벌식을 적용하기에는 글쇠 수가 충분치 않고, 어차피 기계식 타자기와의 연결 고리가 없으며 장시간 빠르게 입력을 할 필요도 없는 기기를 위한 제한적이고 예외적인 변칙 입력 방식으로 추후에 논의되게 되었을 것이다.

요 얼마 전엔 드디어 모바일용 한글 입력 방식으로 천지인과 이지한글(나랏글), SKY 세 종류가 복수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기계식 타자기의 글쇠배열과는 상황이 달라도 너무 다르다. 어차피 한글 입력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무슨 입력 방식을 심든 물리적인 비용이 드는 게 없으며, 어차피 어느 입력 방식이든 두벌식 안에서 그 나물에 그 밥이기 때문에 성능 격차도 예전 같지 않다. 그러니 그냥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 기존 입력 방식 몇 개만을 그대로 인정해 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했다.

요즘은 한글날도 20여 년 만에 다시 공휴일로 되돌리려는 움직임이 있는데, 세벌식의 표준화에 “too late”는 있을 수 없다고 본다. 장기적으로는 390과 최종을 통합하는 글쇠배열이 있어야 할 것이고, 표준화는 언제든지 논의되어야 한다. 다시 강조하지만 한글은 두벌식으로만 쓰기엔 너무 아까운 문자이고, 세벌식의 압도적이고 상징적인 장점은 절대로 없어지거나 희석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여담이다만, 아마 공 병우 박사님이 2010년대까지 살아 계셨다면, 맨날 아이폰으로 트위터 하면서 한글날 공휴일 지정과 세벌식 표준화를 주장하는 트윗을 남기고 젊은이들과 얘기를 나누셨을 것 같다. 비록 타자기/PC에서만치 세벌식을 강경하게 주장하지는 않을지라도 모바일용 한글 입력 방식을 연구하는 건 당연지사이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 병우 박사(1907~1995). 안과 의사에다 불세출의 한글 공학자까지 인증..;; 하나만 제대로 하기도 무진장 힘들 텐데, 머리가 너무 좋고 시대를 너무 앞서갔던 분이다..;;

Posted by 사무엘

2012/07/15 08:29 2012/07/15 08:29
, , , , , ,
Response
No Trackback , 1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707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우리나라의 문자 언어 문화는 지난 20세기 후반에 큰 변화를 겪었다. 이는 두 양상으로 요약된다. 첫째로 한자를 섞어 쓰는 빈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둘째, 세로쓰기가 전멸하다시피 하고 가로쓰기가 대세가 되었다. 사실, 예전에 한글 학회의 슬로건이 “한글만으로 가로로 쓰자”일 정도였다. 한글 전용만 주장한 게 아니라 가로쓰기까지 주장했다는 뜻.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세로쓰기는, 태생상 세로로 길쭉할 수밖에 없는 간판이나 책의 등짝 같은 극소수 제한된 환경에서나 볼 수 있는 듯하다. 더 나중에는 그런 곳에서마저도 세로쓰기를 하느니 차라리 영문 문화권처럼 가로쓰기를 90도로 돌린 표기로 대체될지는 모르겠다.

붓글씨+세로쓰기 스타일이던 성경책은 이미 1990년대 중· 후반부터 한국 교회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된 지 오래이다. 신문은 1990년대 초반에 한겨레가 처음으로 한글 전용+가로쓰기를 시작한 후, 1999년에 그 보수적인 조선일보마저 가로쓰기로 돌아섰다.

출판물뿐만이 아니라 영상 매체에서도 분명한 추세를 발견할 수 있다.
예전에는 TV 프로에서 방송이 시작되기 전 ‘제공’이라는 명목으로 뜨는 광고주 리스트라든가, 일부 중요 인명이나 문구는 때에 따라 가로쓰기와 세로쓰기가 혼용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요즘은 다 가로쓰기이다.

영화관에서는 과거에 길쭉한 스크린의 우측 상단에 으레 세로쓰기로 뜨던 한글 자막도, 이미 옛날에 가로쓰기로 다 바뀌었다. 세로쓰기는 확실히 낡은 구닥다리 스타일로 간주되게 되었다. 이런 변화가 무엇을 의미할까?

세로쓰기가 천덕꾸러미가 되고 도태된 가장 큰 이유는, 컴퓨터가 세로쓰기를 전혀 하지 않는 문화권에서 처음으로 발명되었고 따라서 세로쓰기도 컴퓨터에서 직관적으로 처리하기 곤란한 고리타분한 방식으로 전락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물론, 본인은 명백히 가로쓰기에 익숙한 가로쓰기 지지자이다. 세로로 써진 빽빽한 글은 한국어가 한국어처럼 덩어리 단위로 눈에 확 들어오질 않는다. -_-;; 일단은 가로든 세로든 자기에게 익숙한 방향의 텍스트가 눈에 더 빨리 들어오겠지만, 아무 편견이 없는 사람이라면 두 눈이 가로로 달려 있는 이상, 가로쓰기가 더 유리하게 읽힐 수밖에 없을 것이다.

다만, 그래도 세로쓰기를 일부러 의도적으로 배척할 필요는 없고 제목이나 장식용으로 제한적으로는 적절하게 활용하는 게 한글의 특성도 살릴 수 있고, 공간 활용 면에서 더 효율적이지 않냐 하는 정도의 견해를 갖고 있다. 옛날 사람들은 저렇게 읽기 불편한 세로쓰기 책들로 도대체 어떻게 독서와 공부를 했을까?

마치 요즘 자동차들이 전부 자동변속기로만 나와서 운전자들이 수동변속기 운전의 묘미를 경험할 기회가 없는 것처럼, 가로와 세로쓰기가 모두 가능한데 오로지 가로쓰기만 함으로써 우리가 다른 방면에서 얻는 기회비용이 무엇일지에 대해서 열린 가능성을 생각해 볼 의향은 있다는 뜻이다. 그렇잖아도 요즘은 컴퓨터도 온통 와이드 화면이 대세인데, 이런 곳에서는 세로쓰기가 공간 활용이 더 효율적이기도 할지 모른다. (가독성 같은 다른 요소는 제끼고 오로지 공간 효율만)

오늘날 국내엔 세로쓰기를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사람이 극소수 있긴 하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은 대체로 강경한 한자 혼용론자이고 세로쓰기를 거의 종교적인 숭배에 가까운 수준으로 미는 경향이 있는데, 본인은 그런 주장에까지 공감하지는 못한다. 가령, 한글 전용과 가로쓰기 때문에 남한의 지식· 학문의 수준과 깊이가 하락하고, 사상까지 온통 좌경화되었다는 식의 드립. -_-;;

원래 한자의 종주국이 세로쓰기의 종주국이기도 한지라 한국과 일본의 세로쓰기 관행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이 20세기 중반에 간체자를 만들고 가로쓰기를 전면 시행하면서 어문 규범이 크게 바뀌었고, 한국 역시 스타일이 상당 부분 서구화했다. 현재는 일본만이 세로쓰기를 아주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이 소프트웨어의 국제화에서까지 진지한 고려 대상이 되어 있다.

윈도우 운영체제의 경우 한글 글꼴의 이름 앞에 ‘ @ ’가 붙은 세로쓰기 바리에이션 글꼴을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편집 중인 텍스트의 방향이 가로인지 세로인지 운영체제 IME에게 알려 주는 프로토콜도 제공한다.  MS 워드에서 MS IME나 <날개셋> 한글 입력기로 한글-한자 변환을 해 보면, 세로쓰기 중일 때는 한자 후보 리스트도 세로쓰기로 나오는 걸 알 수 있다. 그리고 <날개셋> 타자연습은 아예 세로쓰기로 타자 연습도 가능하다. ㄲㄲ

일본은 자기 이름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이름-성 순으로 표기하는 건 일찌감치 서구화했으면서, 세로쓰기는 서양 스타일을 따르지 않고 자기 식으로 고수하고 있으니 흥미로운 차이인 것 같다. 미국이 관습상 110V 전압과 비표준 단위계를 못 벗어나고 있는 것만큼이나 일본 역시 세로쓰기를 언제까지나 고집하게 될지 두고 볼 일이다.

서양의 라틴 알파벳 문화권에서는 진짜 크로스워드 게임 같은 데서나 세로쓰기를 볼 수 있는 듯하다. 애초에 단어의 일부가 양 줄에 걸쳐서는 안 되는 정서법이니, 세로쓰기와는 더욱 어울리기 힘들다고 볼 수 있겠다.

문득 드는 생각은, 한글에도 세로쓰기 용도로 잘 튜닝된 글꼴이 개발되어야 하겠다는 것이다. 가로쓰기용 가변폭 글꼴이 ‘이’보다 ‘빼’가 더 길쭉한 것처럼, 반대로 세로쓰기용 가변폭 글꼴은 ‘이’보다 ‘봅’이 더 길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 개 같은 글자가 세로로 배열되었을 때 구조적으로 중심이 잘 잡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당장 가로쓰기용으로도 가변폭 글꼴이 연구된 게 잘 없는데, 벌써 세로쓰기까지 생각하는 건 사치인 것 같다. ㅋ

Posted by 사무엘

2012/03/07 08:25 2012/03/07 08:25
,
Response
No Trackback , 8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651

한글 입력기에 이어 다음은 글꼴 쪽 소식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게 과연 가능할까 나 자신도 장담할 수 없었는데 결국은 해냈다.
스크린샷의 프로그램은, 아래아한글 2.0 전문용에 들어있는 영문 신명조 HFT 파일을 읽어서 거기에 있는 글자를 찍은 모습이다.
TTF로 존재하지 않는 아래아한글만의 독창적인 글꼴--공한체나 휴먼옛체, 강낭콩 등--을 인증샷으로 보여야 더 재미가 있을 텐데, 아래아한글 2.0 시절에는 독창적인 글꼴이 아직 흔치 않았었다.

궁극의 오덕질의 승리.
뭐, 아예 압축 파일 포맷을 혼자 Reverse engineering만으로 알아낸 사람도 있는데, 이 정도 가지고 내가 딱히 RE의 귀재이거나 한 건 아니다.

아래아한글 2.0은 윤곽선 글꼴이 도입된 첫 버전이었고(무려 1992년 발매!), 지금의 아래아한글이 사용하는 '통합 글꼴' 포맷이 완전히 제정되기 전이었다. 글꼴 파일 내부에 아직 이름이나 제조사 같은 정보도 없고, 파일 포맷도 별도의 추상적인 계층이나 미래 확장 대비 공간이 전혀 없이 아주 아주 단순했다. 헥스 에디터로 딱 들여다보면, 이건 글자별 글립 데이터 오프셋 정보, 이건 글자별 폭(영문 가변폭 글꼴 기준) 이런 식으로 구간이 나뉘어 있겠다는 게 눈에 들어왔다. 구간을 나누는 데 성공한 것만으로도 최하 30% 이상은 성공이었다.

글립 데이터를 들여다보고 있으니, 처음 부분은 고정된 헤더인 듯하다. 그 지점 이후부터 가변 길이의 인스트럭션들이 나오는데(직선을 그어라, 곡선을 만들어라, 다음 폴리곤으로 넘어가라, 등의 그래픽 명령) 이건 알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가장 간단한 글자인 중고딕 . I L - _ (다 사각형 하나만 달랑 나오는-_-)가 어떻게 돼 있는지 분석하는 걸 시작으로, + = / : 을 이어 추적했다.

가장 마지막으로 원리를 알아 낸 건 물론 곡선 부분이다. 다행히 이 HFT는 트루타입(TTF)보다는 구조가 훨씬 더 단순했다. TTF 정도의 복잡도만 돼도 나 혼자서는 포맷을 못 알아냈을 것이다.
내가 이미 TTF 같은 더 복잡한 글꼴 파일 포맷의 구조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고, 그러니 뭐가 나올지 어느 정도 예상을 하고 있으며, HFT는 그보다 단순할 거라고 예상도 했기 때문에 해킹에 성공할 수 있었다.

다음 관심사는, 물론 아래아한글 2.1부터 지금까지 쓰이고 있는 통합 글꼴이다.
아래아한글 2.x 확장팩 글꼴들을 ttf로 바꿔서 윈도우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쓰는 게 소원이다. -_-;;
언뜻 들여다본 바로는, 2.0하고는 인스트럭션들의 포맷이 살짝 다른 듯하다.

같은 한양 시스템 글꼴을 2.0 것과 통합 글꼴 것을 대조해 보면 분석이 훨씬 더 쉽겠지만, 안타깝게도 현재 아래아한글의 한양 시스템 hft 글꼴은 빡세게 암호화되어 있어서 분석을 할 수 없다. 파일 크기와 처리 성능으로 미뤄 보건대 내가 보기엔 압축은 아니고, 그냥 단순 암호화이다. HFT 중에서도 암호화가 안 된 글꼴만이 추후 분석 대상임.

아마 나는 아래아한글의 소스를 본 적이 전혀 없는 사람 중에서는,
글자 입출력과 관련하여 아래아한글이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 파일의 구조를 우리나라에서 제일 잘 아는 사람일 것이다.
당장 <날개셋> 한글 입력기에 역대 아래아한글이 사용한 모든 custom 글쇠배열 파일을 읽어들이는 기능이 있으며,
바탕, 가는샘물, 필기는 도스용 아래아한글의 화면용 글꼴 파일을 추출한 것이다.

1월 10일 추가:
오늘 새벽. 통합 글꼴 HFT도 뚫는 데 성공. 단, 이건 내 혼자 힘만으로 한 건 아니다.
인증샷 대상 글꼴은 '신명 신명조'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사무엘

2012/01/08 19:23 2012/01/08 19:23
,
Response
No Trackback , 15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624

Times 서체 이야기

Times라는 단어가 쓰이는 곳이 어딜까?
수학에서는 '곱하기'를 나타낸다. 5 times 3 equals 15처럼. 디즈니의 만화영화 라이온 킹에는 I'm ten times the king Mufasa was! 라는 스카의 대사도 있다.

그리고 Times는 영미권에서 왠지 신문의 이름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뉴욕 타임즈가 대표적이고, 영국에도 The Times라는 신문사가 있다.
하긴, 신문 이름에 쓰이는 단어로 Herald도 있긴 하다. 성경에서는 딱 한 번, 다니엘서에서 느부갓네살 왕의 황금 형상에다 다들 절하라고(안 그러면 뒈진다고) 대국민 담화를 선포하는 자가 herald라고 나온다(단 3:4).

옛날에 윈도우 95 CD에는 Good times bad times라는 노래의 뮤직비디오도 있었는데 이건 그냥 잡설이고..

다시 Times라는 단어로 돌아오면, 이 단어는 오늘날 영미권에서 쓰이는 가장 유명한 본문용 서체의 이름이기도 하다. 워낙 너무 유명해서 이미 아시는 분들도 많을 것이다.
이 서체의 이름 역시 영국의 The Times 신문사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다. 그렇다, 이건 신문사에서 만든 서체이다. 서체의 공식 명칭은 Times Roman인데 이건 우리로 치면 '조선일보명조', '한겨레결체' 이런 것과 완전히 동일한 작명법이다.

more..


Times가 만들어진 때는 1931년. 컴퓨터가 발명되기 전에 만들어지긴 했지만 Bodoni나 Baskerville만치 오래 된 서체는 아니다.
생김새가 기존 세리프 계열 서체들과 비교했을 때 사뭇 이질적이다. 이것 때문에 등장 당시에는 비판도 받았다고 한다.

가령, 2자의 모양을 보자. 세리프 계열이라면 좌측 상단 끝부분의 획에 동그란 세리프가 달리는 게 통념일 텐데 Times는 그렇지 않다. 사실은 6이나 9도 마찬가지. Times는 전반적으로 / 모양의 붓으로 글자를 그렸을 때 생기는 모양을 형상화했다.

그런데 전반적으로 모양이 무척 미려하고 아름답긴 하다. 무난하면서도 참신하고 잘 만든 서체이다. 컴퓨터 시대가 되면서 Times는 그야말로 신문을 넘어서 전세계 본문 서체를 평정했다. 거의 모든 책과 문서들이 이 서체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한국은 신문 명조와 일반 본문 명조 사이의 경계가 아직도 뚜렷한 편인데 이는 좋은 대조가 아닐 수 없다. 과거에는 신문용 서체가 세로쓰기에 맞춰져서 더 납작하고 뚱뚱한 편이기라도 했지만, 요즘은 세로쓰기도 다 없어졌는데 말이다.

Times는 한글 명조와 같이 쓰기에는 약간 어울리지 않고 혼자 튀는 경향이 있다. 뭐, 대다수의 영문 서체들이 그렇지만, 이들이 한글 서체와 잘 어울리려면 좀더 홀쭉하고 가늘어야 한다. 하지만 그런 전반적인 디자인을 차치하고라도 Times의 세리프는 뭐랄까, 좀 보수적이다. 그냥 명조보다는 문화바탕과 더 어울리는 것 같고, 윤명조 같은 파격적인 명조와는 어울리기 힘들다. Times보다는 Century Schoolbook 같은 부류의 세리프가 명조와 더 잘 맞을 것 같다.

그래서 Times의 획을 한중일 문자에 맞게, 아니 심지어 불변폭 서체 형태로 바꾼 변종이 있다. 과거 윈도우 3.1 시절의 바탕체에 포함된 영문· 숫자 글꼴이 그 예이며, 오늘날 MingLiu라는 한자 서체도 영문· 숫자 글꼴을 보면 딱 그렇다. 참고로, 불변폭은 아니지만 과거에 신명 세명조라는 서체가 내가 생각한 문화바탕+Times 컨셉과 굉장히 비슷한 모양을 세명조답게 아주 가늘게 변형한 형태였다.

Times는 그 중후하고 보수적인 분위기 덕분에, 문화바탕을 넘어 붓글씨 서체인 궁서와도 의외로 잘 어울린다. 사실, 오늘날 한글 서체에 같이 들어있는 영문· 숫자의 궁서체는 Courier 같은 딱딱한 타자기체-_-를 더 굵게 하고 눈꼽만치 기교를 넣은 뒤, 적당히 가변폭 서체로 바꾼 것에 더 가깝다.
어째 세리프 계열의 한글 서체에다가 산세리프 계열의 영문 서체를 집어넣었나 싶다만-_-, 어차피 영문은 붓글씨 테크닉이 정착해 있지도 않으니 붓으로는 아무 기교 없이 그렇게 글자를 그린다 해도 이상할 건 없겠다.

그 반면, 오늘날 역명판이 코레일체 대신 궁서체로 기재되어 있는 경춘선 김유정 역은, 궁서와 더불어 영문이 Times 서체로 기재되어 서로 잘 어울리고 있으며, Chick tracts 같은 미국의 전도지도 성경 구절은 Times로 적고 있다. 우리가 산돌성경체 같은 개역성경 붓글씨체를 보수적인 성경 본문체로 생각하듯이, 걔네들은 그게 보수적인 성경 본문체인 것이다.

여담이다만, 오늘날 타이포그래피의 대세는 산세리프와 세리프의 경계를 깨고(뭐, 굳이 하나만 고르자면 역시 세리프에 더 가깝지만) 화면 표시용 튜닝이 잘 된 그런 서체가 차지하고 있는 것 같다. 맑은 고딕, Segoe, 서울 남산 같은 서체들이 그런 유행을 따르고 있다.

옛날에는 그런 하이브리드 서체로 그래픽체가 아주 유명했고 참신했는데 지금은 그것도 너무 outdate돼 있다. 2, 30년 전의 TV 화면에서 그래픽체 자막을 보니 얼마나 격세지감이 느껴지던지!
오늘날은 Times 신문사도 Times가 아닌 다른 본문 서체를 사용한다는데, 이 Times에도 먼 미래에는 오늘날 우리가 중세 서체를 생각하는 것처럼 그런 고전 서체가 되어 있을지도 모르겠다.

Posted by 사무엘

2011/09/05 19:07 2011/09/05 19:07
,
Response
No Trackback , 2 Comments
RSS :
http://moogi.new21.org/tc/rss/response/565

« Previous : 1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 13 : Next »

블로그 이미지

그런즉 이제 애호박, 단호박, 늙은호박 이 셋은 항상 있으나, 그 중에 제일은 늙은호박이니라.

- 사무엘

Archives

Authors

  1. 사무엘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3041711
Today:
1338
Yesterday:
1700